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엄기호 의원(국민의힘, 철원2)은 7월 8일 열린 제339회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강원외국인농업고등학교(가칭)’ 설립의 필요성을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진행했다.
엄 의원은 심각한 농촌 고령화와 인력 부족 현실 속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이 농업 인력 문제와 지역 소멸 위기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임을 강조했다.
실제로 통계청 ‘2024년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 농가 인구는 약 13만6,640명이며,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7만 4,880명으로 전체의 약 55%, 70세 이상은 5만 359명으로 전체의 약 37%에 달한다. 최근 10년간 농촌 인구는 4만 명 넘게 줄었고, 신규 농업인 유입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엄 의원은 “올해 도내에 투입된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는 9,168명으로 역대 최대지만, 단기 체류 인력 중심으로는 기술 전승도, 정착도 기대하기 어렵다”며 “이제는 외국인을 단순 노동자가 아닌, 농촌 정착과 성장의 주체로 육성할 체계적인 교육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엄 의원은 ‘강원외국인농업고등학교’ 설립을 공식 제안했다. 이 학교는 스마트팜, 산림바이오, 6차 산업 등 도의 전략 산업에 맞춘 실용 교육을 운영하고, 한국어·한국문화·노동법 등 기본 교육과 함께 졸업 후 취업 비자와 정착 인센티브를 연계하자는 구상이다.
그는 “이미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 일부 시·도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며 “우리 도는 아직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삼척에너지마이스터고가 베트남과 협약을 맺고 유학생 4명을 유치한 정도”라고 지적했다.
엄 의원은 “이제 강원특별자치도가 선제적으로 나설 때”라며, ‘강원외국인농업고등학교’가 단순한 농업 인력 수급을 넘어선 새로운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모델은 외국인 학생이 기술을 배우고 지역에 정착해 장기적으로 결혼·귀화·출산으로 이어지는 인구 구조의 선순환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인구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전국 최초의 교육 기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농촌 고령화와 지방소멸이라는 이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엄 의원은 캄보디아와의 국제협력 사례도 소개했다. 지난 4월, 개인 비용으로 캄보디아를 방문해 현지 교육부·농림부 관계자에게 강원형 농업교육 모델을 소개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결과, 6월에는 캄보디아 고위 관료와 씨엠립 주 부지사가 강원도의회와 도교육청을 공식 방문해 협력 의사를 확인했다.
엄 의원은 발언을 마무리하며 “이제 외국인농업고 설립은 검토의 문제가 아니라 실행의 문제”라며, “이 학교는 강원 농업과 지역 교육의 미래를 위한 씨앗이며, 교육감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이 씨앗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