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2027년, 고봉 기대승 탄신 500주년 기념해 전국적 문화 페스티벌로 지금부터 준비하자 제안하는 정책토론회가 개최된다.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과 고봉숭덕회(이사장 천득염)는 오는 8월 25일(월) 오전 10시, 시의회 5층 예결특위 회의실에서 '2027년 고봉 탄신 500주년 기념 페스티벌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7년은 조선 성리학의 큰 학자이자 ‘세상에 보기 드문 통유(通儒)’, ‘학문·문장·의리 삼절(三節)’로 평가받았던 고봉 기대승 선생(1527~1572)의 탄신 500주년이다. 대중에게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과 8년에 걸쳐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인간의 도덕적 감정과 보편적 감정의 근원을 두고 벌인 ‘사단칠정 논쟁’으로 유명하다. 이번 토론회는 고봉 선생의 사상과 철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호남학과 한국학의 지향점을 모색하면서 2027년 500주년 행사를 전국적 규모의 문화축제로 상상하는 자리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전남대학교 윤리교육과 김기현 교수는 “한국 성리학은 고봉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며 고봉을 ‘행동하는 선비’로 평가하고, “오늘날 민주사회 공직자와 민주시민의 표상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전남대 호남학과 김경호 교수는 “로컬과 디지털, 기대승을 결합해 ‘보편학으로서의 고봉학’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며,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를 아우르는 학문적 지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토론자로는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이향준 교수, 남도역사연구원 노성태 원장, 광주광역시 전은옥 문화체육실장, 고봉숭덕회 장복동 교수 등이 참여한다. 고봉의 현재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의미를 조명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퇴계와의 철학적 논쟁이라는 문화 콘텐츠가 영호남 갈등을 넘어서는 신뢰의 역사 자산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를 주관하는 박수기 시의원(광산구5)은 “2027년으로 다가온 고봉 탄신 500주년은 세계적 한류 열풍 속에서 한국 정신문화의 뿌리를 발견하고 확장하는 문화축제로 준비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이번 토론회의 의미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