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속 가능한 농업이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 폐기물의 처리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40억 톤에 이르는 작물 짚과 1억 2500만 톤의 가축 분뇨가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기 폐기물의 대부분은 효과적으로 처리되지 못한 채 방치되거나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퇴비화 방식은 리그노셀룰로오스(Lignocellulose) 분해 효율이 낮고, 병원균 및 항생제 내성 유전자(ARGs)의 제거에 한계가 있어 환경적, 건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과학원 쿤밍식물연구소(KIB) 연구진은 작물 잔재물, 가축 분뇨, 폐버섯 배지를 결합한 '가축-작물-버섯(Livestock-Crop-Mushroom, LCM)' 순환 시스템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시스템은 희귀 식용버섯 Stropharia rugosoannulata를 활용해 농업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면서, 동시에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순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짚과 소 분뇨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구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는 육류 섭취 한계는 주당 약 255g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일반적인 닭가슴살 두 조각 분량에 해당한다. 덴마크 기술대학교(DTU) 산하 지속가능성 연구기관 ‘DTU 서스테인(DTU Sustain)’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푸드(Nature Food)’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연구를 이끈 캐롤라인 H. 게바라(Caroline H. Gebara) 박사후연구원은 “우리가 분석한 다양한 환경 지표에 따르면, 붉은 고기를 식단에 소량 포함하더라도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물 사용량 △토지 이용량 △건강 영향 등을 종합 고려해 전 세계 인구가 지속 가능하면서도 영양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식단 모델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가금류 및 돼지고기 위주의 육류 소비는 주당 255g 이내일 경우 지구의 회복력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슈퍼마켓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닭가슴살 한 팩(약 280g)의 분량보다 조금 적은 양이다. 연구진은 일반 소비자들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최근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캠퍼스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근육을 키우는 데 있어 단백질의 출처가 식물성이든 동물성이든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충분한 양의 단백질만 섭취된다면 근육 합성에는 동일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20세에서 40세 사이의 신체 활동이 활발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7일간 동일한 표준 식단을 섭취한 후, 비건 식단 그룹과 잡식 식단 그룹으로 나눴다. 이후 9일간 각 식단을 따르며 근력 운동을 병행했고, 실험 기간 중 참가자들은 중수소가 포함된 물을 마셔 근육 내 단백질 합성 과정을 추적했다. 그 결과, 두 식단 모두 근육 단백질 합성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 섭취 시간 역시 근육 성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세 끼에 균등하게 단백질을 나눠 섭취한 그룹과, 하루 다섯 끼 중 후반에 더 많은 단백질을 섭취한 그룹 간에도 근육 성장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기존에는 단백질을 하루 동안 고르게 분산해 섭취하면 근육 합성에 유리하다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푸드테크 스타트업 ‘더 베터 미트 컴퍼니(The Better Meat Co)’가 감자 폐기물을 활용한 마이코프로틴(균사체 단백질) 생산 기술로 미국 특허를 획득했다. 이는 해당 기업이 미국 내에서 받은 여섯 번째 특허로, 지속 가능한 대체육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게 됐다. 이번 특허는 감자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배양 기질로 활용해 Neurospora와 Aspergillus 속의 균류를 배양, 고단백·고식이섬유 균사체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해당 단백질은 ‘Rhiza(라이자)’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며, 식물성 또는 동물성 재료와 혼합해 지속 가능한 단백질 식품으로 재가공될 수 있다. Rhiza는 건조 기준 단백질 함량이 50%에 달하며, 소화율도 우유나 육류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없고 포화지방도 거의 없어 건강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베터 미트는 감자 프렌치프라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규격 외 감자 조각, 크기가 작은 감자 등을 활용해 ‘거의 무한한’ 양의 원재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감자뿐 아니라 옥수수, 사탕수수, 쌀 등 다양한 탄소원을 통해 균사체 단백질을 생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속 가능성을 실천하는 글로벌 뷰티 브랜드 더바디샵이 지구의 날을 기념해 ‘Change Making Beauty’ 슬로건 하에 참여형 친환경 실천 캠페인을 전개 중이라고 밝혔다. 더바디샵은 윤리적 소비와 지속 가능한 실천을 핵심 가치로 삼고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창립 이래 동물 유래 성분 사용을 금지하고, 동물 실험에 반대하는 철학을 실천해 전 제품에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다. 일부 제품에 PCR 플라스틱을 적용하고, 불필요한 2차 포장을 제거하는 등 친환경적 제품 설계를 지향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고객과 함께하는 참여형 이벤트로 진행된다. 지난 4월 22일부터 5월 6일까지 분리수거, 환경 봉사, 텀블러 사용 등 일상 속에서 실천한 친환경 행동을 SNS에 인증하면 ‘화이트 머스크 선물세트’와 ‘업사이클 솝트레이’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더바디샵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 가능하다. 더바디샵의 대표 라인 ‘화이트 머스크(White Musk)’도 이번 캠페인의 메시지를 함께 전달한다. 화이트 머스크는 동물 유래 성분 없이 조향해 만든 제품으로, 브랜드의 윤리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 철학을 담은 상징적인 제품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기후변화가 병원 현장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극한 기상, 감염병 확산, 인구 이동 등 기후 위기로 인해 혈액 공급망 전반이 심각한 위협에 직면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국제 의학저널 ‘랜싯 플래닛 헬스(The Lancet Planetary Health)’에 실린 이번 연구는 호주 선샤인코스트대학교( University of the Sunshine Coast)와 호주 적십자 생명혈액 연구소( Australian Red Cross Lifeblood)가 공동 수행했다. 