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국제 금값(XAU/USD)이 역대 최고치인 3,060$/T.oz를 돌파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주목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발생했다. 한국표준거래소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순금 시세는 구매 시 633,000원, 판매 시 539,000원으로 책정되었다. 18K 금시세는 판매 가격이 396,200원, 14K 금시세는 307,200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금 시세는 구매 시 204,000원, 판매 시 155,000원이며, 은 시세는 구매 시 7,000원, 판매 시 5,160원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24K 순금(3.75g)의 가격은 구매 시 634,000원, 판매 시 538,000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금값의 상승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앞으로 발표될 PCE 물가지수가 금값의 향후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변화로 인해 기저귀, 생리대 등 생활 필수품의 가격이 상승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미국 최대 면화 생산지인 텍사스 일대가 극심한 더위와 가뭄으로 면화 생산량이 줄어들자 기저귀, 생리대, 탐폰 등 생활 필수 품목의 가격이 3배 가까이 뛰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시장 조사 기관인 닐슨아이큐(NielsenIQ)와 NPD 그룹(The NPD Group)이 제공한 데이터를 인용해 미국 기저귀 가격은 21%, 탐폰이 13%, 면봉 9%, 거즈 8% 각각 인상됐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6.5%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로 기저귀의 경우 3배에 달한다. 뉴욕타임스는 이러한 생필품의 가격 상승이 기후변화가 소비자가 깨닫지 못할 수도 있는 방식으로 일상 생활의 비용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예라고 언급하면서 지난해 미국 고지대 면화의 주요 공급지인 텍사스 농부들 가운데 가장 큰 손실을 입은 이들은 더위와 가뭄으로 심은 작물의 최대 74%를 손해봤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지난해 파키스탄을 강타한 홍수도 면화를 주원료로 하는 생필품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파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