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화 ‘오펜하이머’를 통해 오스카 남우주연상을 받은 배우 킬리언 머피(Cillian Murphy)가 최근 건강과 윤리적인 이유로 비건 채식을 하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미국 코미디언 마크 마론(Marc Maron)이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출연한 킬리언 머피는 자신이 채식주의자라고 소개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무슨 요리를 하는지에 대한 진행자의 질문에 “저는 비건 요리를 시도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이어 고기, 유제품, 계란 섭취를 하지 않냐는 질문에는 한숨을 쉬더니 “치즈가 그립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이어 육류가 부족하지는 않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나는 고기를 그리워하지 않는다. 오랫동안 고기를 끊어왔고 과거 잠시 고기를 다시 섭취했을 때 기분이 나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육류를 끊을 수밖에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영화 ‘오펜하이머’ 촬영 현장에서도 식물성 식단을 섭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출연 배우들과 함께 진행한 인터뷰에서 배우 에밀리 블런트는 머피가 오트밀, 두부, 완두콩, 렌즈콩 등 채식을 섭취하며 야식으로는 아몬드 한 개나 사과 한 조각 등을 먹으며 완벽한 식단 관리를 한다고 답한 바 있다. 한편 킬리언 머피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보통 플라스틱은 자연에 버려졌을 때 썩는 데만 수백 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부서지면서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동시에 인체를 위협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해외의 한 연구팀이 7개월 만에 생분해되는 미세플라스틱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최근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고 캠퍼스의 연구진은 미국의 재료 과학 회사 알게니스(Algenesis)와 함께 새로운 식물 기반 폴리머를 개발했고 해당 폴리머가 미세플라스틱 수준에서도 7개월 이내에 생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플라스틱을 대체하면서도 유효 수명이 끝난 뒤에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완전히 생분해되는 재료를 찾기 위해 이번 연구를 마련했다. 알게니스(Algenesis)의 공동창립자인 로버트 포메로이(Robert Pomeroy) 생화학 교수는 “우리가 약 6년 전 처음으로 조류 기반 폴리머를 만들었을 때 우리의 의도는 완전히 생분해 되는 것이었다”라면서 “우리가 개발한 폴리머가 퇴비에서 사라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었지만 미세입자 수준에서 이를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설명했다. 연구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고래의 잇단 사망으로 인해 구설수에 올랐던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이 문을 닫아야 할 위기에 처했다. 최근 마이애미 데이트 카운티가 영구 폐쇄 명령을 내린 것이다. 가디언 등 외신은 마이애미-데이드 위원회(Miami-Dade Commission)이 여러 차례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동물의 죽음과 해양 포유류 보호에 대한 연방 정부의 폭로에 따라 플로리다 최대 규모의 수중 테마파크인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 폐쇄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마이애미-데이드 위원회는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의 소유주 돌핀컴퍼니(Dolphin Company)에 퇴거 서류를 송달해 4월 21일까지 키 비스케인에 있는 카운티 소유 부지를 비워줄 것을 요구했다. 위원회의 최고 운영 책임자(COO) 지미 모랄레스(Jimmy Morales)는 성명을 통해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은 임대 계약에 대해 수많은 위반을 일으켰으며 이는 단순한 불이행이 아니라 동물의 안전에 대한 완전한 무시를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차인의 길고 골치 아픈 위반 기록은 부동산을 양호한 수리 상태로 유지하고 해당 법률에 따라 동물을 유지하며 모든 법률을 준수해야 하는 임차인의 계약상 의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스페인의 한 수산기업이 지각있는 동물로 알려진 문어를 양식장에서 사육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에 대한 선제적 조치로 워싱턴주가 문어 양식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최근 워싱턴주에서는 문어 양식을 금지하는 법안이 주지사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오는 6월 1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해당 법안은 스트롬 피터슨(Strom Peterson) 의원에 의해 발의된 것으로 비영리단체 수생생물연구소(The Aquatic Life Institute)를 비롯한 수많은 동물보호단체의 지지를 받아 추진됐다. 