연구진은 기후 변화가 헌혈자 확보부터 보관, 운송, 검사, 분배에 이르기까지 혈액 시스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했다. 혈액 공급망은 고도로 정밀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적절한 헌혈자 확보, 채혈, 냉장 운송과 가공, 감염병 검사, 병원 유통 등 모든 단계가 인프라와 안정적인 전력, 인적 자원에 의존한다. 하지만 폭염, 홍수, 산불 등 자연재해가 반복되면서 이 과정들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경고다. 엘비나 비에넷 박사(Elvina Viennet 호주 적십자 생명혈액 연구소)는 “기후 재해는 혈액 유통 및 보관에 심각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고기 속 항생제 잔류물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연구진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항생제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식품 안전성 확보는 물론, 항생제 내성 확산 방지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뤄양사범대학교와 허난과학기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등 항생제가 남아 있는 고기를 단 1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형광 감지 기법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이 방식은 이중 금속 유기골격체(bimetallic metal-organic framework, MOF)를 이용해 항생제 성분이 존재할 경우 형광 색상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스마트폰 카메라와 간단한 애플리케이션만으로 분석이 가능해, 실험실 장비 없이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항생제 잔류물은 단순한 식품 위생 문제를 넘어 인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의 과잉 사용 및 오남용이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을 불러오며, 이는 기존 감염병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조용한 팬데믹'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고기를 통한 항생제 섭취는 특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기후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호주가 전 세계에서 기후변화 관련 소송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MJA–란셋 카운트다운(MJA–Lancet Countdown)’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호주 전역에서 고온 노출 지수가 37% 증가했으며, 이는 건강 위험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의 주저자인 맥쿼리 대학교(Macquarie University)의 폴 베그스(Paul Beggs) 교수는 “1970년대 이후 건강에 유해한 고온 발생 빈도가 뚜렷하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건강 위험, 적응력, 완화 노력, 경제적 영향, 정치적 대응 등 5개 영역에 걸쳐 기후 변화와 건강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특히 올해는 기후 관련 소송을 공식 지표로 포함한 첫 해로, 호주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소송이 제기된 국가로 확인됐다. 2014년부터 2023년 사이에 제기된 11건의 기후 소송에서 건강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됐으며, 법원은 기후 변화가 취약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히 검토했다. 보고서는 또 기후 대응 역량의 일부 취약점도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일부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동물 실험 요구 사항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공중 보건과 윤리 측면에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FDA는 단일클론 항체 치료제 및 일부 의약품 개발 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인간 중심의 새로운 접근 방법(New Approach Methodologies, NAMs)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러한 방법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독성 예측 모델, 세포주를 활용한 실험, 실험실에서 제작된 인간 장기 유사 구조인 오가노이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미 인간 대상 시험이 이루어진 의약품의 경우, 규제 기준이 유사한 다른 국가에서 수집된 실사용 안전 데이터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의약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평가 과정을 가속화하며, 동물 실험을 줄이고, 연구 개발 비용을 절감해 궁극적으로 약가 인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매년 수천 마리의 동물이 실험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동물 실험에서 감지되지 않았던 독성 효과를 새로운 방법을 통해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DA는 이러한 새로운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규제 지침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비동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가공 방식에 따라 식물성 식품의 건강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투르쿠대학교(University of Turku) 식품과학부 연구진은 최근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분석한 결과, 발효 등 일부 가공 방식이 오히려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보존하거나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콩, 완두콩, 밀, 잠두콩 등을 원료로 한 시판 제품을 대상으로 비표적 대사체 분석법을 활용해 가공 방식과 생화학적 구성 간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가공 방식에 따라 영양 성분의 함량과 흡수 가능성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는 콩 기반 제품에 주목했다. 단백질 농축물이나 분리 단백질로 만든 식물성 버거 패티 등 고도로 가공된 제품에서는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이소플라보노이드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두부처럼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가공된 제품에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의 이소플라보노이드가 확인됐다. 박사 과정 연구원 자스민 라이타(Jasmin Raita)는 "발효는 식품 가공 방식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요소"라며 "특히 템페(tempeh)에서는 발효 미생물의 작용으로 이소플라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칠레의 푸드테크 기업 낫코(NotCo)가 멕시코 국적 항공사 아에로멕시코(Aeromexico)와의 새로운 협업을 통해 식물성 기반 기내식 메뉴를 선보인다. 