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대한안과학회는 40세 이상 성인의 경우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 주요 안구 질환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최근에는 백내장과 혼동하기 쉬운 황반원공 발생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반원공은 망막 중심부의 황반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50대 이상에서 발병한다. 노화가 주요 원인이며 외상, 당뇨병, 고도근시 등이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황반은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핵심 조직으로, 구멍이 발생하면 사물이 휘어져 보이거나 중심부가 끊겨 보이는 등 시력 왜곡이 나타난다. 시야 흐림과 중심 시력 저하도 흔한 증상이다. 특히 한쪽 눈의 이상은 다른 눈이 보완하기 때문에 초기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치료법은 유리절제술과 가스충전술이다. 가스충전술은 눈 속에 특수가스를 주입해 황반 부위를 눌러주고 구멍을 복원하는 방식이다. 수술 후에는 약 1주간 엎드린 자세를 유지해 가스가 황반에 잘 닿도록 하는 것이 회복에 중요하다.
하늘안과 망막센터 유형곤 교수는 “망막질환은 뚜렷한 초기 증상이 없어 환자가 인지했을 때는 치료 시기를 놓친 경우가 많다”며 “40세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고, 사물이 휘어지거나 직선이 끊겨 보이는 등의 증상이 있으면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외상이나 고도근시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발병할 수 있어 연령과 관계없이 꾸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