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이용학 기자]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충격 흡수를 담당하는 반월상연골판은 중년 이후의 퇴행성 변화뿐 아니라 젊은 층에서도 외상으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손상 부위와 형태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며, 수술 여부 결정 과정에서 의료진의 숙련도와 경험이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의 위아래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면 연골판의 수분이 감소해 딱딱하게 변성되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질 수 있다. 젊은 층은 운동 중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외상으로 인해 파열되기도 한다. 또한 비만으로 인한 무릎 압력 증가나 장시간 구부린 자세 등도 손상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반월상연골판이 손상되면 관절연골이 마모돼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며 “초기 증상으로 무릎 통증, 부종, 잠김 증상 등이 반복되면 MRI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손상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상 부위가 작거나 통증이 경미한 경우에는 소염진통제, 연골주사, 콜라겐주사, 프롤로주사 등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비수술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파열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통한 수술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무릎에 약 0.5mm 크기의 작은 절개 부위를 내어 내시경과 특수 기구를 삽입해 손상 부위를 치료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반월상연골판의 형태와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손상 부위를 봉합하는 ‘연골판 봉합술’이 우선 고려되며, 봉합이 어려운 심한 파열의 경우에는 찢어진 부위를 다듬어 통증을 완화하는 ‘부분 절제술’이 시행된다.
힘찬병원 류승열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봉합술은 연골판을 보존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유합을 위해 꾸준한 재활이 필요하고, 부분 절제술은 회복이 빠르지만 연골판이 작아져 퇴행성관절염이 빨리 진행될 수 있다”며 “환자의 나이, 손상 부위, 파열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료법을 결정해야 하며, 이때 의료진의 임상 경험과 숙련도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