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오염 인천시 지방정부 최초 해양 미세플라스틱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인천시가 지방정부 최초로 실시한 ‘인천 연안을 오염시킨 미세플라스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3∼8월까지 인천 연안의 5개 지점을 대상으로 해양 미세플라스틱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6일 밝혔다. 실태 조사는 세어도 해역(한강 및 수도권 매립지 등 오염원), 영종대교 해역(수도권 매립지 및 아라천 등 오염원), 인천신항 해역(인천신항 및 유수지 등 오염원) 등 내해 3개소와 덕적도 및 자월도 해역 등 외해 2개소를 선정했다. 미세플라스틱의 정량분석 결과, 연평균 풍부도는 세어도 해역 8.19±0.28개/m3, 영종대교 해역 7.59±0.46개/m3, 인천신항 해역 6.74±0.41개/m3, 자월도 해역 4.93±0.37개/m3, 덕적도 해역 4.75±0.35개/m3로 나타났다. 한강담수의 영향이 가까운 지점부터 먼 지점 순으로 많았고, 전체적으로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풍부도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지점은 강우 직후(8월) 세어도 해역(10.0 개/m3)이었다. 가장 적게 검출된 지점은 자월도 해역(3월, 3.7개/m3)으로 조사됐다. 또한, 모든 지점에서 하절기 집중 강우 직후 미세플라스틱의 출현이 급증하고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