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1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과 비건플래닛이 주최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에서는 동물 살처분 중단과 비건(VEGAN) 채식 실천을 촉구하는 성명서가 낭독됐으며, 피켓팅과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구제역(FMD) 등 전염병의 확산으로 수많은 농장 동물이 잔인하게 살처분되고 있다. 주최 측은 "동물 살처분은 비위생적이고 좁은 환경에서 사육되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며, 동물의 생명을 경시하는 비인도적인 태도"라고 주장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살처분을 중단하고 치료 보호하라"는 구호와 함께, 공장식 축산의 폐지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강력히 전달했다. 그들은 "사람이 아프면 치료를 받듯이, 동물들도 적절한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축산업과 낙농업이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고 동물의 권리를 침해하는 산업 구조임을 지적하며, 매년 1000억 마리의 감정이 있는 동물들이 착취당하고 도살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들은 "더 이상 동물들의 생명을 앗아가는 살처분을 용납할 수 없다"며, 생추어리 보호소로의 전환과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11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비건(VEGAN) 관련 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비건 채식 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비건(VEGAN)플래닛 △비건(VEGAN)히어로 △한국채식연합 △한국비건(VEGAN)연대 △비건(VEGAN)세상을위한시민모임이 주최했으며,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축산업과 육류산업이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중 18%가 축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드워치 연구소는 축산업이 연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1%에 해당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영국 국민이 1주일에 하루만 채식해도 자동차 500만 대를 운전하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축산업이 지구의 열대우림을 파괴하고, 기후 변화, 기아 문제와도 직결돼 있음을 상세히 설명했다. 매년 한반도 남한 면적에 해당하는 열대우림이 가축 사육과 사료 재배를 위해 파괴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생태계에 심각한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매년 10월 2일은 '세계 농장동물의 날(World Farm Animals Day)'이다. 지난1983년 미국의 동물권 운동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알렉스 허샤프트(Alex Hershaft)'가 농장동물이 겪는 고통을 알리고, 농장동물에 대한 비인도적 처우의 개선을 요구하기 위해 지정한 국제 기념일이다. 한국동물보호연합은 '세계 농장동물의 날'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을 상품으로 전락시키는 '공장식 축산'과 동물학대의 상징인 '감금틀 사육'을 금지할 것을 촉구했다.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매년 10월 2일은 '세계 농장동물의 날(World Farm Animals Day)'이다. 지난1983년 미국의 동물권 운동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알렉스 허샤프트(Alex Hershaft)'가 농장동물이 겪는 고통을 알리고, 농장동물에 대한 비인도적 처우의 개선을 요구하기 위해 지정한 국제 기념일이다. 한국동물보호연합은 '세계 농장동물의 날'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을 상품으로 전락시키는 '공장식 축산'과 동물학대의 상징인 '감금틀 사육'을 금지할 것을 촉구했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 10곳에서 발표된 기후 관련을 분석한 결과 축산업이 미치는 기후 영향에 대해 약 7% 만이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의 비영리 뉴스조직인 센티언트 미디어(Sentient Media)와 연구단체 파우널리틱스(Faunalytics)가 ‘기후 변화 언론 보도에서 빠진 부분은 동물 농업 (Animal Agriculture Is The Missing Piece In Climate Change Media Coverage)’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미디어가 동물 농업의 환경적 영향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자 미국 최고의 언론매체의 최근 기후 관련 기사를 분석해 기후 문제를 보도할 때 언론이 축산업과 기후 변화를 얼마나 자주 연결하는지, 기후 변화와 관련된 축산업에 대한 보도가 어떻게 과녁을 놓치고 있는지 자세히 분석했다. 지난 2022년 9월까지 월스트리트저널, LA 타임즈, 뉴욕타임즈, 뉴욕포스트, 워싱턴포스트, 로이터통신, CNN을 포함한 총 10개의 매체에서 발표된 기후 관련 기사 1000편을 검토한 결과 1000개의 기사 사운데 약 7% 만이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아일랜드 전역에서 운영 중인 한 버스 광고를 두고 한 정치인이 비판하며 제거할 것을 요청해 화제가 되고 있다. 해당 광고는 아일랜드 전역에서 약 120대가 운영 중인 더블린(Dublin) 버스 회사에 비영리 동물 보호 단체인 ‘고 비건 월드(Go Vegan World)’가 의뢰해 실은 광고로 슬로건에는 ‘동물성 제품 사용을 중단할 때입니다’, ‘유제품은 엄마에게서 아기를 빼앗아갑니다’ 등의 문구가 포함됐다. 이러한 광고 문구에 대해 아일랜드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해당 광고의 내용은 매우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유독하다”라면서 “유치할 정도로 잘못된 이야기라는 측면에서 비주류의 어리석음을 비웃고 싶다”라며 원색적인 비판을 했다. 