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해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동시에 회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시술 후 예상치 못한 문제로 인해 임플란트가 흔들리거나 탈락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경우 기존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새로운 임플란트를 다시 심는 임플란트 재식립 치료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첫 시술보다 난도가 높아 의료진의 전문성과 풍부한 임상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는 초기 고정력 부족, 감염, 뼈 흡수, 잇몸 염증 등이 꼽힌다. 특히 임플란트 주위염은 대표적인 합병증의 하나로, 구강 위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생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정기 검진과 사후 관리가 필수적이다.
임플란트 재식립은 단순한 임플란트 교체가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구강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3D CT 등 첨단 영상 장비를 이용해 잇몸과 뼈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새로운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각도를 세밀히 계획해 한다. 경우에 따라 뼈 이식이나 잇몸 재생술 등의 고난도 시술이 동반되기도 한다.
또한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역시 재 식립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 골다공증 등의 만성 질환은 뼈의 회복 속도를 늦추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철저한 건강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부산 반송 서울백치과 백동열 원장은 1일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임플란트 재식립은 단순한 재시술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한 치료 계획이 요구되는 고난도 시술”이라며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하고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