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플라스틱 쓰레기가 전 지구의 골칫거리로 떠오르면서 식품업계가 상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각 기업은 제품의 용기에 쓰이는 플라스틱을 줄이거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친환경을 실천하고 있다. 지난 25일 동원F&B는 '동원샘물' 페트병 경량화를 통해 연간 약 1200톤의 플라스틱을 절감하고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동원F&B는 2년여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동원샘물 500㎖와 2L제품 페트병의 무게를 각각 15.7%, 8.4% 경량화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였다. 특히 동원샘물 500㎖ 페트병의 무게는 11.8g으로 업계 최경량 수준이다. 아울러 동원F&B는 뚜껑의 높이를 낮춰 더 가벼워진 '에코캡(eco-cap)'을 도입했으며 라벨의 길이도 20% 이상 줄여 환경보호 효과를 높였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200톤의 플라스틱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동원F&B는 2013년 환경부와 페트병 경량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동원샘물 500㎖ 페트병의 무게를 19g에서 14g으로 줄였으며 2020년에는 아이스팩 대신 활용할 수 있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채식을 하게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가령 건강상의 이유 때문일수도 있고,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일수도 있다. 이 밖에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채식을 선택하는 이들도 있다. 이렇듯 다양한 이유가운데, 국내 채식주의자들의 70%는 건강과 동물보호를 꼽았다. 최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의 보도에 따르면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조미숙 교수가 2020년 5월 국내 성인(20~59세) 채식주의자 2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결과는 ‘식물성 식품에 대한 채식주의자 및 잡식주의자의 인식과 선택속성’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유형은 동물성 식품은 아예 입에 대지 않는 비건으로 전체의 50.6%(124명)를 차지했다. 생선을 먹는 페스코는 15.1%, 우유와 계란을 먹는 락토오보는 9.8%, 때에 따라 육류를 섭취하는 준채식주의자인 플렉시테리안은 9.4%, 소고기·돼지고기 등 육류를 먹지 않는 대신 우유·달걀·생선·닭고기 등은 섭취하는 폴로는 5.3%, 우유를 먹는 락토는 6.1%, 계란을 먹는 오보는 3.7%였다. 조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요즘같이 비건이 각광받는 시대가 없었던 것 같다. 식품업계가 자체 비건 브랜드를 출시하더니 이번엔 비건 레스토랑을 잇달아 오픈한다. 비건 레스토랑 오픈 소식을 알린 건 농심이 먼저였다. 지난해 12월 농심은 자사의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 제품을 소비자들이 직접 맛볼 수 있도록 레스토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장소와 레스토랑의 이름을 밝힌 건 올해 1월의 일이다. 농심은 잠실의 롯데월드몰에 비건 레스토랑 ‘포리스트 키친(Forest Kitchen)’ 오픈한다고 밝히며 총괄 셰프로 김태형 씨를 선임했다. 김태형 총괄 셰프는 미국 뉴욕의 전문 요리학교 CIA(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졸업 후 뉴욕 미슐랭 1, 2스타 레스토랑에서 근무한 바 있는 실력자로 특히 지난해 ‘내 몸이 빛나는 순간, 마이 키토채식 레시피’를 출간하는 등 평소 비건 푸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온 인물이다. 오는 27일 오픈을 앞둔 ‘포리스트 키친’은 양식을 기반으로 한 비건 메뉴를 선보인다. 업계에 공개된 소식에 따르면 ‘치즈 퐁듀 플래터’, ‘리가토니 라구’, ‘더블치즈 아보카도 버거’ 등 특별한 날 맛볼 수 있는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따뜻하고 포근한 모피 코트’, ‘대대손손 물려줄 만큼 튼튼한 가죽 핸드백’ 탐나는 패션 아이템에는 숨기고 싶은 비밀이 있다. 바로 동물의 희생이다. 동물들의 가죽을 벗겨 핸드백을 만들고 산채로 털을 벗겨 모피로 만드는 등 반짝이는 패션 산업에는 수많은 동물들이 희생된다. 이러한 패션 업계의 민낯을 밝힌 다큐멘터리가 제작된다. 바로 ‘SLAY’다. ‘살해하다’라는 뜻의 ‘SLAY’는 말 그대로 가죽, 모피 및 양모 산업에서 일어나는 동물학대를 폭로한다. 육식에 대한 실체를 폭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던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Cowspiracy(카우스피라시)’와 ‘What the Health (몸을 죽이는 자본의 밥상)’의 프로듀서 키건 쿤(Keegan Kuhn)이 제작한 ‘SLAY’는 영화감독인 레베카 카펠리(Rebecca Cappelli)가 동물 가죽 거래를 조사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하는 과정을 따라 진행된다. 카펠리는 호주, 중국, 인도, 유럽, 미국, 브라질을 여행하며 가죽 제혁소, 모피 농장, 양모 농장 및 가죽 가공업체에서 촬영을 진행했다. 