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연예기자 출신 유튜버들의 무분별한 비방 콘텐츠가 연예계에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배우 김새론의 사망과 관련해 연예기자들의 유튜브 활동을 제재해 달라는 국민동의청원이 국회에 올라왔으며, 청원이 공개된 지 나흘 만에 5600여 명이 동의했다. 청원인은 "전현직 연예부 기자의 악질적 행태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며, 고 김새론 배우와 관련해 "유튜버가 그녀의 일거수일투족을 스토킹 수준으로 파헤치고, 자신의 판단에 근거해 비판성 콘텐츠를 유포했다"고 지적했다. 청원인이 국회에까지 목소리를 낸 이유는 연예 유튜버들을 고소해도 콘텐츠 생산이 멈추지 않기 때문이다. 권영찬 한국연예인자살예방협회 소장은 28일 K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소송이 6개월에서 1년이 걸리고, 벌금이 나와도 300만 원에서 400만 원 수준이다. 그러나 유튜버들은 그사이에 수익으로 1억에서 2억 원을 벌어들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유튜버 구제역이 1심에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으며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지만, 처벌이 여전히 약하다는 지적이 많다. 권 소장은 "가짜뉴스를 돈벌이로 삼는다면, 점점 더 자극적이고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퍼져나갈 위험이 크다"고 경고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배우 김새론의 사망을 계기로 자극적인 연예인 관련 보도에 대한 사회적 비판 여론이 거세지면서,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들의 무분별한 활동을 제재해달라는 국민 청원이 국회에 제출됐다. 이 청원은 게시 하루 만에 4천여 명이 동의하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국회전자청원 누리집에 따르면, "연예 전문 기자의 유튜브 채널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연예인 자살 등의 피해 예방을 위한 국회 차원의 강력한 제재 요청"에 대한 청원이 이미 4200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청원이 정식 절차를 밟기 위해서는 30일 이내에 100명의 동의가 필요한데, 이는 이미 충족된 상태다. 청원인 정씨는 "연예부 기자가 만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예인을 스토킹 수준으로 괴롭히는 문제는 오래된 사회적 이슈다"며, 최근 이러한 행태로 인해 또 한 명의 젊은 여배우가 자살로 비극적 결말을 맞이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씨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전∙현직 연예부 기자들의 악질적 행태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씨는 또한 "더 큰 꿈을 키워나가야 할 어린 배우 김새론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며, 그녀가 과거 음주운전 사고로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이후 자숙하며 조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