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흐림구미 27.3℃
기상청 제공

광주/전남

목포시의회 유창훈 의원 “목포는 준비된 도시, 정책은 현장에서 완성돼야”

“기후에너지부 출범, 실행이 우선이라면 목포가 답이다”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정부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정책의 출발지는 선언이 아닌 실행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목포시의회 유창훈 의원(목원·동명·만호·유달동)은 14일 입장문을 통해 “기후 정책이 실제로 작동하려면 실행 기반이 갖춰진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며 “그 해답은 바로 목포”라고 밝혔다.

 

목포는 전라남도가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 배후 항만이다.

 

현재 전남은 전국 해상풍력 허가 용량의 61%에 해당하는 18.7GW를 확보하고 있으며, 그 중심지인 목포신항에는 약 49만㎡ 규모의 기자재 전용 부두와 산업화 플랫폼이 조성되고 있다.

 

기자재 생산부터 운송, 설치, 유지보수까지 해상풍력 전 과정을 한 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곳은 전국에서 목포가 유일하다.

 

 

지리적 여건도 목포의 강점이다.

 

목포는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와 가까워,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 주요 에너지 공공기관과의 연계가 쉽다.

 

또 해양대학교와 에너지 특화 교육기관을 통해 현장형 인재 양성 기반도 잘 갖춰져 있다.

 

이는 단순한 정책 집행을 넘어, 전문 인력을 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구조를 이미 마련한 도시라는 점에서 경쟁력이 높다.

 

전라남도는 이러한 지역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 6월, 국회 입법조사처 자문위원회와의 간담회에서 기후에너지부의 전남 유치를 공식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도는 제도 정비와 실행 전략까지 함께 제시하며, 단순한 유치를 넘어 실질적인 정책 주체로 나설 준비를 마쳤다.

 

유창훈 의원은 “기후에너지부는 단순히 부처 하나를 신설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이 실제로 작동하고 산업과 지역이 함께 변화를 이끄는 실행 구조를 설계해야 하는 국가적 과제”라며, “이 모든 요건을 충족한 목포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단순한 행정조직 개편을 넘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에너지 산업 생태계 조성, 지방소멸 대응, 지역 균형발전까지 아우르는 중대한 국가 전략 과제”라며, “정부가 기후 정책을 선언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인 실행으로 이어가고자 한다면, 목포는 가장 준비된 출발지이며 그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도시”라고 밝혔다.

 

끝으로 유 의원은 “계획은 많지만, 실제로 실행되는 정책은 드물다”라며, “이제는 말이 아닌 행동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후에너지부는 선언이 아닌 실행의 상징이 되어야 하며, 그 출발지는 실행력이 입증된 도시, 목포여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