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명지(전주11) 의원은 제421회 임시회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 과정에서의 조직 과대화 문제를 강하게 지적했다.
김명지 의원은 “IOC가 개최지 결정을 위한 일정조차 명확히 밝히지 않은 상황에서, 전북도가 국 단위 ‘올림픽 유치단’을 신설하고 47명 규모의 인력을 배치한 것은 과도하다”며, “이로 인해 다른 부서의 인력 공백과 행정 지연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성과 검증 없는 예산 투입과 성급한 조직 확대는 도민 삶과 직결된 필수 행정 서비스에 부담을 줄 뿐”이라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했다.
또한 김 의원은 유보통합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유보통합 3법이 국회에 계류되며 제도적 기반이 미비한 가운데, 전북교육청과 전북도가 책임을 미루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아이들과 학부모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는 법안 처리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전북 차원의 선제적 대응과 재정 시뮬레이션, 현장 의견 수렴 구조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서는 매년 수천억 원의 복구 비용이 반복되는 현실을 지적하며 “더 이상 복구 중심의 임시 대책에 머물 수 없다. 농업·축산·수산업 전반에 걸친 기후적응 종합계획을 수립해 예방과 적응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김명지 의원은 “올림픽 유치 추진은 전북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지만, 시기상조인 조직 확대와 무분별한 예산 투입은 도민에게 짐이 될 뿐”이라며, “도정은 정치적 성과가 아닌 실질적 미래 전략에 집중해야 한다. 동시에 유보통합과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도민 삶의 현안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