해당 법안은 찬성 29표, 반대 20표로 워싱턴주 상원을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계 최초로 문어 양식 금지에 대한 통과된 것으로 더욱 뜻깊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수생생물연구소와 동물보호단체는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지난 2022년 스페인의 '누에바 페스카노바' 기업이 카나리아제도에 세계 최초의 문어 양식장을 건설할 계획을 밝힌 이후로 문어 양식을 금지하는 캠페인을 진행해오고 있다. 소피카 코스티뉴크(Sophika Kostyniuk) 수생생물연구소 전무 이사는 “환경 및 동물 복지에 대한 제이 인슬리(Jay Inslee) 워싱턴 주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구와 환경, 동물의 복지를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식물성 식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우유를 대체하는 귀리우유, 아몬드우유 등이 다양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한국채식연합을 비롯한 비건 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우유가 건강과 동물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언급하고 우유 섭취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채식연합, 한국동물보호연합, 비건(VEGAN)세상을위한시민모임은 26일 오후 1시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개최된 기자회견 현장에서 잔인한 동물학대를 필수로 하는 우유 소비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단체에 따르면 우유는 알려진 것과 달리 인간의 건강에 해롭다. 유당불내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우유를 섭취하게 되면 각종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소화가 되지 않은 유당이 장 속에 쌓이면서 설사, 장 경련, 가스, 복부 팽만 등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우유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동물학대 및 착취가 이뤄진다. 단체는 공장식 축산에서 우유 만들어 내는 기계나 상품으로 전락해 젖소를 강제로 임신시키고 출산시키며, 새끼를 빼앗는 끔직한 동물학대를 자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날 단체는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치는 우유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전자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전자폐기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매년 발생하는 폐기물에 비해 이를 재활용되는 비율이 22%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20일(현지시각) 유엔은 ‘2024년 유엔 글로벌 전자폐기물 모니터링(Global E-waste Monitor)’ 보고서를 발표하고 전자폐기물 발생에 대한 전 세계적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으며 재활용하는 속도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 발생한 전자폐기물은 무려 6200만 톤에 달한다. 이는 폐기물을 40톤 트럭에 담아 일렬로 세웠을 때 지구 적도를 한 바퀴 돌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양이다. 하지만 보고서는 발생한 전자폐기물 가운데 단 22.3%만이 적절하게 재활용된 것으로 확인했으며 이는 약 620억 달러 상당의 귀중한 자원이 아직 재활용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것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전자폐기물 생산과 재활용 간의 격차가 커지는 것에 대해 급속한 기술 발전, 높은 소비율, 제한된 수리 옵션, 짧아진 제품 수명 주기, 전자폐기물 관리 인프라 부족 등을 요인으로 손꼽았다. 이와 더불어 보고서는 전자폐기물이 앞으로 더 증가하면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3월 23일은 세계기상기구 발족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세계 기상의 날'이다. 기상 사업의 국제 협력 의의를 인식하고, 그 발전을 기원하기 위한 것으로 매년 중요 주제를 정해 세계 각국의 기상 기관이 기상 지식과 기상 사업의 사명을 일반 시민에게 보급하는 날로 비건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비건 법을 제정할 것으로 촉구했다. 비건히어로, 한국채식연합, 비건온리피이스, 올데이비건, 얼쓰브이비건, GOGO비건세상 등 비건시민단체는 지난 23일 오후 1시 광화문 이순신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매년 심각해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비건 채식을 실천해야 한다고 외쳤다. 이들은 기후 위기에 대한 대비와 대응책 가운데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비건 채식이라며, 비건 식습관의 확산으로 탄소 배출량을 신속히 줄일 수 있도록 비건 법 제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날 단체는 성명서를 낭독하고 지구어머니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자유 발언과 퍼포먼스 등을 진행했다. 다음은 한국채식연합의 성명서 전문이다. 