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PR Newswire] 새로 발간된 랜싯 카운트다운 차이나(Lancet Countdown China) 보고서에 따르면 13개의 기후-보건 위험 지표 중 8개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베이징에서 열린 이 보고서 발표회에서는 회복력 있는 저탄소 도시 개발에 관한 확장성 있는 전략이 제시됐다. 베이징 2025년 11월 2일 -- 중국의 13개 주요 기후-보건 위험 지표 중 8개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실정에 비춰봤을 때, 10월 31일 칭화대학교에서 발표한 2025 랜싯 카운트다운 차이나 보고서는 회복력 있는 저탄소 도시 개발에 관한 귀중한 교훈을 준다. '도시 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Empowering Cities for Synergistic Action)'이라는 주제로 세계 도시의 날(World Cities Day)을 기념해 공개된 이 보고서는 각 도시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상세 분석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심각한 평가 결과 오차와 개별 도시가 직면한 고유한 위험을 설명한다. 칭화대학교의 랜싯 카운트다운 아시아 센터(Lancet Countdown Asia Centre) 소장인 차이 웬지아(Cai Wenjia
닝보, 중국 2025년11월2일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HKG: 0386, 이하 '시노펙')과 바스프(BASF)가 제품 탄소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 PCF) 산정 방식의 핵심 요구사항을 일치시키고, 프레임워크 기반의 상호 인정에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닝보에서 열린 2025 중국 국제석유화학회의(China International Petroleum and Chemical Conference, CPCIC 2025)에서 공식 발표됐다. 이번 합의는 중국이 국제적 탄소발자국 산정 기준의 상호인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업 간 협력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이는 중국과 독일 화학기업 간 저탄소 전환 협력에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특히, 중국 기업과 해외 기업 간 제품 탄소발자국 데이터에 대한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시노펙과 바스프는 글로벌 선도 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에 의뢰해 양사의 산정 방식에 대한 일관성 검토를 진행했다. 여러 차례 평가를 거친 결과, TUV 라인란드는 두 기업의 산정 방식
중국 일등 첨단 장비 제조기업으로서 핵융합 에너지 분야 국제 협력 추진 상하이 2025년 11월2일 -- 상해전기(Shanghai Electric)(SEHK: 2727, SSE: 601727)가 최근 세계 최대 토로이달 필드 코일 케이스(Toroidal field coil case)를 인도하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자석 저온 시험용 극저온 장치 장비를 프랑스 현장에 성공리에 납품하는 등 제어 핵융합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글로벌 융합 에너지 협력의 발전에서 중국 기업의 기술력을 돋보이게 하고 전 세계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모멘텀을 더하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우레이(Wu Lei) 상해전기 그룹 회장은 "상해전기는 중국 하이엔드 장비 제조의 선두 주자로 기술 혁신과 국제 협력을 통해 핵융합 에너지 발전에 전념하고 있다. 앞으로 제조와 엔지니어링 통합의 고도화라는 강점을 토대로 ITER과 같은 대규모 글로벌 과학 프로젝트를 든든하게 지원해 인류가 청정에너지라는 원대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충칭, 중국 2025년 11월2일 -- 10월 30일에 세레스가 2025년 3분기 재무 실적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레스는 1분기 매출 1105억 3400만 위안, 주주 귀속 순이익 53억 1200만 위안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1.56%의 성장을 이루었다. 아이토 제품군 확장세 유지, 50만 위안 가격대 차량 부문 출고 대수 신기록 세운 AITO M9 올해 아이토(AITO)는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여러 신모델을 출시했다. 신형 AITO M5 Ultra부터 AITO M9 2025 에디션, 가족형 AITO M8, 그리고 완전히 새로워진 AITO M7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군이 업계와 고객의 호평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모든 아이토 모델의 총출고 대수는 80만 대를 넘어섰다. AITO M9는 불과 21개월 만에 25만 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50만 위안(RMB) 가격대 차량 출고 대수 신기록을 경신했다. AITO M8은 10만 대의 누적 출고 대수를 돌파하면서 40만 위안 가격대 차량 부문에서 4개월 연속 1위 자리를 고수했다. 완전히 새로워진 AITO M
[비건뉴스=PR Newswire] 상하이 2025년 11월2일 -- 핀란드의 로토부스트(ROTOBOOST)와 바오우 클린에너지(Baowu Clean Energy)가 10월 21일 비즈니스 핀란드(Business Finland, BF)와 중국 과학기술부(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MOST)의 공동 혁신 프로그램(Joint Innovation Call)에 따른 중국–핀란드 협력 프로젝트를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은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열촉매 분해(TCD) 기술을 활용해 저탄소 수소와 고품질 고체 탄소를 생산한다. 이 두 산업은 전 세계에서 가장 에너지 집약적이면서 이산화탄소 집약적인 분야로 꼽힌다. 의의 철강과 알루미늄은 산업의 근간이지만, 감축이 어려운 산업군에 속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바오우 공정 리더십과 로토부스트의 TUV SUD 인증 TCD 플랫폼을 결합해, 현장 수소 생산과 고체 탄소 수익화를 동시에 실현한다. 이를 통해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기술 정보 로토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기후위기가 개인의 삶과 사회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미국 젊은 세대가 출산을 주저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미국 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가 공동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40대 성인 5000여명 중 38%가 “기후변화 때문에 자녀를 낳는 것을 망설인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10월 30일(현지시간) AP통신 보도로 전해졌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는 폭염, 홍수, 식량난 등 기후 재난이 심해질수록 “다음 세대를 키우는 것이 두렵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 50개주 전역에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해 진행됐다. 