이번 협업은 지속 가능한 항공 여행 트렌드와 건강한 식습관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낫코는 아에로멕시코의 프리미어(Premier) 및 프리미어 원(Premier One) 클래스 탑승객에게 ‘낫버거(NotBurger)’를 제공한다. 낫버거는 식물성 고기 패티를 기반으로 캐러멜라이즈드 어니언, 만체고 풍미의 식물성 치즈(NotCheese), 그리고 웨지 감자와 함께 구성되며, 탑승 24시간 전 ‘프리셀렉트 메뉴(Preselect Menu)’를 통해 사전 주문할 수 있다. 해당 메뉴는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이용 가능하며, 프리미어 및 프리미어 원 클래스에서 중장거리 노선에 탑승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한다. 아에로멕시코는 자사의 공식 SNS를 통해 “이번 봄, 저희 승객들은 프리미어 원 클래스에서 식물성 버거인 낫버거를 사전 주문을 통해 즐기실 수 있습니다”라며 이번 협업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또한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 기내 식사 옵션을 다양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비건도, 비건이 아닌 사람도 즐길 수 있는 치킨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식물성 식품 브랜드 ‘Vinker’가 대표 메뉴 ‘한국식 크리스피 치킨(Korean Crispy Chick’n)’을 미국 뉴욕에 처음 선보이며 현지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캐나다 밴쿠버에 본사를 둔 Vinker는 최근 뉴욕 맨해튼의 팝업 식료품점 ‘Pop Up Grocer’에서 자사 제품을 한정 기간 동안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 제품은 대두 단백질, 대두유, 물을 주재료로 한 한입 크기의 식물성 치킨으로, 바삭한 튀김옷과 한국식 달콤 매콤한 양념이 특징이다. 실제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의 맛을 재현하면서도 100%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져 주목을 받고 있다. Vinker는 지난 2024년 4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해당 제품을 처음 출시한 이후, 현지 한식 프랜차이즈 ‘한끼(Hankki)’와 포케볼 전문점 ‘포케리토(Pokerrito)’를 통해 메뉴에 도입하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또한 캐나다 대표 비건 전문 쇼핑몰 ‘Vegan Supply’에서도 판매되며 빠르게 입지를 다졌다. 이번 뉴욕 팝업 출시는 미국 시장 공략의 첫 걸음으로, Vinker는 오는 6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2017년 한 해에 미국 전역에서 발생한 산불과 계획된 소각(Prescribed Burns)으로 인해 발생한 연기가 약 2만 명의 조기 사망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한 건강 피해 비용은 약 2,000억 달러(한화 약 27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국제 학술지 과학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지구 & 환경(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졌다. 연구를 이끈 카네기 멜런 대학교의 경제학·공공정책과 니콜라스 뮬러(Nicolas Muller) 교수는 “산불 연기와 같은 대기 오염 물질이 질병과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드러났지만,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이제야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불은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아황산가스,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PM2.5) 등을 배출하는데, 이들은 대기 중 PM2.5 농도를 높여 장기적으로 인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는 단순히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재산 피해나 부상뿐 아니라, 연기로 인한 건강 피해까지 포함해 그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러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식물성 식품의 확산이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용 창출을 비롯해 국내총생산(GDP) 증가, 세수 확대, 노동 소득 향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비영리단체 파우날리틱스(Faunalytics)의 의뢰로 연구기관 BW리서치 파트너십(BW Research Partnership)이 진행한 이번 연구는 2040년까지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식물성 식품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측했다. 연구진은 식물성 식품 시장의 점유율에 따라 △정체 △완만한 성장 △대폭 성장 등 세 가지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해 분석했다. 그 결과, 식물성 식품 소비가 소폭 증가하는 경우에도 고용 등 경제지표가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완만한 성장 시나리오에서는 수천 개의 신규 일자리가, 대폭 성장 시에는 수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대폭 성장 시 고용률은 현재보다 3% 이상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GDP와 세수, 노동 소득 역시 증가세를 보였다. 완만한 성장 시 GDP는 0.3%, 세수는 0.2%, 노동 소득은 0.4%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고, 대폭 성장 시에는 각각 4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핀란드의 연구진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확장현실(XR) 기술을 활용해 식물성 고기의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했다. 핀란드 탐페레대학교(Tampere University)와 VTT 기술연구센터 소속 연구팀은 최근 ‘다중모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저널(Journal on Multimodal User Interfaces)’에 발표한 논문에서 XR 기술을 통해 소비자의 오감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고기 대체 식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탐페레대학교 루페 라이사모(Roope Raisamo)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보다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생활로 전환을 유도하는 동시에, 식사에서의 즐거움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VR 헤드셋, 향을 방출하는 후각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목걸이, 햅틱 피드백 기능이 있는 특수 포크 등으로 구성된 다감각 증강 시스템을 개발했다. 참가자들은 이 장비를 착용한 채 식물성 미트볼을 비롯한 다양한 고기·대체육 제품을 섭취했다. 그 결과, XR 기술을 적용한 식사에서 식품의 외형이 더 크고 무겁게 인식되며 포만감이 커졌고, 맛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