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구미 20.0℃
기상청 제공

이슈

[건강칼럼] 갑자기 강아지 다리 절뚝 증상, 원인과 예방 방법은?

 

강아지가 산책하다 또는 뛰어놀다가 절뚝거린다면 파행일 수 있다. 강아지들이 절뚝거리며 걷는 파행의 대표적인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파행의 첫 번째 원인은 슬개골 탈구를 꼽을 수 있다. 이는 제일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원인으로 주로 소형견에게서 발생한다. 무릎 가운데 얹혀있는 조약돌 모양의 슬개골 뼈가 무릎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빠지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소형견은 뼈가 안쪽으로 빠지면서 무릎 연골을 자극해 관절염과 통증을 유발한다. 1~4단계로 구분하며, 2단계부터는 외과적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전십자인대 파열이다. 전십자인대란 무릎 안에 있는 허벅지 뼈와 종아리뼈(경골)를 붙잡아 주는 인대다. 이 인대가 파열되는 경우 두 뼈를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걸을 때 경골이 밀리면서 통증을 유발해 절뚝거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십자인대 파열은 갑자기 뛰어내리거나 뛰다가 뒷다리가 걸리는 등 외상에 의해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는 고관절 질환을 꼽을 수 있다. 허벅지 뼈(대퇴골)의 골두(뼈의 머리)가 골반에 끼워 맞게 되면서 뒷다리가 몸에 붙는데 이 부분을 고관절이라 한다. 고관절 이형성, 고관절 탈구, 고관절의 허혈성 괴사 등 고관절에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 다리 절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통 소형견에서 많이 보이지만 대형견에게도 다발하는 질환이다. 치료의 경우, 통증 반응이 심하지 않을 경우 진통소염제로 관리해 줄 수 있지만, 탈구나 허혈성 괴사로 인한 통증 반응이 심할 경우에는 외과 치료를 진행해야 회복이 가능하다.

 


네 번째는 디스크다. 강아지 디스크는 다리가 짧고 허리가 긴 견종에게 주로 발생하며, 돌출된 디스크 수핵이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과 함께 보행이 불편해지게 된다. 디스크는 단계에 따라 증상이 다른데, 1~3단계까지는 항염제와 진통제를 투약해 통증을 완화하고 재활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운동 제한 및 체중조절이 필수로 이루어져야 한다. 3단계 후반부터는 수술적 교정 치료가 필요하다.


파행 증상 예방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보호자의 관심이다. 높은 곳에서 뛰거나,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체중조절을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바닥에 편안한 시트를 깔아주어 미끄럼 방지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 외에도 주기적인 검사를 진행해 주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강아지들은 기능적 손상이나 구조적 손상이 있더라도 통증 반응을 알아차리기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산책 시 또는 집에서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럽거나 절뚝거리는 파행 증상을 보인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해 외과 전문 수의사를 통해 제대로 진단받고, 원인을 찾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박수형 영등포 수동물병원 원장)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프로필 사진
서인홍 기자

국민을 존중하고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와 진실을 전해주는 정론직필 비건뉴스 발행인입니다.
'취재기자 윤리강령' 실천 선서 및 서명했습니다.
언론중재위원회 '2022년도 제1차 언론인 전문 연수' 이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