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흐림구미 27.3℃
기상청 제공

이슈

[건강칼럼] 심한 치통 반복된다면…신경치료 필요 여부 정확히 진단해야

 

치아 통증이 반복되거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 단순한 충치 치료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 고려되는 치료가 바로 신경치료(근관치료)다. 신경치료는 손상된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치아 내부를 소독·밀봉해 치아를 보존하는 대표적인 보존치료다.

 

치아 내부에는 신경과 혈관이 포함된 치수 조직이 존재하는데, 충치가 깊어져 치수에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하면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방치할 경우 염증이 치근단으로 퍼져 턱뼈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종기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 살릴 수 있는 마지막 수단으로 신경치료가 진행된다.

 

신경치료는 치아를 삭제해 내부 치수 조직에 접근한 뒤, 감염된 조직을 제거하고 치근관 내부를 정밀하게 세척하고 소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후 치근관에 약제를 채워 밀봉하고,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보철 수복(인레이나 크라운)을 시행하게 된다.

 

근관의 구조는 복잡하고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치료 과정에서 치과용 현미경이나 근관 내 기계장비를 활용해 감염 부위를 정밀하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치근관이 만곡됐거나 좁은 경우에는 술자의 경험과 장비의 정밀도가 치료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신경치료가 필요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씹을 때 통증이 지속되거나, 자극이 없는데도 욱신거리는 통증이 생기는 경우, 치아가 갑자기 검게 변색되는 경우, 잇몸에서 고름이나 누공이 형성되는 경우 등이 있다. 해당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무조건 신경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염증이 내부로 확산된 경우라면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후에도 일정 기간 불편감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이며, 치유가 진행되면 점차 호전된다. 그러나 드물게 감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치아 뿌리 쪽에 균열이 있는 경우에는 재신경치료나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신경치료가 완료된 치아는 혈류 공급이 끊기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치료 후 크라운 등으로 치아를 보호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아 상태를 점검하고, 주변 조직에 염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신경치료는 치아를 살리기 위한 핵심적인 치료로, 발치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치아를 오랜 기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초기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이상이 느껴지면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용산 참좋은치과 이석 원장 )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