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서울 용산구는 7월 11일, 국제빌딩 주변 제4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사업시행(변경)계획 인가를 고시하고, 버들개 문화공원 하부 공공도서관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해당 계획은 신용산역 인근 한강로3가 98-4 일대의 버들개 문화공원 지하에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문화시설을 조성하고, 인접 연결녹지(호반써밋~센트럴파크 사이)를 연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해당 시설은 재개발 조합이 조성한 뒤 용산구에 기부채납되며, 구는 내부 인테리어를 거쳐 공공도서관으로 직접 운영할 계획이다.
도서관은 2025년 8월 착공, 2027년 2월 준공을 목표로 약 1년 6개월간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며, 연결녹지 공간은 2025년 내 완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 공공도서관 확충으로 문화서비스 격차 해소 기대
현재 용산구 내 공공도서관은 총 4개소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적은 수준이다. 특히 도서관 대부분이 서울역과 원효로 인근에 위치해 있어, 일부 지역 주민들은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업으로 한강로 일대에 공공도서관이 신설되면, 지역 간 문화 인프라 격차가 해소되고, 주민들이 보다 균형 있게 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지상에는 버들개 문화공원, 지하에는 도서관이 조성되어, 휴식과 문화생활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도서관 설계
도서관이 들어설 용산역 일대는 주민, 직장인, 관광객 등 다양한 유동 인구가 혼재된 지역으로, 설계 단계부터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를 반영한 다기능 공간으로 구성된다. 계획에 따르면, 지역 주민을 위한 열람실과 버들개 문화공원과 연계한 휴식 공간,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도서관과 비즈니스 라운지, 관광객을 위한 스마트 관광 정보 공간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 주변 개발사업과 연계한 시너지 기대
신용산역 일대는 현재 ▲국제업무지구 조성 ▲용산공원 조성 ▲용산역 전면 지하공간개발사업 ▲신분당선·GTX-B·수색·광명선 철도망 확충 등 대규모 개발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핵심 지역이다.
이들 사업이 완료되면 유동인구의 증가가 예상되며, 도서관은 용산공원과 용산역을 잇는 중심 거점으로 기능하면서 인근 문화·상업시설과의 상호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번 도서관 조성을 통해 그동안 부족했던 문화 인프라를 확충하고, 구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겠다”라며 “공사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