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흐림창원 24.4℃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목포 24.5℃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구미 23.4℃
기상청 제공

글로벌뉴스

태국 소규모 농가 조명: 일본-태국 국경 간 파트너십으로 지속 가능한 팜오일 경로 강화

 

도쿄, 2025년 10월 8일 -- 지속가능 팜오일 산업협력체(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RSPO)와 일본 지속가능 팜오일 네트워크(the Japan Sustainable Palm Oil Network, JaSPON)가 10월 6일부터 8일까지 도쿄 벨르살 야에스(Bellesalle Yaesu)에서 RSPO x JaSPON 콘퍼런스 2025를 공동 주최했다. 이 행사에는 업계 리더, 정부 기관, 학계, 소규모 농민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였고, 태국과 일본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책임 있는 팜오일 공급망 구축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태국 정부는 2015년부터 '100% RSPO 인증 지속가능 팜오일(CSPO, Certified Sustainable Palm Oil)' 달성을 목표로 하는 야심 찬 국가 전략을 추진해 왔다. 이를 통해 태국은 EU 산림전용방지규정(EUDR, EU Deforestation Regulation) 하에서 소규모 농가를 포용하는 저위험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태국은 팜오일 생산국 중 처음으로 클로즈드 루프(Closed-loop) 대표단을 일본에 파견해, 지속 가능성과 포용이 이제 무역 외교의 핵심임을 보여주었다.

 

이번 콘퍼런스 대표단에는 태국 농업지도청(DoA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xtension), 태국 소규모 농가 지원 네트워크(Thailand Smallholder Facilitator Network), 송클라 대학(Prince of Songkla University), 글로벌그린케미컬스(GGC, Global Green Chemicals), 펫츠리위차이 엔터프라이즈(PCE, Petchsrivichai Enterprise), 사라야(Saraya) 등과 국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했다.

 

태국은 전체 팜오일 재배 면적 중 약 85%를 소규모 농가가 관리하고 있어, 지속가능한 생산이 농민 주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RSPO 인증 독립 소농(certified independent smallholders)은 이미 실물 기준 CSPO 생산량의 최대 90%를 판매했으며, 이는 전 세계에서 독립 소농이 달성한 최고 수준의 비율로 평가된다. 이로써 태국의 포용적 전환(inclusive transformation)이 성공적으로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독립 소규모 농가 패널의 사회를 맡은 완디 크리차난(Wandee Krichanan) RSPO 소농 관리자는 "아직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우리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며 "시장이 응답해야 한다. 소농을 중심에 둔다는 것은 공동 책임이라는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포용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급망

 

하위 단계의 기업들은 팜오일 조달이 지속 가능하면서도 포용적일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PCE와 GGC는 모두 RSPO 회원사로, 그 대표적인 사례다. 두 회사는 장기적인 파트너십, 교육 프로그램, 목표 지향적 원료 조달 전략을 통해 소농들이 인증 시장(Certified Market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폰피팟 프라싯수파폴(Pornpipat Prasitsupaphol) PCE 최고전략책임자는 "PCE는 소농의 역량 개발과 디지털 혁신을 결합해 투명한 추적 가능성을 확보하고, '탄소배출 네거티브(Negative GHG Emission)' 지위를 달성하기 위해 미래형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판라다 웡수완(Panrada Wongsuwan) GGC(P TT GC 그룹) 기업브랜딩 및 CSR부문 매니저는 "GGC는 지속가능성이 가치사슬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소농의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사라야(Saraya)는 일본 최초로 항균 비누와 식물성 세제를 개발하고, 천연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친환경 제품을 선도해 왔다. 2004년부터는 보르네오(Borneo)에서 팜오일 관련 산림 파괴 및 야생동물 위협 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 보호 활동을 주도해 왔으며, 2005년에는 일본 최초의 RSPO 회원사가 됐다.

 

요시카와 신이치(Shinichi Yoshikawa) 사라야 공급망관리본부 부본부장 겸 JaSPON 부회장은 "가치사슬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소농을 통합하는 공급망이 필수적"이라며 "따라서 우리는 소농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태국에서는 약 40만 가구의 농가가 팜오일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태국 정부는 이를 고려해 '포용적 원료 조달'을 국가적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태국 농업지도청(DoAE) 관계자는 "책임 있는 원료 조달은 단순히 환경에 대한 약속을 넘어, 농민들이 글로벌 공급망에 완전하게 참여하고 자신의 노력에 대해 공정한 보상을 받도록 하는 일"이라며 "투명성과 포용성을 중시하는 일본 기업들과의 협력은 지속가능성과 품질의 최고 기준을 충족하는 팜오일을 보장한다"라고 말했다.

 

차왈릿 우티퐁(Chaowalit Wuttipong) 스리자로엔 지속가능한 팜오일 생산 협동조합(Srijaroen Sustainable Oil Palm Production Community Enterprise) 대표이자 태국 소농 촉진 네트워크(Thailand Smallholder Facilitator Network) 의장은 "RSPO 인증을 받은 소농들은 전 지구적 환경의 수호자"라며 "구매자들이 실물 거래나 크레딧 거래를 통해 지원해 주는 것은 우리가 이 사명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이 된다"라고 밝혔다.

 

수랏타니에서 도쿄에 이르기까지, 태국의 독립 소농들은 이제 글로벌 무대의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다. 제분소, 일본 바이어, 태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그들은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이 아시아 전역의 번영과 신뢰를 촉진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RSPO 소개:

 

RSPO(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지속가능 팜오일 산업협력체)는 팜오일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 글로벌 렵력 기구다. 2004년에 설립된 RSPO는 팜오일 생산자, 팜오일 가공업체 및 유통업체, 소비재 제조업체, 소매업체, 은행 및 투자기관, 환경 또는 자연 보호 비정부기구(NGO), 사회 또는 개발 관련 NGO 등 팜오일 가치 사슬 전반의 구성원을 통합하는 다자 이해관계자 비영리 단체다.

 

RSPO는 발전과 긍정적인 영향력을 위한 파트너십으로서 팜오일의 생산과 소비를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글로벌 변화를 촉진한다. 변화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환경적, 사회적 이점을 알리고, 진전을 이루기 위해 협업을 촉진하며, 신뢰를 보장하기 위해 인증 기준을 설정한다.

 

RSPO는 스위스 취리히에 국제 협회로 등록되어 있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중국, 콜롬비아, 네덜란드, 영국, 미국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JaSPON 소개:
JaSPON(Japan Sustainable Palm Oil Network, 일본 지속가능 팜오일 네트워크)은 일본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팜오일의 조달 및 소비를 가속화하기 위해 2019년 4월에 설립됐으며, 기존 팜오일 생산과 관련된 환경 문제 및 기타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JaSPON은 소비국으로서 일본이 팜오일과 관련된 환경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이 네트워크는 산업 간 협력을 강조하고 다양한 부문의 회원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협력해 지속 가능한 관행을 촉진하도록 장려한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