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권광원 기자] 톱텍(대표이사 정지용)이 전사 차원의 ESG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강화하며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2022년 ESG위원회와 전담 부서를 신설한 이후 강화되는 규제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조직적 기반을 구축해 왔으며, ESG 경영 계획과 실적, 탄소배출 저감 활동 등 주요 현안을 매년 이사회에 정기 보고하고 있다. 톱텍은 환경(E) 부문에서 친환경 사업 투자와 관련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친환경 자동화 설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산업폐기물·오염수 배출 최소화, 에너지 사용량 절감,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등을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회사 측은 지속가능 사업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해당 활동을 관리하고 있다. 사회(S) 부문에서는 인권 존중을 중심에 두고 공정한 근무 환경 조성, 일·생활 균형 확대, 상호 존중 문화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공헌 활동을 지속하고 안전보건 체계 강화로 ‘질병·사고 제로’를 목표로 중대재해 예방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지배구조(G) 부문에서는 이사회 독립성 강화, 전문위원회 운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영국 정부가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고 인공지능(AI) 분석과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조직 등 신기술을 활용한 대체시험법으로 전환하는 국가 전략을 발표했다. 영국 과학기술혁신부는 이달 초 ‘과학에서의 동물 대체’ 정책 문서를 공개하며, 대체기술이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기존 동물시험과 동등한 수준으로 검증되는 경우 실험 전환을 촉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책 문서에는 3D 바이오프린팅 인체조직 모델, AI 기반 독성·유효성 데이터 분석, 장기 기능을 모사하는 오가노이드-온-칩 시스템 등 구체적 기술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시험법의 검증과 산업 현장 도입을 확대해 동물실험 의존도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총 75백만파운드 규모의 예산을 대체시험법 개발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60백만파운드는 정부가 직접 지원하며, 의학연구위원회(MRC), 이노베이트UK, 웰컴트러스트가 15.9백만파운드를 추가로 부담한다. 주요 재원은 인체 세포 기반 시험법(human in vitro models) 연구 고도화에 활용될 예정이다. 패트릭 밸런스 과학기술혁신부 장관은 “영국은 동물 고통을 줄이는 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세계 대체 육류 시장이 향후 10년간 빠른 확장을 지속하며 2035년 약 6174억달러(약 895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팩트엠알(Fact.MR)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약 660억달러(약 960조원) 규모의 글로벌 육류 대체물 시장이 연평균 25퍼센트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속가능성, 건강 중심 소비, 대체단백 기술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시장 확대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료별 시장 구성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전체의 6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형성한다. 이 중 완두콩 단백질은 약 40퍼센트 수준으로 파악되며 맛과 알레르기 회피 측면에서 강점을 지닌 원료로 평가된다. 마이코단백질과 대두 기반 원료 역시 꾸준히 활용되고 있으며, 해조류나 잭프룻 등 비전통 원료를 활용한 제품군도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유통 구조에서는 소매 부문이 전체의 약 70퍼센트 비중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과 현대적 유통망에서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며 소비자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외식업계 또한 대체 단백질 제품을 메뉴 구성에 적극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식품영양 분야에서 버섯은 낮은 열량과 다양한 미량영양소를 갖춘 식재료로 꾸준히 주목받고 있다. 항산화 물질, 식이섬유, 비타민과 미네랄이 고루 포함돼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며, 일상 식단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버섯을 활용한 비건 레시피도 다양하게 소개되면서 건강식 수요 증가와 함께 소비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 표고버섯은 햇볕 건조 시 비타민D 전구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이섬유와 렌티난 성분이 포함돼 기본적인 면역 기능과 장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다수 공유돼 왔다. 조리 활용도도 높아 표고를 얇게 썰어 간장·참기름에 살짝 볶으면 비건 반찬으로 손쉽게 준비할 수 있다. 육수 우려낼 때도 감칠맛이 살아나 비건 국물요리에 자주 사용된다. 느타리버섯은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에르고티오네인이 항산화 작용과 연관된 성분으로 언급돼 왔다. 결이 살아 있는 식감 덕분에 비건 불고기나 버섯 스테이크 대체재로 활용하기 좋다. 느타리를 손으로 찢어 양념에 재운 뒤 바삭하게 굽는 방식이 최근 트렌드 레시피로 소개되고 있다. 양송이버섯은 단백질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핀란드 푸드테크 기업 솔라푸즈가 공기와 전기만으로 생산하는 미생물성 단백질 ‘솔레인’의 우주 재배 가능성을 시험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번 연구는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탐사 프로그램 ‘테라 노바’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향후 국제우주정거장 적용까지 검토되고 있다. 솔라푸즈는 유럽 우주기술 기업 OHB시스템과 함께 ‘하이드로젠 산화균 무중력 영양원(HOBI-WAN)’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지상에서 솔레인 배양 시스템의 기초형을 구축한 뒤, 실제 우주 적용을 위한 비행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 결과에 따라 솔레인 배양 기술의 우주 환경 적용 여부가 검증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미세중력 환경에서 기체와 액체의 거동이 지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을 고려해 진행된다. 