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를 상실했을 때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시행되는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기능과 우수한 심미성으로 많은 환자들이 선호하는 치료이다. 그러나 임플란트는 치료가 종결됐다고 해서 끝난 것이 아니다.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임플란트 수명이 결정된다.
많은 환자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임플란트는 식립만 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임플란트 이후에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보철물이 부러지거나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생기는 등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재식립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실제 임플란트 치아 자체는 썩을 수 없다. 하지만 픽스처와 지대주 주위에 세균이 침입해 주위염이 생길 수 있는데 임플란트에는 신경이 없으므로 처음엔 통증이 없다가 어느 순간 잇몸이 심하게 붓고 통증이 극심해질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적이다.
잇몸뼈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임플란트와 다르게 주위 치아들은 평생 조금씩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식립 후 시간이 지나며 고정된 임플란트와 이동한 치아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이 사이에 음식물이 끼이거나 치태, 치석이 쌓일 수 있으므로 평소 철저한 구강관리로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때 제거하고 치간 칫솔 등으로 꼼꼼하게 관리해 줘야 한다. 주기적인 스케일링으로 치태와 치석이 쌓이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임플란트 주위염을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잇몸 뼈가 손상되었을 때 재수술도 어려운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 스스로 생각하기에 이상이 없다고 느껴지더라도 치과에서 안내하는 정기검진 날짜에 병원을 방문해 정기적인 검사를 받길 권한다. (청주 더봄치과 김홍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