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경상남도는 1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3차 경상남도 도시재생 정책포럼’을 열고 사후관리 강화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행사에는 광역과 기초지자체, 중간지원조직, 전문가, 주민협의체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경남도는 올해 6월 열린 제1차 포럼에서 도시재생 4.0 정책방향과 공동체 중심 재생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정책 전환의 방향을 공유했다. 8월 국회 제2차 포럼에서는 지방 중소도시의 현실과 제도 개선 과제를 다루며 중앙–지방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날 제3차 포럼에서는 현장 실행력을 높이는 사후관리와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구체화한다.
발제에서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김이탁 (사)도시와미래 이사장은 ‘5극3특’ 전략을 토대로 중소도시 균형발전과 도시재생의 연계 가능성을 짚었고, 임상연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사후관리의 필요성과 지자체 책임을 강조하며 광역–기초 협력체계의 중요성을 제안했다. 박진호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경남의 도시재생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주민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제시했다.
지정토론은 최열 부산대 도시공학과 특좌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정희성 경남도의원은 지역상생리츠 도입과 광역 단위 도시재생개선평가센터 설립을 제안하며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짚었다. 손기욱 함양군 미래발전담당관은 중간지원조직의 전문성과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한 법인화 방안을 강조했고, 장병수 밀양시 문화도시센터장은 구 밀양대학교 리모델링으로 조성된 햇살캠퍼스 사례를 소개하며 지역 자산을 활용한 문화적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공유했다.
이번 포럼은 학계와 연구기관뿐만 아니라 시군 실무자와 중간지원조직이 대거 참여해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정책 논의에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도는 앞으로도 광역·기초지자체, 중간지원조직,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 구조를 강화하고, 현장 중심의 사후관리 체계를 고도화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서희봉 도의회 건설소방위원장이 참석해 포럼 개최를 축하하며 “도의회도 도시재생이 현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박명균 도 행정부지사는 “경남은 전국 상위권의 도시재생 공모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제는 성과의 사후관리와 지속적 운영이 중요하다”며 “포럼에서 제안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활력 회복으로 이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