부력 상실로 인해 영양분과 기체 전달 방식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가스 발효 기반의 단백질 생산 시스템은 별도 기술 검증이 필수적이다. 특히 수소와 산소 혼합가스의 안전성 확보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솔라푸즈 우주·방위 분야 부사장 아르투 루카넨은 외신에 “우주 환경에서 지상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생물이 성장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이라며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최근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에서 오렌지주스를 매일 섭취했을 때 혈압·염증·지질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60일간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인체 대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중 관찰했다. 연구진은 오렌지주스가 심혈관 및 대사 건강 관리에 일정한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브라질 연구진이 21~36세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 대상자는 만성질환이 없고 약물·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참여했다. 연구 전에는 3일간 감귤류와 플라보노이드 함유 식품을 제한하는 ‘워시아웃’ 기간을 거쳤다. 이후 참가자는 60일 동안 매일 오렌지주스 500mL를 두 차례 나누어 섭취했다. 연구팀은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혈액을 확보해 유전자 발현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3790개 유전자가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2487개는 발현이 감소하고 1303개는 증가한 것으로 보고됐다. 변경된 유전자는 혈압 조절·염증 반응·지질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고혈압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 유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구 온난화가 심화될 경우 오는 2100년 전 세계 호수와 저수지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이 현재보다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스웨덴 연구진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수온 상승, 얼음 없는 기간 확대, 저수지 면적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내륙수계 메탄 배출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고온 시나리오에서는 배출량이 최대 두 배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메탄은 단기간 온난화 효과가 강한 온실가스로, 대기 잔존 기간은 이산화탄소보다 짧지만 수십 년 단위의 기후 영향력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은 연간 약 5억75백만톤으로 분석되며, 이 중 호수와 저수지가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러한 수계 배출량은 기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스웨덴 린쇼핑대학교의 환경변화학 교수 데이비드 바스트비켄은 내륙수계에서 메탄이 생성되는 과정과 기후 변화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호수와 저수지 바닥의 산소가 부족한 퇴적층에서는 식물 잔재물과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메탄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생성된 메탄은 기포 형태로 대기 중으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뷰티 플랫폼 화해를 운영하는 화해글로벌이 ‘2025 하반기 화해 어워드’ 수상 제품을 19일 공개했다. 올해 어워드는 ‘넥스트 뷰티’, ‘라이징 트렌드’를 포함해 총 7개 부문에서 진행됐다. 화해 어워드는 약 41만 개 제품과 970만 건이 넘는 이용자 리뷰·평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수 제품을 선별하는 K뷰티 시상식이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리뷰 어뷰징 패턴을 검증해 조작 가능성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신뢰도를 확보했다. 올해 수상작은 5월부터 10월까지 집계된 데이터를 반영해 ▲베스트 신제품 ▲효능·효과 ▲비건 ▲넥스트 뷰티 ▲라이징 트렌드와 함께, 연중 꾸준히 사랑받은 제품을 평가하는 ▲명예의 전당 ▲뷰티 어워드 등 7개 부문에서 총 647개 제품이 선정됐다. 명예의 전당에는 달바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 메디필 ‘레드 락토 콜라겐 랩핑 마스크’ 등 8개 제품이 올랐다. 뷰티 어워드에는 아누아 ‘PDRN 히알루론산 캡슐 100 세럼’, 리필드 ‘사이토카인 아이래쉬 듀얼 앰플’, 프롬랩스 ‘단백질 흡착 트리트먼트’ 등 414개 제품이 포함됐다. 베스트 신제품 부문에서는 보나메두사 ‘오렌지 스킨 딜리트(오리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국제 학술지 영양프런티어스에 실린 미국 책임의학위원회 분석 결과, 비건 식단이 지중해 식단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존 임상시험 자료를 재분석해 식물성 식단지수 변화가 체중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분석은 과체중 성인 62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저지방 비건 식단과 지중해 식단을 비교한 임상시험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이후 4주 세척 기간을 거쳐 두 식단을 교차 적용했으며, 두 그룹 모두 별도의 열량 제한 없이 식단을 유지했다. 연구에 따르면 저지방 비건 식단에서는 식물성 식단지수(PDI)와 비건 식단 내 비건지수(uPDI)가 유의하게 상승했으며, 이러한 변화가 체중 감소와 연결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지중해 식단에서는 PDI 변화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식물성 식단지수는 총 식물성 식품 섭취량을 기반으로 하며, ‘hPDI(건강한 식물성 식단지수)’와 정제 곡물·감자·단 음료 등을 포함하는 ‘uPDI(비건지수)’로 구분된다. 연구팀은 두 식단 모두 건강한 식물성 식품 섭취가 늘어 hPDI는 상승했지만, 체중 감소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항목은 PDI와 uPDI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전 세계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 위협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거대한 해양 동물조차 극히 적은 양의 플라스틱만으로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지난 수년간 축적된 해양 동물 사체 기록을 종합해 플라스틱 노출량과 사망 위험 간의 연관성을 정량화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해양환경단체 오션컨서버시(Ocean Conservancy)가 주도했으며, 1만여 건 이상의 부검 자료를 수집해 동물 몸속 플라스틱 부하량과 사망률을 연계했다. 