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감염병은 야생동물서 왔다? "동물을 먹는 행위 자체가 문제"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전 세계를 위협에 빠뜨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을 놓고 여러 기관의 조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과학계는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야생 박쥐에서 최초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박쥐에 기생하던 원형바이러스가 중간 매개체를 거쳐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인수공통감염병이 됐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동물과 사람 간에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연구에 따르면 연간 수백만 명이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사망하는데 이 중 75%는 야생동물에게서 발생한 감염병이다. 과거 과학자들은 다양한 야생동물 중에서도 박쥐와 설치류가 인간에게 위험한 질병을 전파하는 경향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최신 연구는 흔히 알려진 박쥐와 설치류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국제자연보호협회(Nature Conservancy)의 시바프라카시 나가라주(Shivaprakash Nagaraju)박사는 “과거부터 설치류와 박쥐가 질병 전염의 핵심종으로 밝혀졌지만 실은 영장류와 유제류가 더 큰 위험이 된다”고 밝혔다. 특히 척추 동물 포유류 중에서 발 끝에 발굽이 있는 동물을 의미하는 유제류에는 소, 사슴, 영양 등이 포함돼 있다.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