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아 상실은 충치, 잇몸질환,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특히 어금니가 빠질 경우 저작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 불편이 커지는 만큼 대체 치료를 검토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인공치근을 식립해 치아 뿌리 기능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으나, 시술 적합성은 개인의 구강 상태와 전신 건강에 따라 달라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 제기됐다.
임플란트는 틀니·브릿지 등 다른 보철 방식과 비교해 고정성이 높다는 평가가 있지만, 잇몸뼈의 양과 질, 잇몸질환 여부 등에 따라 시술 난이도와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 임플란트도 충치가 생기지는 않지만,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인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이 관련 문헌에서 반복해 강조돼 왔다.
동일한 기준에서, 전문가들은 과거 병력, 만성질환 여부, 구강 내 염증 상태, 경제적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치료 결정을 내릴 것을 권고한다. 특히 어금니의 경우 음식물 분쇄 기능을 담당해 다른 치아의 부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 내 치료 여부가 구강 전체 건강과 연결된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이경진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어금니는 단단한 음식까지 분쇄하는 역할을 하기에 상실 시 다른 치아에 과도한 부담이 생길 수 있다”며 “저작 기능 저하가 구강 내 전체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상태를 평가한 뒤 적절한 치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