매년 3월 23일은 유엔(UN)에서 정한 '세계 기상의 날'(World Meteoro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가볍고 값이 싸며 내구성이 좋아 어디서는 찾아볼 수 있는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최근 해외 연구팀은 플라스틱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는 인간에게 해로운 성분을 분석에 공개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CNN 등 외신은 노르웨이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한 플라스트켐 프로젝트(PlastChem Project)가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물병, 장난감 등 일상생활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지는 플라스틱에서 화학물질 1만 6000종과 인체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 최소 4200종의 화학물질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플라스트켐 프로젝트 연구진은 현재까지 가장 광범위한 플라스틱 화학 물질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했다. 지속성(분해기간), 입자의 이동 범위, 생체 축적 가능성, 독성 여부 등 네 가지 기준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생산되고 있는 무려 1만 6000가지의 다양한 플라스틱 화학물질을 발견했으며 이러한 화학물질 중 최소 4200종이 심각한 건강 및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고 봤다. 화학물질 가운데는 갑상선암 간 손상 및 저체중아 출산과 관련이 있는 소위 '영원한 화학물질'인 PFAS가 포함돼 있으며 또 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식물성 식단을 채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독일이 자국의 국민들을 위해 식물성 식단의 비율을 높일 것을 권고하는 새로운 영양 지침을 마련했다. 최근 독일 영양학회(Deutsche Gesellschaft für Ernährung)는 육류 소비를 절반으로 줄이고 유제품 섭취를 제한하며 식물성 식품을 늘리는 내용을 남은 영양 지침을 업데이트했다. 베른하르트 와츨(Bernhard Watzl) 독일 영양학회 총재는 “건강을 증진하고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단이 식물성 식품의 75% 이상, 동물성 식품의 4분의 1 미만으로 구성돼 있다고 제안한다”라면서 “건강한 식단을 섭취하는 동시에 환경을 보호하려면 지금 식단을 바꿔야 한다”라고 전했다. 영양 지침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식물성 식품의 비율이다. 독일 영양학회는 식물성 식품의 비율을 75%로 늘리고 나머지 25%를 동물성 식품으로 채울 것을 추천했다. 특히 가장 많이 권장되는 식품에는 렌즈콩, 완두콩과 같은 콩류와 더불어 통곡물, 채소 과일 등이 포함됐다. 구체적으로 계절성, 색상 및 변화에 중점을 두고 매일 최소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3월 21일 오늘은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이다. 1966년 유엔이 지정한 날로 사회가 가지고 있는 편견을 되돌아보고 차별과 혐오를 없애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에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동물보호단체는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을 맞아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종차별 철폐를 넘어 종차별주의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동물에 비해 인간이 우월하다고 믿는 종차별주의에 대해 경고하며 동물억압과 동물착취를 중단해 진정한 종차별주의 철폐를 이뤄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단체는 동물에 대한 종차별주의를 철폐할 것으로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퍼포먼스를 열었다. 다음은 한국동물보호연합의 성명문 전문이다. 매년 3월 21일은 유엔(UN)에서 정한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이다.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맞아, 인종 차별을 하루 빨리 청산할 것을 촉구하며, '종(種) 차별주의'(Speciesism) 철폐를 촉구한다. '종(種)차별주의'는 인간이 동물보다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육류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인식이 커지면서 전 세계에서 대체 식품 개발이 한창이다. 육류를 대체하는 식품 가운데는 콩, 버섯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식물성 대체육과 세포 배양 기술을 통해 만든 배양육이 존재한다. 살아있는 동물의 줄기세포를 배양해 고기를 만들어 내는 배양육은 실제 육류의 맛과 영양이 똑같고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미래 식량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배양육 산업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영국의 한 반려동물 사료 회사가 세계 최초로 배양육으로 만든 고양이 사료 제품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영국의 반려동물 사료 회사인 미틀리(Meatly)는 영국의 비건 사료 브랜드 옴니(Omni)와 함께 배양 닭고기로 만든 고양이 사료 캔을 출시했다. 