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섬유소 섭취가 단순한 소화 건강을 넘어 유전자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섬유소는 수십 년 동안 다양한 건강 혜택과 연관돼 왔으며, 신체는 이 필수 영양소를 통해 원활한 소화 및 혈당 수치 유지를 지원한다. 전문가들은 여성의 경우 하루 최소 25그램, 남성의 경우 38그램의 섬유소 섭취를 권장하지만, 성인들 대다수는 이 목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섬유소가 장 건강을 넘어서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섬유소는 잎이 많은 채소의 아삭한 줄기부터 콩과 견과류의 쫄깃한 껍질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식이섬유는 대장으로 이동해 유익한 박테리아에 의해 소화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짧은 사슬 지방산인 프로피온산과 부티르산은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의 마이클 스나이더(Michael Snyder)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러한 지방산이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정상 세포와 암 세포에서 프로피온산과 부티르산의 생물학적 흔적을 추적한 결과, 이들이 세포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유전자를 조절할 수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세플라스틱이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여섯 가지 생선에서 발견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틀랜드 주립대학교(PSU) 연구팀은 오리건주에서 판매되는 생선의 식용 부분에서 미세플라스틱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입자를 검사한 결과, 블랙 록피시, 링코드, 치누크 연어, 태평양 청어, 태평양 램프레이, 핑크 새우 등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182개 샘플 중 180개에서 총 1,806개의 의심되는 미세입자를 발견했으며, 이 중 82%는 세탁 시 의류에서 떨어져 나오는 섬유로 확인됐다. 나머지 입자는 대부분 플라스틱 조각으로 구성돼 있었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수잔 브랜더(Susanne Brander) 교수는 “미세섬유가 장에서 다른 조직, 특히 근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매우 우려스럽다”며 “이는 다른 생물체, 잠재적으로 인간에게도 폭넓은 함의를 가진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해양 생물의 근육 조직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추가로 입증하며, 이전 연구에서 발견된 이매패류와 물고기, 갑각류의 위장관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발견과 일맥상통한다. 연구진은 식료품점에서 구입한 생선과 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국 기반의 식물성 대체육류 브랜드 THIS가 이케아와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비건 소시지 ‘THIS Isn’t Pork’를 영국 전역의 19개 이케아 푸드 코트에 출시한다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신메뉴는 이케아의 새로운 비건 소시지 & 매시(meal) 메뉴의 일환으로 제공되며, 세 개의 소시지와 매시 포테이토, 그레이비 소스, 그리고 리크와 양배추 볶음이 포함된다. 가격은 4.95파운드로, 쇼핑하는 고객들에게 지속 가능한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마크 커디건 THIS CEO는 “이케아와 협력해 우리의 소시지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두 개의 목적 지향적인 브랜드가 함께 훌륭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THIS는 지난해 2천만 파운드의 시리즈 C 자금을 확보한 후,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선보였다. 최근에는 비건 요리 월간 행사인 비거뉴어리(Veganuary)를 맞아 치킨 키에프와 대체 치킨윙 등 두 가지 새로운 고기 대체 제품도 출시했다. 이케아는 2020년에 2025년까지 자사 레스토랑의 주요 식사 메뉴의 50%와 포장 식품의 80%를 식물 기반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최근 가축 산업이 온실가스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소, 양, 기타 가축은 장내 발효 과정에서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을 생성하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높은 열 가두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가축 산업은 합성 비료 사용과 방목을 위한 산림 벌채로 인해 이산화탄소와 아산화질소를 대량으로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은 가축 부문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 잡게 만들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는 약 920억 마리의 농장 동물이 있으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면적의 토지가 소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윈체스터 대학교 앤드류 나이트(Andrew Knight) 교수는 최근 The Conversation에 기고한 글에서 반려동물의 비건 식단 전환이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 이점에 대해 분석했다. 그는 반려동물, 특히 개와 고양이가 육류 기반 제품을 자주 섭취하고 있어, 이러한 소비가 온실가스 배출과 토지 이용 변화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0년 발표된 보고서는 미국 반려동물 사료 산업에서 사용되는 500개 이상의 성분에 대한 심층 데이터를 분석해 연구자들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의 마이너스 커피(Minus Coffee)가 새로운 원두 없는 커피 대체품인 '마이너스 바닐라 오트밀크 라떼'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마이너스의 라떼는 라떼는 대추 씨와 포도 씨와 같은 업사이클링 식물 기반 재료를 사용해 커피의 맛을 재현하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였다. 마이너스 즉석 바닐라 오트밀크 라떼는 일반 커피 한 잔의 카페인 양의 절반만 포함돼 있으며, 각성을 돕는 L-테아닌과 6그램의 식물성 단백질이 포함돼 있다. 오트밀크 베이스는 유제품 없이도 크리미한 맛을 제공한다. 제품은 코르티솔 급증이나 에너지 저하 없이 부드러운 에너지 부스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됐으며, 여성의 웰빙과 코르티솔 균형을 위해 여성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됐다. 특히 코르티솔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신체가 스트레스에 반응하도록 돕고, 에너지 대사, 염증 반응,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한다. 또한 일반 커피보다 86% 적은 탄소 배출을 발생시키고, 92% 적은 토지와 94% 적은 물을 사용한다. 제품은 비유전자변형(Non-GMO), 글루텐 프리이며, 인공 감미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밖에도 90% 이상의 재료는 미국 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동아오츠카는 국내 대표 저탄산 비건인증 과즙음료 데미소다 레드애플, 망고 플레이버 2종이 패키지를 리뉴얼한다고 밝혔다. 2022년 이후 3년 만에 진행된 이번 리뉴얼은 소비자에게 신선함과 싱그러움을 더 잘 전달하기 위해 과일 위에 물방울을 더하고, 브랜드 영문 표기를 대문자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데미소다는 1991년 출시 이후 꾸준히 사랑받아온 동아오츠카의 대표 과즙 탄산음료로, 합성향료를 사용하는 일반 탄산음료와 달리 진짜 과일 과즙을 사용해 과일 본연의 맛을 담아낸 음료다. 이번에 새 단장한 레드애플은 18%, 망고는 7%의 과즙 함량을 자랑하며, 다른 플레이버(애플, 청포도, 복숭아)인 경우 총 11% 이상의 과즙을 함량, 레몬은 7%로 높은 품질의 맛을 제공한다. 특히 데미소다는 2023년부터 전 제품에 대해 비건 인증을 완료해 건강한 음료를 선호하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동물 유래 성분 미사용, 동물 실험 배제 등 환경과 동물 복지를 고려하는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동아오츠카 디자인 파트 이현주 선임은 “이번 리뉴얼은 브랜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로고 디자인의 변화와 생동감을 살린 과일 이미지로 재탄생했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환경보호와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식물성 대체 식품이 우울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달 저널 푸드 프론티어스(Food Frontiers)에 게재된 영국 서리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 식품을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는 그렇지 않은 채식주의에 비해 우울증 위험이 높다. 식물성 대체 식품은 채식주의를 실천하고 있는 이들에게 간편한 선택지가 되면서 시장을 넓혀나가고 있다. 글로벌 대체육 시장 규모는 2020년 61억 달러에서 2025년 약 11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40년에는 전 세계 육류 소비의 60%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이에 식물성 대체육이 실제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데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식물성 대체 육류는 육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식물성 원료를 통해 육류를 모방해 만든 초가공식품으로 분류된다. 서리대학교 연구진은 채식주의자들에서 소비되는 식물성 대체 식품이 초가공식품인만큼 다른 가공식품이 일으키는 건강상의 위험을 똑같이 초래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의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