이들은 내부 독점 영상 등을 확보했으며 제작진, 사진기사, 영화 제작자와 네트워크 협력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를 중심으로 동네 빵집을 소개하는 이른바 ‘동네빵집_챌린지’가 일어나고 있다. 최근 SPC그룹과 매장에 파견된 제빵사들 사이의 사회적 합의가 원만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일어난 단식 투쟁에 대한 연대를 표하고 소상공인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된 챌린지다. 지난 9일 첫 시작된 챌린지는 자신이 즐겨 이용하는 동네 빵집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동네빵집_챌린지’라는 태그를 달아 트위터에 개시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동네빵집 챌린지’에 올라온 비건 빵집을 소개한다. ◆ 이대역, 베가니끄(Veganique) 비건 사이에서 비건 케이크로 잘 알려진 ‘베가니끄’. 이대역 근처에 위치한 ‘베가니끄’는 계란, 버터, 우유 대신 각종 과일, 천연당, 밀가루를 사용해 만든 비건 디저트 부티끄다. 그린티 초콜릿 케이크, 오렌지 카라멜티 케이크, 시나몬 애플 크럼블, 스트로베리 잼& 레드벨벳 케이크 등 다양한 비건 케이크가 준비 돼있다. 또한 ‘베가니끄’에서만 맛볼 수 있는 100% 비건 밀크티 ‘노밀크 밀크티’는 프리미엄 얼그레이 차잎을 두유에 진하게 우려 은은한 달콤함과 향긋한 차 향이 가득한 일품 비건 밀크티로 알려져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비거니즘이란,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고 동물 복지를 위한 제품을 사용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일컫는다. ‘비건’이라는 단어만 놓고 보자면, 육식을 멀리하는 채식주의자들을 의미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 소수의 식(食)생활을 뜻하는 단어를 넘어서 식품·화장품·패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거나 소비하지 않는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11일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소수의 식단을 의미하던 ‘비건’이라는 단어가 의·식·주를 포함한 우리의 생활 전반에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트렌드업을 활용해 2020년과 2021년 비건 관련 주요 연관어 증감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20년에는 채식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 ‘음식’, ‘재료’ 등 주로 식음료에 대한 연관어가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2021년에는 뷰티, 패션, 인테리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 비건이 적용되면서 ‘성분(+120.3%)’, ‘피부(+137.1%)’, ‘화장품(+101.7%)’, ‘뷰티(105.6%)’, ‘인테리어(+108.9%)’ 등 연관어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마트나 레스토랑에서 마주하는 제품과 음식에 탄소발자국이 기입돼 있다면 어떨까? 탄소발자국이란 상품을 생산 소비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뜻한다. 기후 전문가들은 탄소발자국을 상품에 기재해 소비자들이 자신이 선택한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게끔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최근,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줄 연구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지난 12일 기후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로스 기후’(PLOS Climate)에는 레스토랑의 메뉴판에 요리별로 탄소발자국을 표기한다면 소비자들의 메뉴 선택에 영향을 주며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독일 뷔르츠부르크의 줄리어스 막시밀리안 대학교(Julius Maximilian University of Würzburg)의 연구원 팀은 소비자들에게 탄소발자국을 제공하는 것이 메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이들은 참가자 265명을 대상으로 탄소발자국이 표시된 메뉴판과 표시되지 않은 메뉴판을 준비한 뒤 어떤 메뉴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조사했다. 예컨대 탄소발자국이 표시된 메뉴판의 경우 소고기와 함께 제공되는 샐러드 옆에 높은 탄소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가치소비' 열풍으로 채식이 주목받으면서 식품업계가 앞다퉈 자체 비건 전문 브랜드를 론칭하고 비건 식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오뚜기는 비건 전문 브랜드 ‘헬로베지’를 론칭하고, 신제품 ‘채소가득카레’ ‘채소가득짜장’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베지(Veggie)’는 ‘채식주의자(Vegetarian)’와 ‘채소(Vegetable)’라는 뜻을 포괄하는 단어다. 오뚜기는 최근들어 채식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데 착안해 이번 브랜드를 선보인다며, 브랜드 이름 ‘헬로베지’에 대해 소비자들의 비건 라이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전했다. 오뚜기가 선보인 신제품 2종은 오뚜기 레토르트 카레·짜장 최초의 비건 인증 제품으로 세계적인 비건 단체인 영국 비건 소사이어티로부터 인증도 받았다. ‘채소가득카레’는 토마토와 양파를 베이스로 한 카레 소스를 사용했다. 