응답자 중 70%는 “기후변화가 자신의 세대보다 다음 세대에 더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25%는 “기후불안으로 출산계획을 미뤘거나 포기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이러한 조사 결과가 “기후위기가 개인의 생애 계획과 사회적 가치관을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현상을 ‘기후 출산 망설임(Climate Birth Hesitancy)’으로 정의하며, 단순한 환경의식이 아니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호주 북부 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넘는 폭염을 겪으며 계절 구조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호주 기상청은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북부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10월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두 지역의 10월 평균 최고기온은 29~32℃ 수준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연일 40℃를 웃도는 날씨가 이어졌다. 퀸즐랜드주 중부 버즈빌에서는 지난 21일 최고기온이 46.1℃를 기록해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남부 끝단의 와나어링 마을 역시 44.9℃로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 노던 준주 다윈국제공항은 10월 평균기온이 34.8℃로 집계돼, 1910년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최고 수준에 달했다. 호주 기상청 휴 맥도웰 수석기후학자는 “올해 10월은 호주 전체로 보면 역대 세 번째로 더운 달이었다”며 “퀸즐랜드와 노던 준주는 최고기온뿐 아니라 최저·평균기온 등 모든 항목에서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이번 폭염의 주요 원인으로 ‘해양열파’를 지목했다. 코럴해와 카펜테리아만의 해수온이 평년보다 1.5~2℃ 높아지면서 대기 하층 에너지가 증가했고, 여기에 고기압 정체로 열이
골드코스트, 호주 2025년 10월 31일 -- APEC 정상회의에서 핵심 광물이 주요 논의 의제로 부상할 예정인 가운데 호주와 한국은 양국 관계를 강화할 또 다른 기회를 맞고 있다. 호주의 지속 가능한 농업 역량과 한국의 기술•혁신 경쟁력을 결합한다면 차세대 식량•농업 연구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사우스크로스대학교(SCU) 연구진은 다음 주 서울에서 열리는 QS 고등교육 서밋(QS Higher Ed Summit) 참석을 계기로 한국의 대학 및 산업계 파트너들을 만나 식물과학, 천연물, 기능성 식품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호주와 한국은 식품의 생산과 활용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와 혁신을 공동 핵심 과제로 삼고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양국의 농업 및 식품 교역 규모도 연간 56억 호주 달러를 넘어서는 등 크게 성장했다. 서던크로스대학교의 정관호 박사는 작물 과학자로서 보다 강인하고 지속 가능한 작물 개발을 이끌고 있다. 그의 연구는 호주의 쌀과 마카다미아를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전국 지자체가 반려동물 등록 의무화를 강화하며 단속과 인센티브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등록제가 정착 단계에 들어서면서 시민 인식 개선과 책임입양 문화가 함께 확산되는 모습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전국 등록 반려동물 수는 약 349만 마리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등록 대상의 절반 이상은 반려견으로, 제도 시행 이후 꾸준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24년 8월 5일부터 9월 30일까지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했으며, 이후 10월 한 달간 집중단속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미등록 반려인은 1차 20만원, 2차 40만원, 3차 이상 최대 6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다. 경기도는 올해 5월 1일부터 6월 30일,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두 차례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종료 후 7월과 11월에 집중단속을 예고했다. 미등록 시 최대 100만원, 변경신고 미이행 시 최대 5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부산시는 상·하반기 두 차례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했으며, 하반기 종료 후 집중단속을 병행할 계획이다. 인천과 대구도 5월과 9월 자진신고를 시행한
[비건뉴스=박민수 기자] 가을철 집중호우 시기에 하천과 바다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육상에서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으로 흘러들며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하천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증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2022년 발표한 조사에서는 경안천에서 1ℓ당 1.8~9.9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복하천에서는 0.47~2.6개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도시 생활하수와 세탁수 배출이 하천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해양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에 따르면 연안 해수 시료 조사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 검출 빈도가 꾸준히 확인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증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해양환경공단은 “집중호우로 육상 플라스틱이 해양으로 흘러드는 경향이 뚜렷하다”며 “하수처리시설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토양 오염도 예외는 아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농업용 비닐과 합성섬유 퇴비 등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으며, 일부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연말 소비 시즌을 앞두고 불필요한 포장과 쓰레기를 줄이려는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실천이 확대되는 추세다. 카페·편의점·온라인몰 등에서 다회용기 사용과 리필 상품이 늘어나며, ‘플라스틱 프리’ 흐름이 확산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환경부 2023년 통계에 따르면 국내 1인당 하루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1.04㎏으로, 2019년 대비 약 6% 감소했다. 