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한국인들에게 보편적인 질병이라고 알려진 ‘암’ 다음으로 위험성을 띠고 있는 ‘관절염’은 좌식생활의 영향으로 나타나기 쉬운 편에 속한다. 실제로 양반다리의 경우 혈류가 억제됐다가 다리를 펼 때 혈류량이 급격히 많아짐에 따라 세포 노화가 촉진되고 연골 노화가 발생하며, 쪼그려 앉기 역시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이 체중의 약 8배로 늘어날 수 있다.
관절염 초기에는 무릎이 뻣뻣하고 시큰한 통증이 가끔 발생한다. 중기 이상부터는 무릎을 펴고 구부리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말기에는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느껴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기 쉽다.
그렇다면 증상 정도에 따라 어떤 치료가 적용돼야 할까? 일반적으로 관절염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이나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기 이상 진행된 경우에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공관절술과 같은 수술적 방법이 권장된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제거한 뒤 그 자리를 인체에 무해한 소재의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로, 최근에는 한국인 맞춤형 인공관절(PNK)이 나오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PNK 인공관절술은 좌식 생활에 특화된 한국인의 무릎에 맞춰 150도까지 고굴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치료로, 인공관절의 마모율을 줄이고 수명이 길어 최근 많은 이들이 선호하는 수술법이다. 특히 동양인의 무릎 관절 크기와 연골 두께 등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한국인들은 좌식생활의 익숙함으로 일상 속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등의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같은 행동들은 무릎 연골을 약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 쉽다”며 “인공관절 수술은 절개가 불가피하지만, 환자의 무릎 형태와 모양에 맞춘 개인 맞춤형 수술을 통해 보다 최적화된 수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난이도가 높은 수술인 만큼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치료받을 것을 권장한다”며 “자신의 무릎 상태와 크기에 따른 맞춤형 수술을 통해 통증을 바로잡고 개선할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