연구진은 동물 체내에 남아 있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크기, 위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경우에는 설탕 세 조각 정도의 부피만으로도 바닷새가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해양 포유류와 해양거북도 체급 차이를 감안한 상대적 소량에서 치명적 결과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지속 유입되는 상황에서 치사량이 매우 낮다는 점은 심각한 경고 신호”라고 밝혔다. 동물 체내에서 플라스틱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은 장관 구조의 물리적 손상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소화관 내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라이프스타일 뷰티 브랜드 시티르(CITIR)는 대표 제품 ‘데일리 딥 케어 헤어밀크(100ml)’가 25일 올리브영 온라인 공식몰에 입점됐다고 밝혔다. 시티르는 감각적 향과 일상 친화적 사용성을 기반으로 한 제품을 선보여 왔으며, 이번 입점을 통해 비건·클린 뷰티 관심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입점 제품인 헤어밀크는 스프레이 타입의 노워시 트리트먼트로, 젖은 모발에 분사하면 빠르게 흡수되는 사용 편의성이 특징이다. 해당 제품은 식물성 LPP(저분자 단백질)를 적용해 손상 모발에 영양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동물 유래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점에서 비건 지향 포뮬러로 소개됐다. 회사 측 설명에 따르면 유해성분 11종 무첨가와 저자극 테스트도 진행돼 클린 뷰티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디 계열의 향은 전문 조향사가 제작해 잔향 지속력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합성 향에 치우치지 않은 자연 기반 향취를 적용해 브랜드의 라이프스타일 콘셉트를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제품 기능성과 관련해 시티르 측은 임상시험을 통해 모발 보습, 탄력, 거칠기, 손상 등급 등 주요 지표에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다만 개선 수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비건 보디빌더 이도경이 오늘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연식물식 기반의 비건 식단이 근육 형성과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미·채소·과일 중심의 식단으로 5년째 비건 생활을 이어오며 운동 성과와 체력이 향상됐다는 경험을 공유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관련 단체들이 공동으로 마련했으며, 참석 단체들은 자연식물식 중심의 식습관이 건강 증진에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광화문 이순신동상 앞에서 열린 동물보호단체들의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은 모피와 다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물학대 문제를 알리며 비건 제품 선택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한국동물보호연합,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채식협회,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함께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성명서 낭독과 피켓 시위, 퍼포먼스가 이어졌으며, 참가자들은 ‘모피는 싫어요’, ‘다운은 싫어요’, ‘동물털은 싫어요’, ‘비건을 입으세요’ 등 구호를 통해 동물성 의류 소비 중단을 호소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관계자는 모피 산업에 대해 일부 국제 동물단체들은 매년 전세계적으로 1억 마리 이상의 야생동물이 모피용으로 희생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또한 상당수 동물이 덫이나 올무에 갇혀 부상과 고통 끝에 죽음을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피 농장에 갇힌 야생동물들은 자연적 습성 박탈과 스트레스 속에서 정형행동이나 자해, 동족 포식과 같은 비정상적 행동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중국산 모피가 국내 유통량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일부 해외 동물단체들이 공개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중국 모피 농가에서 잔혹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비건 보디빌더 이도경이 건강한 비건 식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자회견이 11월21일 열렸다. 국가 공인 건강운동관리사로 활동 중인 그는 현미와 채소, 과일 등으로만 식단을 구성하며 5년째 비건 생활을 이어온 경험을 바탕으로, 근육 생성과 건강 유지에 있어 동물성 식품이 필수적이라는 통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도경은 식물 기반 식단과 운동 루틴을 결합하며 체력이 오히려 향상됐고, 보디빌딩 대회에서도 좋은 성과를 낸 바 있다고 전했다. 그는 근육 형성의 핵심은 동물성이 아니라 적절한 운동과 탄수화물 섭취라며, 가공식품을 최소화한 자연식물식이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행사에서는 가공육과 붉은 고기 관련 국제기구의 위험 분류도 소개됐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햄·소시지·베이컨 등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붉은 고기를 2군A로 분류한 바 있다. 한국채식연합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가공육과 적색육 섭취가 여러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제기돼 왔지만, 질병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식단 개선을 중심으로 한 접근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육류와 생선 조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비건 보디빌더 이도경이 오늘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연식물식 기반의 비건 식단이 근육 형성과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미·채소·과일 중심의 식단으로 5년째 비건 생활을 이어오며 운동 성과와 체력이 향상됐다는 경험을 공유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관련 단체들이 공동으로 마련했으며, 참석 단체들은 자연식물식 중심의 식습관이 건강 증진에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