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목포 31.0℃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구미 31.6℃
기상청 제공

부산/울산/경남

부산형 국제개발 협력 연수 모델 본격화, '파라과이 폐기물 관리 역량 강화 연수' 운영

'파라과이 수도권 고형 폐기물 관리 역량 강화' 연수를 8월17일부터 2주간 운영… 우수한 폐기물 처리기술과 자원순환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마련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부산시와 (재)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파라과이 수도권 고형 폐기물 관리 역량 강화(2025~2027)' 1차 년도 연수를 오늘(17일)부터 8월 30일까지 2주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부산의 우수한 폐기물 처리기술과 자원순환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 시와 (재)부산글로벌도시재단이 지난 3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국제(글로벌)연수 공모’에서 3년간(2025년부터 2027년까지) 약 8억 원의 국비 예산을 확보한 사업이다.

 

연수에는 파라과이 누에바 콜롬비아 시장, 빌라엘리사 시의원, 감사원 사무국장 등 정책결정자 14명이 참가해, ▲정책 강의 ▲현장 방문 ▲체험활동 ▲워크숍 등 이론과 실습이 균형 잡힌 맞춤형 프로그램을 이수한다.

 

‘순환 경제 정책 간담회’에서 시 자원순환과장이 직접 정책을 소개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이해를 높인다.

 

또한, 파라과이의 주요 현안인 ‘폐기물에 대한 시민 인식 개선과 참여 확대’에 초점을 맞춰, 참가자들이 부산의 선진 자원순환 정책과 기반 시설을 직접 체험하며 자국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주요 방문지는 ▲부산환경공단 자원순환 협력 센터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시민 나눔장터 ▲도모헌 등이다.

 

 

연수 마지막 일정에서 참가자들은 2주간의 교육·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도출한 ‘실행계획(Action Plan)’을 '순환 경제 공적 개발 원조(ODA) 토론회'에서 발표해 부산시 및 타 지자체의 우수사례와 공유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해외 초청 연수를 넘어 부산형 국제개발 협력 연수 모델을 본격적으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를 중심으로 ▲부산환경공단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지역 신생 기업(스타트업) '테라클' 등 자원순환 분야의 핵심 주체들이 참여해, 연수생에게는 실질적인 정책·기술 경험을, 지역 참여자에게는 국제 협력의 장을 제공한다.

 

부산환경공단은 자원순환특화단지와 생물 가스(바이오가스)화 시설 등 우수한 기반 시설을 기반으로 실습 중심의 현장 연수를 제공하며, ▲코끼리공장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인 순환 경제 모델과 맞춤형 방안(아이디어)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자원순환 신생 기업(스타트업)인 ‘테라클’의 참여를 통해 세계 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한다.

 

시는 이번 연수를 민·관·산·학이 함께 성장하는 자원순환 협력의 장으로 발전시켜, 부산형 순환 경제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글로벌도시재단 전용우 대표는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2016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세계적 공공외교 기관으로 성장해 왔다”라며, “이번 연수를 통해 부산의 우수한 정책과 기술을 알리고 지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다.

 

이병석 시 환경물정책실장은 “이번 연수사업은 부산의 폐기물 관리 및 자원순환 정책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향후 국제적 환경 협력과 개발도상국 지원을 더욱 확대하여 세계적인 자원순환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