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최근 테니스, 클라이밍, 골프 등 레저·운동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어깨는 팔을 드는 단순한 동작에도 여러 근육과 관절이 함께 작용하는 만큼 반복 사용에 민감하며,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가 이어질 경우 염증과 회전근개 질환, 충돌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힐링탑마취통증의학과 별내점 현동민 원장은 “정형외과에서 다루는 어깨 통증의 상당수가 반복적인 운동이나 생활습관에서 비롯된다”며 “회전근개 염증이나 충돌증후군은 수기로 관절 정렬을 교정하고 근육 긴장을 완화하는 도수치료가 비수술적 치료법 중 하나로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도수치료는 단순 마사지와 달리 환자의 체형·관절 상태를 평가해 원인 부위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 원장은 “도수치료는 통증 완화에 그치지 않고 틀어진 자세나 관절 불균형, 근육 약화 등 원인 교정에 초점을 둔다”며 “체계적인 분석과 교정 운동,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만성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그는 어깨 회전근개처럼 미세 손상이 잦은 부위는 약물·물리치료만으로 회복이 더딘 만큼, 수기 치료와 기능 회복 훈련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도수치료는 어깨 외에도 허리, 골반, 무릎 등 다양한 관절 통증 환자에게 적용된다. 스포츠 손상 회복기 환자,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 잘못된 자세로 척추에 부담이 간 직장인 등이 주요 대상이며, 영상 장비와 이학적 평가를 바탕으로 정형외과 전문의 협진 아래 시행될 경우 치료 정밀성과 안전성이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현 원장은 “통증은 신체의 경고 신호인 만큼 조기 검진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며 “특히 반복적인 관절 통증을 겪는 환자에게 도수치료는 재발 방지와 기능 회복 차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어깨 관절은 일상 동작의 중심이 되는 만큼,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평소에도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을 생활화하는 것이 통증 예방에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