새송이버섯, 병아리콩, 물밤, 연근, 토마토, 샐러리, 양파, 당근 등을 넣어 다채로운 식감을 살렸다. ‘채소가득짜장’은 볶은 양파를 베이스로 하는 짜장 소스에 표고버섯, 병아리콩, 완두콩, 물밤, 연근, 우엉, 감자, 양파 등이 들어간다. 조리의 편의성을 높인 제품 패키지도 특징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축산업이 기후위기를 야기하는 온실가스의 주범이라는 인식이 만연한 가운데 소가 내뿜는 메탄가스를 막는 마스크가 개발돼 눈길을 끈다. 축산업이 온실가스 배출량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축산업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전체 배출량의 14.5%에 이르며 소는 가축 부문 배출량의 약 65%나 차지한다. 여러 종류의 온실가스 가운데 특히 메탄은 기후위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유엔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발표한 메탄의 지구온난화지수는 이산화탄소의 21배에 달하며 84배 강력하다. 메탄이 열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그만큼 지구온난화 현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악명높은 메탄을 배출하는 것이 바로 소다. 소는 반추동물로 되새김질을 하며 위장에서 메탄을 생성하는데 이때 발생한 메탄을 방귀와 트림으로 배출한다. 이에 소 사육이 필수인 축산업계와 낙농업계는 메탄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영국의 신생기업 젤프(Zero Emissions Livestock Project, ZELP)는 메탄 배출을 이산화탄소와 수증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우유는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해 성장에 도움이 되며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젖소가 생산한 우유가 아닌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 대체유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체유는 식물성 원료로부터 만들어진 우유로 아몬드 우유, 코코넛 우유, 두유, 오트 밀크 등 종류가 다양하다. 관련 시장이 커지면서 감자, 고구마 등으로 만든 대체유까지 등장하고 있다. 오랫동안 완전식품으로 꼽히던 우유 대신 식물성 대체유를 찾는 이유는 뭘까? 첫 번째로 건강상의 요인을 들 수 있다. 한국인 등 아시아인 가운데는 우유 등 유제품을 섭취할 시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유당불내증을 가진 이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약 75%가 가지고 있다는 유당불내증은 포유류의 젖 속에 들어 있는 유당을 분해하는 락타아제(lactase)가 없거나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곡물로 만든 우유인 대체유는 우유와 같이 단백질 공급을 해줄뿐더러 쉽게 소화가 가능해 완벽한 대안이 된다. 소비자들이 식물성 대체유에 관심을 갖는 두 번째 이유로는 환경적인 요인이 있다. 우유를 만드는 모든 과정에는 상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어린이날을 하루 앞두고 있다. 특히 올해는 100번째 어린이날로 어린이들의 스테디셀러 선물로 손꼽히는 장난감 업계에서는 보다 다양한 선물을 마련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하지만 화려하고 재미있어 보이는 장난감을 고르기 전에 장난감이 결국 플라스틱 쓰레기가 된다는 점을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2014년 UNEP의 보고서 ‘플라스틱 가치 평가’(valuing plastics)는 장난감 산업에 대해 매출 100만 달러당 40톤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플라스틱 집약적인 산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는 장난감의 90%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으며 플라스틱 장난감에는 납이나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물질이 포함돼 있고 이러한 유해물질 범벅 플라스틱 장난감에 노출되는 어린이들은 체내에 화학물질이 흡수될 위험성이 높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국제학술지 ‘환경인터내셔널’(Environment International)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덴마크공대와 미국 미시간대, 유엔환경계획(UNEP) 연구진이 공동으로 서유럽 어린이들의 장난감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가 소비 트렌드가 되고 동물의 복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실험에 동원되는 동물의 수는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24일 '세계 실험동물의 날'을 앞두고 공개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동물실험에 동원된 동물의 수는 총 488만252마리로 전년 대비 73만 마리(17.8%)가 증가했다. 동물실험에 동원되는 동물은 조류부터 설치류, 어류 등 종류가 다양하다. 그 가운데 마우스가 지난해 총 316만4837마리가 희생되면서 전체 동물의 65%를 차지했다. 