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환경 규제 강화와 소비자 인식 변화로 친환경 포장재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플라스틱 의존도를 줄이려는 흐름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이며, 특히 생분해성 포장재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 시장은 2025년 약 54억 달러 규모에서 2032년 127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일부 보고서는 2025년 116억 달러에서 2035년 80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며, 연평균 성장률이 20%를 넘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시한다. 이 같은 전망은 지속가능한 소재에 대한 기업과 투자자의 관심이 얼마나 커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런 흐름 속에서 영국의 혁신기업 잼플라(Xampla)가 주목받고 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분사한 잼플라는 최근 1,400만 달러(약 19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투자는 에머럴드 테크놀로지 벤처스(Emerald Technology Ventures), BGF, 매터웨이브 벤처스(Matterwave Ventures)가 주도했으며, 회사는 향후 5년 안에 100억 개 이상의 일회용 플라스틱을 대체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글로벌 식품 전처리 및 포장 기술 기업 테트라팩 코리아가 종이 기반 보호층을 적용한 차세대 멸균팩을 국내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 유럽 일부 국가에서 먼저 출시된 이 제품은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첫 도입국으로, 자원순환 정책과 친환경 수요 확대에 발맞춰 도입됐다. 이번에 공개된 멸균팩은 알루미늄층 대신 종이 기반 보호층을 적용해 기존 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식품 안전성과 유통기한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멸균팩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머 역시 사탕수수에서 얻은 식물성 소재를 활용해 지속가능성을 강화했다. 이로써 멸균팩의 종이 함량은 76%까지 확대됐고, 식물성 원료 비율도 87%에 달했다. 국제 기후 컨설팅 업체 카본 트러스트의 검증 결과, 생산과 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기존 대비 23%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테트라팩 코리아는 이번 제품을 상업적으로 선보이기 위해 매일유업과 협력해 지난 11일 첫 생산에 돌입했으며, 매일두유의 대표 제품인 ‘매일두유 99.9’를 종이 기반 보호층 멸균팩에 담아 출시했다. 매일두유는 저당 두유 제품군을 확대하며 건강과 식물성 단백질 보충을 원하는 소비자들에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한식 프랜차이즈 채육식당이 특허받은 대체육을 활용한 비건 메뉴를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한식 문화 확산에 나서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채육식당은 ‘식물성 대체육 제조방법(특허번호 10-2022-0190459)’을 기반으로 개발한 콩고기를 제육볶음 정식, 순두부찌개 백반 등 주요 메뉴에 적용해 고기의 맛과 식감을 구현했다. 매장을 찾은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비건 메뉴가 채식 인구뿐 아니라 건강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두는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대체육 식단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가운데, 전통 한식 메뉴와 접목해 접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푸드닥터에프앤비 관계자는 “채육식당의 비건 메뉴는 채식주의자뿐 아니라 건강과 환경을 고려하는 고객을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식습관을 반영한 메뉴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채육식당은 신규 가맹점에도 동일한 비건 메뉴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저당 메뉴 연구를 병행해 ‘앞으로의 기사식당’이라는 브랜드 슬로건에 맞는 한식 프랜차이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유럽 전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독일계 할인형 슈퍼마켓 체인 리들(Lidl)이 식물성 제품 부문에서 예상보다 훨씬 빠른 성과를 거뒀다. 자사 브랜드 중심의 대체육과 비유제품 매출이 2025년 목표치를 크게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유럽 유통업계의 ‘지속가능한 식단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리들은 독일에서 출발해 현재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과 미국 등에서 매장을 운영하는 대형 슈퍼마켓 체인이다. 저렴한 가격과 간결한 운영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윤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흐름에 발맞춰 식물성 제품군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리들은 당초 2025년까지 자사 브랜드의 대체육과 식물성 우유 매출을 400%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최근 발표에 따르면 해당 부문은 이미 694% 성장하며 목표를 크게 초과 달성했다. 