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치아는 단순한 저작 기능을 넘어 전신 건강과 삶의 질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다. 치주병 등으로 치아를 다수 상실한 사람들, 특히 고령층의 경우 전체 치열이 무너지고, 음식 섭취에 어려움을 겪으며, 심지어 안모 변화까지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 중 하나가 바로 전악 임플란트다.
전악 임플란트는 모든 치아를 하나하나 식립하는 방식이 아니라, 위·아래 턱에 각각 6~10개의 임플란트를 심고 그 위에 브릿지형 보철물을 연결해 전체 치아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다. 틀니보다 고정력이 뛰어나고 저작력과 심미성이 자연치아에 가깝기 때문에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시술 범위가 넓고 출혈과 회복 부담으로 인해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는 부담이 컸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기반 디지털 진단과 모의수술이 가능해지면서 보다 정밀하고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해졌다.
특히 3D CT, 구강 스캐너 등으로 치조골 상태와 신경 위치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 시뮬레이션과 수술 가이드를 제작하면 절개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통증, 출혈 부담도 줄어든다. 당뇨,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잇몸뼈가 부족하거나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뼈이식 또는 치주 치료를 병행해야 하므로 사전 진단이 중요하다.
전악 임플란트는 시술 후 관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인공치아는 충치에는 강하지만, 잇몸 염증에는 취약하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면역력이 낮아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기검진과 구강위생 관리가 필수다. 시술 후 임플란트 주위염이나 보철물 탈락 등 부작용을 방지하려면 숙련된 의료진과 체계적인 사후관리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부평역 부평유디치과 김방신 대표원장(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은 5일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전악 임플란트는 여러 치아를 한꺼번에 복원하는 치료로, 시술 전 개인의 치조골 상태, 구강 구조, 전신 건강을 모두 고려한 정밀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며 “무엇보다도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치료이기 때문에, 무작정 시술을 결정하기 보다는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