그러면서 콜린스는 “더블린 버스는 보잘 것 없는 광고 수익으로 아일랜드 농업을 몰아내고 있다”라며 더블린 버스 회사가 비건 메시지를 광고에 허용하면서 자발적으로 모순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치인의 발언에 더블린 버스는 성명을 통해 “아일랜드의 상업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아일랜드 광고 표준 기관에서 게시하고 관리하는 규칙 및 지침을 따르고 있다”라며 비건 권장 광고가 전혀 문제가 되지 않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폭염과 폭우, 가뭄 등 전례없는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아이러니하게도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손꼽히는 축산업과 낙농업이 큰 피해를 겪고 있다. 축산업과 낙농업과 같은 1차 산업의 경우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기후변화에 취약성이 높다. 기후변화가 축산업과 낙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고온 기간에 열 스트레스의 형태로 직접적인 생산량의 영향을 미치거나 동물 사육에 필수적인 사료작물 섭취 등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지난 13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프랑스를 덮친 가뭄과 폭염이 장기화되면서 프랑스 치즈 생산에 비상이 걸렸다.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에서만 생산되는 전통 치즈 ‘살레’(salers)의 생산이 중단된 것이다. 이는 몇 세기 만에 처음 생긴 일로 가뭄과 폭염이 계속되면서 목초지가 말라버려 소를 먹일 풀이 부족해진 것이 직접적인 이유다. 저온 살균을 하지 않은 우유로 만드는 살레 치즈는 특유의 제조공법을 가진 특정 지역 제품에 프랑스 정부가 부여하는 원산지(AOP) 인증을 받았다. AOP 인증 조건 가운데 하나는 먹이의 75% 이상을 현지 목초지에서 충당한 소에서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내달 1일부터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릴 예정인 COP26에서 축산업에 대한 의제를 빠져있는 것으로 나타나 헐리웃 유명인사들이 성명을 발표하고 나섰다. 환경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최근 언론에서 COP26에 대한 기사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본 적 있을 것이다. COP26은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로 지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문제인 기후 변화를 논의하기 위해 전 세계 지도자들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중요한 자리다. COP26에서 공개한 이번 총회에서 다뤄진 의제로는 석탄을 단계적으로 없애는 것, 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 및 삼림벌채를 줄일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정작 탄소 배출의 주범으로 꼽히는 축산업에 대한 의제가 빠져있다. 이에 영화 및 음악 업계의 유명인사들은 영국 정부에 축산업을 세계 지도자들이 논의할 COP26 의제에 포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과 호아킨 피닉스, 빌리 아일리시, 스티븐 프라이, 릭키 제바이스, 크리스 팩햄, 리오나 루이스를 비롯한 18명의 비건 옹호자들이 공동으로 서한을 발표하고 ‘축산업이 기후 변화의 주범인 것을 외면하지 말아달라’
[비건뉴스 서인홍 기자] 채식시민단체가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한국채식연합과 Vegan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은 5일 오후 1시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환경파괴의 주범인 축산업의 실태를 고발했다. 주최 측은 동물 가면을 쓴 채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위기와 공장식 축산업 간 연관성을 강조했다. 또 축산업이 가뭄, 홍수, 혹한, 기아 등을 일으키며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주최 측은 “‘유엔식량 농업 기구(FAO)’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에서 교통수단이 13%, 축산업이 18%를 차지했다”며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0배 강력하며 온실효과가 300배 이상 강한 아산화질소도 축산업에서 배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축 사육지와 사료용 작물을 심기 위해 열대 우림을 불태우고 파괴한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경작지 70%를 가축 방목지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축산업은 전 세계 물 소비량의 30%, 곡물 생산량의 45%를 차지한다. 세계 식량 배분을 왜곡하면서 기아와 굶주림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학자인 제레미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미국에서 대기오염은 인간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뿜어내는 매연과 자동차 배기가스가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축산업이 대기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0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는 ‘식품의 공기질 관련 건강피해(Air quality-related health damages of food)’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게재됐다. 이는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분야를 확인하는 최초의 연구다. 연구원들은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척도로 공기 중의 미세입자 물질인 초미세먼지(PM2.5) 수치를 측정했다. 초미세먼지는 만성적으로 노출될 경우 심장병, 암,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시키는 물질로 알려졌다. 먼저 연구원들은 식품 생산을 위한 경작 먼지, 밭의 식생 연소, 농업 장비 사용으로 연료 연소로 인한 공기질의 오염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는 매년 1만60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따른 사망자 수를 상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