회사 측은 이번 성과를 계기로 채소 중심 제품 라인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리들은 이번 결과가 ‘플래너터리 헬스 다이어트(Planetary Health Diet)’에 부합하는 식단 제공, 그리고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선택지를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려는 브랜드 철학을 실현하는 과정이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반려견에게 식물성 사료를 급여해도 육류 기반 사료 못지않은 영양을 제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요오드와 비타민 B군 보충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영국 노팅엄대학교 연구진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성견용 건식 사료 가운데 육류 기반 19종, 수의학적 식이 사료 6종, 식물성 사료 6종(비건 4종, 베지테리언 2종) 등 총 31개 제품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단백질 함량, 필수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D, 비타민 B군, 미네랄 등 주요 영양소를 분석해 유럽 반려동물사료산업연맹(FEDIAF)의 지침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육류 사료와 식물성 사료 모두 단백질과 아미노산은 충분히 포함돼 있었으며, 특히 분지사슬 아미노산(BCAA)의 평균 함량은 소고기나 양고기를 주원료로 한 육류 사료보다 식물성 사료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식물성 원료가 아미노산 공급에서 부족할 것이라는 기존 가정을 뒤집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요오드와 비타민 B군은 식물성 사료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 사료의 57%는 요오드가 최소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 두 가지 성분은 보충제를 통해 쉽게 보완할 수 있고, 일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유엔이 각국에 기후변화 대응 계획 제출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올해 2월 제출 기한을 이미 넘긴 상황에서 반년이 지났지만, 주요 배출국 상당수가 여전히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앞두고 국제사회의 압박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NDC는 파리협정에 따라 모든 당사국이 마련해야 하는 국가별 기후 로드맵으로, 2035년까지 어떤 방식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담아야 한다. 그러나 기한이었던 지난 2월 대부분의 국가가 제출하지 못했고, 여전히 EU를 비롯한 주요 배출국들의 계획은 지연되고 있다. 특히 EU는 2040년 기후 목표 설정을 둘러싼 내부 협상이 길어지면서 제출 시한을 넘겼다. 프랑스와 폴란드 등 일부 회원국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2040년 목표 확정을 미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는 논의를 정상급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합의 지연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이는 EU 차원의 기후 계획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이먼 스틸 유엔 기후변화 사무총장은 최근 약 200개국에 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시장조사기관 데이터엠 인텔리전스(DataM Intelligence)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글로벌 식물성 새우 시장이 2022년 12억 달러에서 2031년 22억 달러, 2035년에는 32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시장은 연평균 8.1%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는 식물성 새우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확산, 건강을 고려한 식품 소비 증가, 기술 발전, 유통 채널 확장, 외식 브랜드와의 협력 확대 등을 꼽았다. 특히 해양 오염과 남획 문제로 지속가능한 해산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콜레스테롤과 알레르겐이 없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식물성 해산물의 매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일본 시장이 주목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식물성 해산물 시장은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3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물성 새우 판매는 같은 기간 연평균 8.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2025년 상반기 미국의 새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41만 3,718톤에 달했다. 일본의 경우 2025년부터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항산화 성분과 차분한 각성 효과로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말차가 최근 ‘웰빙 아이콘’을 넘어 ‘그린 골드(녹색 금)’라는 별칭으로까지 불린다. 소셜미디어 열풍 속에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기후위기와 생산 구조적 제약이 겹치면서 공급 불안과 가격 급등이 동시에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말차는 전 세계적인 웰빙 트렌드와 맞물려 빠르게 성장한 대표 식품이다. 잎을 통째로 갈아 만든 분말을 물이나 우유에 풀어 마시는 방식은 현대인의 ‘건강한 에너지 드링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카테킨, 체지방 연소를 돕는 EGCG, 긴장 완화에 효과적인 L-테아닌 성분이 풍부해 집중력 향상과 스트레스 완화에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젊은 세대의 소비를 이끌었다. 여기에 소셜미디어의 힘이 더해졌다. 틱톡과 인스타그램에서는 ‘말차코어(matcha-core)’라는 해시태그가 수억 뷰를 기록하며, 카페 음료에서 홈카페 레시피까지 말차 활용법이 빠르게 확산됐다. 글로벌 음료 체인과 제과업체들도 앞다투어 말차 제품을 출시하면서 수요는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수요의 급성장은 생산 능력의 한계를 드러냈다. 고품질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국 스타트업 클린푸드그룹(Clean Food Group·CFG)이 발효 효모에서 추출한 대체 오일 성분 ‘클린 오일 25(Clean Oil 25)’에 대해 미국과 유럽연합(EU), 영국에서 화장품 원료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팜유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지속가능 원료가 글로벌 퍼스널케어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게 됐다. 