미틀리는 반려동물 사료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매년 7%씩 성장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1200억 파운드(한화 204조 2472억 원)의 가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반려동물 사료 생산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영국에서는 반려동물이 국가 전체 육류 소비의 22%를 차지하며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채소, 과일 위주의 식단인 식물성 식단을 섭취할 시에는 흔히들 단백질 부족으로 이어져 골절 위험이 커진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앞서 진행된 여러 연구에서 식물성 식단이 고관절 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건강한 식물성 식단 섭취가 오히려 고관절 골절 위험을 낮춘다는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의 연구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폐경기 여성의 고관절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전의 연구에서 채식이 낮은 골밀도 및 높은 골절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했지만 여기서 식단을 구성하는 채식의 품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지 않았다고 보고 균형 잡힌 식물성 식단이 골절 위험에 미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다. 이에 연구진은 1984년부터 2014년까지 간호사 건강 연구(Nurse’s Health Study)에 등록한 폐경 후 여성 7만 285명의 식단과 뼈 건강을 분석했다. 각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가임기 여성에게 생리용품은 한 달에 한 번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생리용품 가운데 특히 탐폰은 샘 걱정 없이 넓은 활동성을 보장한다는 장점으로 많은 이들에게 사용되고 있는데 한 사람이 평생 사용하는 템폰 5000개에서 1만 개에 달하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터의 경우 분해되는 데 약 500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탐폰은 유럽 해변에서 발견되는 다섯 번째로 흔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으로, 플라스틱 컵과 빨대보다 폐기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생리용품에 대한 친환경 대안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독일의 한 스타트업이 해초로 만든 생분해 탐폰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2021년 설립된 바이일드(Vyld)는 세계 최초로 해조류에서 추출한 바이오폴리머로 친환경 생분해 탐폰 '켈폰(Kelpon)'을 개발했다. 바이일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일회용 탐폰은 면이나 비스코스로 만들어지고 플라스틱 포장지에 포장돼 있다는 점에 주목해 비료, 살충제, 담수 없이 육상 식물보다 10배 더 빨리 자라는 해조류를 활용해 탐폰을 개발하기 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캐비어, 송로버섯과 함께 세계 3대 진미로 손꼽히는 푸아그라가 잔인한 동물학대를 필수로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식탁에서 퇴출되고 있다. 이에 푸아그라를 대체하는 대체 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FactMr'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2024년 전 세계 푸아그라 대체 시장 규모가 2억 8180달러(한화 약 2624억 7073만)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여러 국가와 세계 각국 왕실이 잇따라 고급 요리로 손꼽히던 푸아그라를 퇴출한다고 밝혔고 푸아그라에 대한 대체 식품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새로운 보고서에서 2024년 전 세계 푸아그라 대체 시장 규모가 2억 8180달러에 달하며 올해 말까지 연평균 성장률 5.3%로 확장돼 4억 7410만 달러(한화 약 6221억 1402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푸아그라 대체 시장의 성장은 푸아그라를 둘러싼 윤리적 논쟁이 주된 이유로 푸아그라 생산 방식이 잔인한 동물 학대를 필수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푸아그라는 가바주(gavage)라는 공정이 필요한데 이는 거위의 목구멍에 먹이 공급 관을 삽입하고 각종 곡물을 혼합한 먹이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국의 식품 회사 퀀(Quorn)의 대체육이 건강식으로 알려진 지중해식 식단과 비슷하게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국제학술지 임상 영양(Clinical Nutrition)에 게재된 엑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의 연구에 따르면 퀀의 대체육을 매일 섭취했을 때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중해식과 더불어 완전 채식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는 것에 주목해 대체 식품인 대체육이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마련했다. 연구진은 특히 진균류 발효로 생성되는 단백질 마이코프로틴을 이용한 대체육 제품인 영국 식품회사 퀀의 제품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과체중 성인 72명을 대상으로 퀀의 제품 가운데 다진 고기 2인분에 해당하는 180g을 매일 섭취하게끔 했다. 4주 간의 섭취 이후 퀀의 제품을 섭취한 사람들에게서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LDL콜레스테롤이 10%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마이코프로테인 함유 대체육이 과체중,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의 순환 콜레스테롤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마이코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