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아 대부분을 상실한 상태는 심미적 변화뿐 아니라 음식 섭취와 발음, 사회적 활동 전반에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고령층이나 구강 상태가 심각하게 악화된 경우 단순 보철로는 기능 회복이 어려워, 최근 ‘전악임플란트’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악임플란트는 상악·하악에 다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고정식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남아 있는 치아가 거의 없거나 전체 발치가 필요한 경우 적용된다. 기존 탈착식 틀니가 저작력과 장착감에서 한계를 보이는 반면, 전악임플란트는 턱뼈에 직접 고정돼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한다. 한쪽 턱 기준 8~12개의 픽스처를 식립한 뒤 브릿지 형태의 보철물을 연결해 전체 치열을 복원한다. 이로써 저작력 회복은 물론 외형적으로도 자연스러운 인상을 유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진단 기술과 네비게이션 수술 시스템이 도입되며 정밀성과 안전성이 높아졌다. 3D CT와 구강 스캐너로 턱뼈 밀도와 신경 위치를 분석해 맞춤형 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절개 범위를 줄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복 기간이 짧아지는 장점도 확인됐다.
다만 전악임플란트는 시술 범위가 넓고 수술 시간이 길어 체계적인 상담과 진단이 필요하다. 잇몸뼈가 부족하면 사전 뼈이식이 요구되며, 당뇨·심혈관 질환 환자는 전신 상태를 고려해 치료 계획을 조정해야 한다. 시술 후에도 장기간의 구강 관리와 정기 검진이 필수적이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김태연 원장은 “전악임플란트는 고난이도 치료이지만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수술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며 “턱뼈와 전신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