클린 오일 25는 CFG가 영국 뷰티 기업 THG의 제품개발 부문인 THG랩스(THG Labs), 특수 화학기업 크로다(Croda)와 협력해 개발했다. 이들은 식품 폐기물, 특히 빵과 같은 곡물성 부산물을 비유전자변형(GMO) 효모에 공급하고 발효시켜 기존 식물성 오일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지방을 만들어냈다. CFG는 이 과정을 통해 생산한 오일이 팜유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전통적인 오일 생산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 90%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상업적 생산 가능성도 입증됐다. CFG는 새로운 설비를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 인프라에서 6만 리터 규모의 발효 생산을 마쳤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성과를 넘어, 지속가능 원료가 실제 산업 현장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일부 채식 식단은 심장 건강에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채식 식단을 선택할 때 단순히 ‘식물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건강하다고 믿기보다는, 가공 정도와 영양 구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번 연구는 미국 예방심장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1999~2004년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에 참여한 7,700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비록 20여 년 전 자료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오늘날에도 유효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분석에 따르면 건강한 채식 식단을 따른 사람들은 심장 손상 지표인 ‘심장 트로포닌 I’ 수치가 높을 위험이 49% 낮았다. 반면, 불건강한 채식 식단을 따른 경우 해당 수치가 높을 위험이 65% 더 높았다. 심장 트로포닌 I는 심근 손상 및 심근경색 위험과 밀접하게 연관된 지표다. 연구진은 “건강한 채식 식단을 보급하는 것이 인구 차원의 심혈관 건강 증진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채식=건강’이라는 단순한 등식에 경종을 울린다고 지적한다. 오하이오주립대 웩스너 메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에너지부가 최근 발표한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를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보고서가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축소·왜곡했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전 세계 85명 이상의 저명한 기후 과학자들이 집단 성명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 과학자들은 이번 보고서가 에너지부 장관 크리스 라이트가 직접 지명한 소수의 반대 성향 연구자들에 의해 작성됐으며, “현대 기후과학의 주류적 합의를 반영하지 않고, 오래된 소수 의견을 부각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고서가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약화하거나 철회하려는 정책적 목적을 뒷받침하기 위해 활용될 소지가 크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이번 평가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속도와 영향에 대한 기존 과학적 관측을 축소하거나 의도적으로 무시한 부분이 다수 발견됐다. 기후 과학자 안드라 가너는 “보고서가 학계의 광범위한 연구 성과를 외면한 채 일부 반대 의견을 중심에 배치했다”며 “이는 과학적 논쟁을 가장한 정치적 조작”이라고 비판했다. 문제는 이러한 왜곡이 단순한 학문적 불일치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화석연료 산업과 규제 완화 정책은 기업에 일시적 이익을 안겨줄 수 있지만, 그 피해는 인간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 보장과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을 들고 “동물은 음식이 아니다”, “비건 채식은 필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영국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Lush)가 동물대체시험법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시상식인 ‘러쉬 프라이즈(Lush Prize)’ 제11회 후보자 추천 및 접수를 9월 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진행한다. 러쉬 프라이즈는 2012년 출범 이래 과학적 대체 연구와 캠페인을 지원하며 동물실험 종식과 대체시험법 개발·교육·홍보에 앞장서 왔다.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생물학, 오가노이드, 장기 칩(organ-on-a-chip) 등 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각국 정부 역시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를 위한 전략을 내놓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내년 4월 전임상 안전성·독성 시험에서 동물실험을 점진적으로 중단하는 로드맵을 발표했고, 유럽위원회도 2026년 1분기까지 화학물질 안전평가를 위한 동물실험 폐지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영국 정부 또한 올해 대체 연구 개발 및 적용을 촉진하는 국가 전략을 내놓을 방침이다. 국내 상황은 여전히 동물실험 의존도가 높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24년도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실적 및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실험에 동원된 동물은 약 459만 마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