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설계도는 감정을 표현하진 않지만, 거짓 없이 구조를 드러냅니다. 그래서 저는 그것이 회화의 또 다른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기술과 예술의 경계에서 회화적 실험을 이어온 신기운 작가가 지난 22일 오후 6시 대구 아트스페이스펄에서 열린 개인전 ‘객관화 하기(Objectify)’ 연계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작업 철학과 창작 배경을 관객에게 직접 설명했다. 전시에는 3D 프린팅으로 구현한 입체 구조물에 울트라마린 블루 색면을 입히고, 흰 선으로 설계도를 덧입히는 방식의 회화·조각 복합 작업 20여 점이 소개된다. 비행기, 아파트, 만화 캐릭터 ‘아톰’ 등 작가의 기억과 기술적 오브제가 중첩된 이미지들이 시선을 끈다. ◇ 설계도는 회화인가, 기술 도면인가 신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설계도의 회화화’로 규정한다. 중학교 시절 기술 시간에 배운 제도가 지금의 표현 방식으로 이어졌으며, 구조적 사고와 시각 언어의 결합이 작업의 핵심이 됐다는 설명이다. 작업의 출발점은 2013년 무렵, 인터넷에서 우연히 접한 전투기 도면이었다. “파란 선이 주는 아름다움과 기술적인 긴장감이 너무 강렬했어요. 구조물이 마치 감정을 담고 있는 듯 느껴졌습니다.” 이후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남대 예술대 트랜스아트과 교수이자 조형예술가로 활동 중인 신기운 작가가 대구 아트스페이스펄에서 개인전 '객관화 하기(Objectify)'를 열고 있다. 전시는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며, 전시 중인 오늘(22일) 오후 6시에는 '작가와의 만남' 프로그램도 마련돼 관객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신 교수가 오랜 시간 탐구해 온 '정직한 회화'라는 개념을 시각 언어로 풀어낸 작업들로 구성됐다. 3D 프린터로 제작한 입체 구조물에 울트라마린 블루 색면을 입힌 뒤, 흰 선으로 설계도를 덧입히는 방식의 작업을 통해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미학을 선보인다. 작품의 형상은 제2차 세계대전 전투기 스핏파이어,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 아폴로 로켓 엔진, F-14 전투기 등 과학기술의 상징물과 더불어, 작가의 개인적 기억이 담긴 국내 아파트, 유학 시절의 건축물, 일본 만화 '철완 아톰'의 형상 등에서 차용됐다. 특히 아톰은 인간의 형상을 한 기계라는 점에서, 작가가 질문하는 '객관화'의 개념, 즉 인간의 감각과 기억이 개입된 인식의 틀을 기술적으로 중립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성찰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신 교수는 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현대 미술계에서 개성 있는 작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신기운 작가가 오는 15일부터 31일까지 대구 아트스페이스펄에서 개인전 '객관화 하기(OBJECTIFY)'를 개최한다. 신기운 작가는 다수의 국내외 전시를 통해 입체적이고 개념적인 작품 세계를 꾸준히 선보여 왔다. 이번 전시에서 신기운 작가는 입체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통해 사물을 객관화하는 과정을 탐구하며, 관객이 사물의 본질과 구조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이번 전시 포스터에 등장한 푸른색 설계도 형상의 비행기 조형물은 작품의 구조와 형식을 명확히 드러내며, 작가의 독특한 조형 언어를 잘 보여준다. 전시와 함께 오는 22일 오후 6시에는 '아티스트 토크(Artist Talk)'가 진행돼 관객들은 작가의 창작 배경과 작업 과정에 대해 직접 소통할 기회를 갖게 된다. 신기운 작가의 개인전 '객관화 하기'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이다. 한편, 신기운 작가는 1976년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모두 졸업하고,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Goldsmiths College)에서 석사 과정을 추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