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치과 임플란트 재수술 중에서도 앞니 부위는 얇은 잇몸뼈의 흡수와 심미 형태 재건의 복잡성이 겹치며 치료 기간과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수플란트치과병원 김선영 대표원장은 “앞니는 인상을 좌우할 만큼 심미적 역할이 큰 부위다. 심미적 부작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호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앞니 임플란트의 핵심은 잇몸 모양의 회복과 유지이며, 외부 자극과 위치 특성상 골형성 과정의 까다로움이 크다”고 설명했다.
사람의 잇몸뼈는 치아와 함께 발달한 조직으로, 치아를 잃으면 역할이 사라져 흡수가 진행된다. 앞니 부위는 입술 방향 뼈가 얇아 흡수에 취약하며, 잇몸의 형태도 잇몸뼈가 지지하기 때문에 뼈가 줄면 잇몸 모양이 달라진다. 이 과정에서 식립체가 잇몸에 검게 비치거나 나사가 노출되는 등 심미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앞니 부위는 입술 방향의 잇몸뼈가 얇아 흡수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식립 시 치조골 흡수를 고려한 3차원적(전후·좌우·상하)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
 
잇몸성형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기존 임플란트를 발거하고 정상에 가까운 잇몸뼈 형태를 먼저 재건한 뒤 임플란트를 재식립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연조직 이식과 다양한 골형성 기법을 병행할 수 있으나,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쉽지 않은 치료가 될 수 있다.
병원 측은 “기존 임플란트를 제거한 뒤 골형성으로 잇몸 형태를 회복하는 것은 가능하나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며 “처음부터 심미적 부작용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한 술식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진과 진료 시스템을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일반 환자가 의료진 역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다만 내원 전 실제 치료 전후 사례를 충분히 확인하고, 상담 과정에서 잇몸뼈 상태 평가, 심미 라인 설계, 골·연조직 재건 계획 등 핵심 요소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지 점검하는 방식이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