환경부는 일회용 컵과 포장재 사용이 줄어든 점을 주요 감소 요인 중 하나로 분석했다. 서울시가 지난 7월 발표한 ‘다회용컵 순환체계 시범사업’ 결과에서도 참여 카페의 플라스틱 배출량이 평균 18% 줄었다. 유통업계도 ‘리유즈(Reuse)’ 문화 확산에 발맞춰 리필스테이션과 다회용기 반납 서비스를 확대 중이다. 편의점 업계는 올해 초부터 일부 매장에서 ‘용기 가져오기 할인’ 등 참여형 이벤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화장품 업계도 리필형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일부 브랜드는 주요 품목의 20% 이상을 리필형으로 전환했다. 제로웨이스트 스타트업과 브랜드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친환경 세제나 천연 수세미를 판매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으며, 업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한 소품 브랜드가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가을철을 맞아 탄소중립 정책 추진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ESG와 재생에너지 중심의 그린산업 육성에 나서면서, 지속가능 경영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23년 기준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6.7%에서 꾸준히 상승한 수치로, 기업들의 RE100 참여와 정부의 ‘탄소중립 2050 로드맵’ 추진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대기업을 중심으로 탄소감축 프로젝트와 친환경소재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탄소배출량을 전년 대비 12% 줄였으며, LG화학은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원료 생산을 2026년까지 2배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도 그린산업 전환에 동참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의 2024년 자료에 따르면, 중소 제조업체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 참여율은 3년 전보다 1.8배 늘어났다. 특히 지역 혁신센터의 기술 지원과 정부 보조금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환경부 관계자는 “탄소감축 기술과 순환경제 시스템이 향후 산업 구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며 “정부는 2030년까지 친환경산업 전환 지원 예산을 단계적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매년 11월 1일은 ‘세계 비건의 날(World Vegan Day)’이다. 1994년 영국 비건협회가 제정한 이후 전 세계에서 비건 식생활과 동물권 인식 확대의 상징적인 날로 자리 잡았다. 올해도 국내외 곳곳에서 비건박람회와 문화행사가 열리며 식물성 전환의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세계 비건의 날은 ‘동물로부터의 착취 없는 삶’을 지향하는 비건 철학을 알리고, 지속가능한 소비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비건협회(Vegan Society)는 1944년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1994년 11월 1일을 공식 기념일로 선포했다. 이후 매년 이 날을 전후로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건 식품, 패션, 뷰티 등 여러 산업을 중심으로 관련 캠페인과 마켓이 확산되고 있다. IMARC Group과 H&I글로벌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비건 식품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3억8000만 달러(한화 약 5100억 원)로 추정되며, 2033년까지 연평균 8.6% 성장해 약 8억 달러(한화 약 1조8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식물성 대체식품과 유제품 대체품을 중심으로 한 시장 확장세가 지속되고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비영리 단체 ‘카라큘라 애니멀 레스큐(ARC)’가 운영하는 A.R.C 임시보호소에서 유기견 11마리에 대한 중성화 수술이 진행됐다. 단체 측은 이번 수술을 위해 이른 아침부터 의료진과 협력해 신속한 절차를 마쳤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번 수술은 보호소에서 돌보고 있는 수컷 강아지 11마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단체 측은 “의료진과 수의사들이 힘을 모아 단시간 내 모든 수술을 무사히 마쳤다”고 설명했다. 카라큘라 애니멀 레스큐 관계자는 “함께 수고해주신 여러 수의사님들과 의료진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이동 차량을 지원해 준 KG모빌리티 관계자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전했다. 단체는 이번 중성화 수술이 향후 보호소 내 개체 수 조절과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유기동물의 구조와 치료, 입양 연계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중성화 수술이 유기동물의 번식 억제뿐 아니라 질병 예방과 사회화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이러한 수술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입장을 꾸준히 내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관계자는 “민간 단체의 꾸준한 활동이 유기동물 문제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광주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31일 광주시 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린 ‘2025 청소년 마음건강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포럼은 청소년 마음건강을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모여 ‘희망찬 변화, 행복도시 광주’ 실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방세환 시장을 비롯해 아동·청소년 관계기관 관계자, 학부모, 청소년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청소년 마음건강에 대한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정책, 교육, 현장 분야의 패널 발표가 이어졌으며 지난해 실시된 광주시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와 시의 청소년 정책이 함께 소개됐다.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지역 내 청소년의 현황을 공유하고 시 차원에서 추진 중인 실질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특히, 현장 발표에서는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소속 청소년이 직접 참여해 자신의 경험을 발표함으로써 청소년의 목소리가 정책 논의에 반영되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 이와 관련 방 시장은 “청소년의 마음건강은 광주의 미래 경쟁력이자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