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부산광역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강주택 의원(중구, 국민의힘)은 11월 21일 열린 제332회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인 첨단재생의료산업의 조기 상용화를 강력히 촉구하고, 이를 의료관광과 연계하여 부산을 글로벌 헬스케어 도시로 도약시킬 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제안했다.
강주택 의원은 “작년 '첨단재생의료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전국 최초로 발의하고, 올해 2월부터 '첨단재생바이오법'이 본격 시행됐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이 기대했던 치료 기회는 여전히 제때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답보 상태를 지적했다.
특히 강 의원은 자신의 뇌출혈 후유증 경험을 예로 들며, “우리나라에서 배양한 세포를 들고 매달 일본과 중국을 오가며 고액의 비용과 시간을 들여 치료받는 불합리한 현실”을 꼬집었다.
이와 함께 연간 약 3만 명의 환자가 해외에서 줄기세포 치료를 받으며 2,0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의료 해외 유출이 발생하고 있음을 비판했다.
강 의원은 “문제는 기술력이 아니라 제도”라며, 현행 규제와 심사 절차가 지나치게 경직돼 있어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가 중앙정부와 신속하게 협력하여 규제 보완·신속 심사체계 마련에 앞장서야 한다”며, “환자의 안전을 지키면서도 실행 가능한 제도적 균형을 부산이 선도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강주택 의원은 부산이 재생의료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대 전략을 제안했다:
1. 첨단재생의료 임상·상용화 관련 규제 보완책을 중앙정부와 협의해 조속히 마련할 것.
2. 연구-임상-상용화를 하나로 묶는 부산형 첨단재생의료 클러스터 구축.
3. 의료관광과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수립.
강 의원은 끝으로 “환자들이 더 이상 치료를 위해 국외로 원정 가는 불합리한 현실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며, “우리의 기술로 우리 국민을 치료하고, 나아가 전 세계 환자를 부산으로 불러들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첨단재생의료산업의 조기 상용화와 의료관광 연계는 단순한 산업 육성을 넘어,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 동시에 지역경제를 살리는 미래 전략”임을 강조하며 부산시의 적극적인 노력을 강력히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