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요거트가 뼈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지만, 실제로는 골절 예방이나 골밀도 향상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연구진은 “요거트의 뼈 건강 효과를 단정하기엔 근거가 부족하다”며 향후 표준화된 제품을 활용한 고품질 임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뉴트리션(Frontiers in Nutrition)'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197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2024년 말까지의 추가 자료를 검토했다. 연구진은 코크란 라이브러리, 퍼브메드(PubMed), 스코퍼스(Scopus) 등 주요 데이터베이스에서 요거트 섭취가 성인의 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논문을 체계적으로 수집했다. 대상은 골다공증 유무와 관계없이 성인이었으며, 요거트 섭취군과 비섭취군, 혹은 비발효 유제품 섭취군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총 1302건의 문헌 중 14건만이 연구 기준을 충족해 최종 검토 대상에 포함됐다. 이 중 대부분은 관찰 연구였으며, 폐경기 이후 여성 등 다양한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골절 위험, 골밀도(BMD), 뼈 관련 생체지표 등을 측정했다. 그러나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미국 성인 대다수가 학교 급식에서 식물성 식단과 비유제품 음료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회’(PCRM)와 모닝컨설트(Morning Consult)가 이달 초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비건 급식과 두유 등 비유제품 음료 제공에 찬성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이러한 선택권 확대를 적극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PCRM 소속 영양학자 스테파니 맥버넷은 “전국 학교가 ‘전국 학교 급식 주간’을 맞아 건강한 급식의 중요성을 알릴 시점”이라며 “학생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식물성 식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식물성 급식이 일반 급식보다 섬유질이 많고 지방이 적어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PCRM이 워싱턴D.C.의 한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에서는 식물성 메뉴가 일반 급식보다 섬유질 함량이 3배 높고 지방과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이 적은 반면, 철분과 비타민A·C 등 영양소는 더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학교에서는 렌틸콩과 강낭콩을 활용한 ‘파워드 업 파스타’와 ‘베지 아웃 칠리’ 같은 메뉴가 제공됐다. 이는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바다로 흘러드는 영양분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천 년 동안 육지와 바다를 잇는 ‘자연의 영양 공급로’ 역할을 해온 빙하가 더 이상 바다 생태계에 충분한 영양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연구진은 최근 알래스카 케나이 반도의 두 빙하를 비교 조사했다. 하나는 여전히 바다와 맞닿아 있는 아이알릭 빙하, 다른 하나는 1950년 이후 15킬로미터 이상 후퇴한 노스웨스턴 빙하였다. 두 빙하는 동일한 암반 위를 흐르지만, 녹은 물의 성분은 크게 달랐다. 노스웨스턴 빙하의 융빙수에는 해양 플랑크톤이 생존에 꼭 필요한 철과 망간의 ‘생체 이용 가능 형태’가 훨씬 적게 포함돼 있었다. 반면 아이알릭 빙하는 비교적 신선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해 바다 생물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었다. 연구를 이끈 사라 애런스 지구화학자는 “빙하가 더 후퇴할수록 물이 얼음 아래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동안 더 많은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며 “그 결과 철 같은 영양소가 해양 생물이 이용할 수 없는 형태로 바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연구진이 각 빙하에서 유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세계 비건의 날’을 맞아 비건 문화를 예술로 풀어내는 ‘2025 비건아트페스티벌’이 오는 11월 1일 낮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제주 에땅블루제주 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비건 음식, 예술, 음악, 나눔을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축제로 마련됐다. 올해 비건아트페스티벌은 △비건 만찬 △고양이 미술제 △동물을 사랑하는 작가전 △비건 고양이 장터 △고양이 음악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주최 측은 “비건 문화를 체험하며 동물과 공존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시간으로 준비했다”고 밝혔다. ‘비건 만찬’에서는 비건 쉐프와 함께 요리를 배우고, 참가자들이 직접 만든 음식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 진행된다. 주요 메뉴는 비건 주먹밥, 바비큐, 김치, 치킨너겟, 피자 등으로, 모든 재료는 식물성 원료로 구성된다. ‘고양이 미술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작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이 그린 작품 중 우수작에는 대상·금상·은상·동상 등이 수여된다. 주최 측은 “미술 활동을 통해 생명존중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배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동물을 사랑하는 작가전’에서는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판매되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세계 각국에서 식물성 식단(plant-based diet)이 건강 증진과 환경 보호의 핵심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헝가리 데브레첸대학교 연구진은 최근 발표한 ‘식물성 식단 전환의 이점과 장벽에 대한 종합적 검토’ 논문을 통해, 채식 전환의 건강적·사회적 이점과 동시에 여전히 존재하는 심리적·문화적 저항 요인을 면밀히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토대로, 사람들이 채식으로 전환할 때 인식하는 이익과 실제 행동을 가로막는 장벽을 구분해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연구진은 1974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제 및 헝가리 학술자료 101편을 분석한 결과, 식물성 식단은 질병 예방, 삶의 질 향상, 환경 보전에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식물성 식단의 가장 큰 장점은 건강 증진이다. 포화지방 섭취가 줄고 체지방이 감소하며, 심혈관질환·당뇨병·암 등 만성질환 위험을 낮춘다. 연구에 따르면 비건이나 채식인은 비채식인보다 평균 체중이 낮고,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안정적이었다. 또한 과일, 채소, 통곡물, 콩류 등을 중심으로 한 식단은 식이섬유와 항산화 비타민을 풍부하게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해수면이 서서히 높아지고 폭풍이 거세지는 가운데, 인류가 오랜 세월 삶의 터전으로 삼아온 해안이 이제는 ‘떠나야 할 곳’으로 변하고 있다. 세계 각지의 연안 지역 사회 절반 이상이 바다로부터 한 걸음 물러서는 선택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한 이주가 아니라, 생존과 불평등, 그리고 적응력의 한계가 교차하는 ‘인간의 후퇴’다. 