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세포 리프로그래밍 역노화 앰플 ‘PPG’, 젊은 피부로 되돌리는데 효과
[비건뉴스=박민수 기자]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면 연장, 항노화, 역노화 등 노화와 관련된 실버산업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2023년 6.8억 달러에서 연평균 17.5% 성장해 2031년에는 24.7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세포의 분화와 증식이 줄어들고 특정 분자의 구조가 변하면서 발생한다. 세포는 일정 횟수 이상 분열을 거듭하면 더 이상 DNA를 복제하지 못하고 세포 분열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과거에는 노화를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여겼지만, 최근에는 DNA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면 치료가 가능한 질병으로 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8년 노화에 질병코드를 부여하며 질환으로 등재했다. 노화에 대한 연구는 계속돼 왔다. 특히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성숙한 세포를 초기의 미성숙 세포로 되돌리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발견해 노화된 세포를 다시 젊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세포의 시계를 되돌리는 비밀의 열쇠로 여겨진다. 이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통한 세포 리프로그래밍 연구가 활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