높은 강도의 동물실험 수도 늘어났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고통등급에서 가장 높은 고통인 E단계를 ‘척추동물을 대상으로 극심한 고통이나 억압 또는 회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동반하는 교육 또는 연구’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E등급의 실험에 동원된 동물이 218만 마리로 전체의 44.6%를 차지했으며 중등도 이상의 고통이나 억압을 동반하는 D등급의 동물실험까지 더했을 경우 전체의 77.8%를 차지할 정도였다. 나날이 늘어가는 동물실험에 동물보호단체는 동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보다 많은 이들에게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알리고자 국립극단이 연극을 마련했다. 국립극단은 오는 11일부터 6월 5일까지 명동예술극장에서 '기후비상사태: 리허설'을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기후비상사태: 리허설'은 지구의 수명을 24시간으로 가정했을 때, 마지막까지 60초가 채 남지 않은 현 상황의 우리에 대해 조명하고 모두가 가까운 미래에 당면할지도 모를 상황을 다큐멘터리 형식과 극적 구성으로 이야기한다. 제작 과정에서 프로덕션 전원의 기후감수성 고취를 위해 기후과학자 조천호 박사를 초청해 강의를 진행했다. 무대 세트·의상·소품 등을 가능한 재활용하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 연습 중에는 텀블러 사용을 실천했다. 출연진과 스태프의 탄소발자국과 연습 및 공연 기간 중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한편 관람객의 탄소발자국, 공연 종료 후 발생하는 폐기물 등을 산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기록한 '기후 노트'를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작·연출은 다큐멘터리 극을 주로 만들어온 전윤환이 맡았다. 그는 "기후위기는 개인 차원의 실천을 통해서만은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불평등과 착취, 폭력 등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도 큰 만큼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와 함께 코로나 엔데믹으로의 전환을 맞아 위축됐던 여행심리가 빠르게 되살아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과는 다른 친환경 프로그램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러한 변화에는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에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많은 소비자가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의 여파로 친환경 의식이 높아졌다는 설문조사도 공개됐다. 세계적인 숙박 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가 에코노미스트 임팩트(Economist Impact)에 의뢰해 진행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관광 재건: 보다 의식있는 여행자?(Rebuilding tourism in Asia-Pacific: A more conscious traveller?)’에 따르면 여행 상품을 구매할 때 지속가능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무려 86.8%가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여행 상품을 구매할 때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속가능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호텔업계의 지속가능성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호텔업계는 발 빠르게 친환경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전남 순천시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순천의 관광자원 홍보를 위한 장기 체류여행 프로젝트 ‘제로 웨이스트 여행 in 순천’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남도의 ‘남도에서 한 달 여행하기’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축소된 해외여행 대신 국내 여행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단체관광보다는 가족·연인·친구 단위로 캠핑·차박 등 한곳에 머물면서 그 지역 고유의 맛과 멋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다. 시는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는 희망자를 대상으로, 순천에서 장기간 체류하면서 전남 곳곳의 여행지를 직접 체험하고, 이를 SNS 등을 통해 홍보해 관광객의 방문과 재방문율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단순한 여행이 아닌 ‘지구와 다음 세대를 위한 가치소비’를 콘셉트로 텀블러·다회용기 사용 등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기획해 대한민국 생태수도 순천의 이미지에 맞게 추진할 예정이다. 참가희망자는 여행계획서 등 신청서류를 오는 29일까지 순천시 관광과로 우편 또는 전자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참가 대상자는 홍보효과 등을 고려해 여행작가나 예술가, 유명 블로거,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 MZ세대 등을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