모나시대학교, 중국 쓰촨대학교 재난관리·복구연구소, 덴마크 및 인도네시아 연구진이 공동으로 수행한 국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연안 지역 사회의 56%가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내륙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1992년부터 2019년까지 27년에 걸쳐 155개국 1,071개 해안 지역의 위성 야간 조명 데이터를 분석해, 인류의 거주지가 바다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적했다. 그 결과는 단순하지 않았다. 조사 대상 중 28%는 기존 위치에 머물렀고, 16%는 오히려 해안 쪽으로 인구가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샤오밍 왕 모나시대 겸임교수는 “내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하지만, 이는 이동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지역에 국한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빈곤 지역 주민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LUSH)가 글로벌 뷰티업계 최초로 ‘오션 플라스틱 방지 인증(Prevented Ocean Plastic™, 이하 POP)’ 용기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러쉬는 지난 2024년부터 영국의 포장재 제조업체 ‘스펙트라 패키징(Spectra Packaging)’과 협력해 제품 용기를 POP 용기로 전환해왔다. POP 플라스틱은 인도네시아 등 해안 50km 이내 오염 취약 지역에서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자원으로, 해양 유입 전 단계에서 차단해 재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세상을 더 러쉬스럽게(Lusher Than We Found It)’라는 브랜드 철학 아래 진행된 이번 POP 용기 전환을 통해, 현재까지 영국 내 공급망에서 약 300만 개 이상의 용기가 교체됐다. 러쉬는 이를 통해 플라스틱 유입을 줄이는 동시에 수거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러쉬 전체 제품의 약 66%는 포장재가 없는 ‘네이키드(Naked)’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나머지 제품도 100% 재활용 플라스틱이나 지속가능한 소재를 활용한다. 또한 ‘폐쇄형 순환 시스템(Closed L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중해식 식단을 꾸준히 실천한 여성들이 자궁내막증 발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과일·채소·콩류 등 식물성 식품 위주의 균형 잡힌 식단이 염증 완화와 생식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으며, 이란 여성들의 지중해식 식단 준수 정도와 자궁내막증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건강한 식단을 유지할수록 자궁내막증 발병 확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자궁 외부에 자라 통증과 불임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가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병에는 호르몬·염증·면역 반응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며, 유전과 환경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이란 테헤란 지역 여성 345명을 대상으로 병원 기반 사례-대조군 연구를 수행했다. 이 중 자궁내막증이 수술 또는 조직검사로 확인된 105명과 질환이 없는 대조군 208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됐다. 연구 대상은 모두 18세 이상 49세 이하의 비임신·비수유 여성으로, 주요 만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21일 오후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종차별주의’를 중단하고 비건(Vegan) 채식을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모든 생명은 평등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동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세계 주요 육류·유제품 기업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사우디아라비아 전체보다 많고, 주요 화석연료 기업들과 맞먹는 수준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기후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축산업이 여전히 감축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분석은 국제 농업무역정책연구소(IATP), 푸드라이즈(Foodrise), 지구의 벗 미국(Friends of the Earth US), 그린피스 북유럽(Greenpeace Nordic) 등이 공동으로 실시한 것으로, 보고서는 최근 공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45개 육류·유제품 대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10억2000만 톤의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2위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2023년 전체 배출량을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상위 15개 축산 기업의 배출량은 독일 전체보다 많았으며, JBS, 마프리그, 타이슨, 미네르바, 카길 등 상위 5개 기업이 총 4억8000만 톤을 배출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셰브런, 셸, BP 등 세계적인 화석연료 대기업보다 높은 수준이다. 그중 브라질의 JBS는 전체 45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인간과 비인간 동물이 존엄하게 공존하는 세상을 바라는 ‘2025 대전비건페스티벌’이 오는 18일 대전 선리단길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대전비건페스티벌은 대전의 환경단체, 정당, 시민모임 등으로 구성된 ‘2025 대전비건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총 10개 단체와 28명의 추진위원이 함께하며,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번 축제는 먹거리·오락·전시 대상으로 소비되는 비인간 동물의 현실을 돌아보고, 모든 생명이 존엄하게 살 권리가 있음을 시민들과 공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직위원회는 “인간을 넘어 지구 생명 전체의 자유와 평등, 그리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시민들과 나누고자 한다”고 밝혔다. 행사 현장에는 전국 각지의 동물권 운동 현장을 소개하는 전시와 함께 비건 음식 체험, 실크스크린·캘리그라피 등 비거니즘 메시지를 담은 체험 부스가 운영된다.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참가 신청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오후 1시 30분부터 4시 30분까지는 공연과 워크숍이 이어진다. 첫 순서로 ‘넓적한 물살이’의 ‘내 안의 바다를 깨우는 춤 워크숍’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21일 오후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종차별주의’를 중단하고 비건(Vegan) 채식을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모든 생명은 평등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동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