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24일 오후 1시에 열린 '모피(FUR) 반대, 다운(DOWN) 반대 기자회견'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기자회견은 한국동물보호연합·한국채식연합·한국비건연대·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이 공동 주최했으며,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모피와 다운 제품을 선호하고 구매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이 동물에게 미치는 잔혹한 현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1억 마리 이상의 야생동물이 모피를 위해 희생되고 있으며, 이 중 약 20%는 자연 상태에서 덫이나 올무에 걸려 고통스럽게 죽어가고 있다. 나머지 80%는 모피 농장에서 학대와 착취를 당하며 생을 마감한다. 모피 농장의 동물들은 작은 케이지에 갇혀 자연적인 습성과 본능을 박탈당한 채 살아가며,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정형 행동을 반복하거나 자기 자신을 자해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중국산 모피의 경우 살아있는 동물의 껍질을 벗기는 비인도적인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다운 제품 역시 오리와 거위의 깃털을 산채로 뽑아내는 '라이브 플러킹' 방식으로 생산되며, 이는 동물들에게 극심한 고통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모피와 다운 제품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이 오는 25일 오후 1시에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한국동물보호연합·한국채식연합·한국비건연대·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이 공동으로 주최하며,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23일 한국동물보호연합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겨울이 다가오면서 모피와 다운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러한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수많은 동물이 잔인하게 희생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1억 마리 이상의 야생동물이 모피 생산을 위해 죽어가고 있으며, 다운 제품 역시 오리와 거위들이 산 채로 깃털이 뽑히는 등 비인도적인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모피 농장에서는 야생동물들이 좁은 케이지에 갇혀 자연적인 본능과 습성을 박탈당한 채 지옥 같은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동물 학대는 단순히 고통을 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동물들이 탈수와 탈진, 과다 출혈로 서서히 죽어가는 잔혹한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중국에서 생산되는 모피는 살아있는 동물의 껍질을 벗겨 제작되며, 이는 최악의 동물 학대로 여겨진다. 다운 제품의 경우, '책임 있는 다운'이라는 의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과 한국비건연대,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치는 우유를 중단하고, 건강한 비건(VEGAN)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젖소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과 한국비건연대,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치는 우유를 중단하고, 건강한 비건(VEGAN)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젖소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과 한국비건연대,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치는 우유를 중단하고, 건강한 비건(VEGAN)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젖소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과 한국비건연대,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치는 우유를 중단하고, 건강한 비건(VEGAN)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젖소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과 한국비건연대, 한국동물보호연합은 15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우유는 건강을 망치고, 동물을 망친다!'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좋다고 믿으며 매일 우유를 마시고 있다. 하지만 우유에 숨겨진 진실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유를 마신 후 복통, 설사, 소화불량 등을 겪는 사람들은 흔히 '유당불내증'을 호소한다. 이는 성인 대부분이 우유 속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아제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유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장에서 독소로 작용해 여러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증상으로는 설사, 장 경련,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천식 등이 있다. 미국의 '책임 있는 의료를 위한 의사회'는 우유가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암, 당뇨병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우유가 몸속에서 산성으로 변하면서 뼈에서 칼슘을 빼내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도 지적된다. 그뿐만 아니라 우유 생산 과정에서의 동물 윤리 문제도 심각하다. 젖소는 새끼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우유를 생성하지만, 농장에서는 인공수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임신을 강요받는다. 송아지는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승리와 평화의 비둘기를 위한 시민 모임과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 법안 및 불임 먹이 정책 촉구 기자회견에서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가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승리와 평화의 비둘기를 위한 시민 모임과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 법안 및 불임 먹이 정책 촉구 기자회견에서 비둘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승리와 평화의 비둘기를 위한 시민 모임과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 법안 및 불임 먹이 정책 촉구 기자회견에서 손피켓을 들고 서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승리와평화의비둘기를위한시민모임과 한국동물보호연합은 13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 법안과 조례 철회를 촉구하고, '불임먹이' 법안 제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는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서한 전달 등의 행사가 진행됐다. 주최 측은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 법안은 비둘기를 굶겨 죽이려는 반(反) 동물복지 법안에 불과하다"며 "비둘기 개체수 조절을 위해 불임 먹이 급여 정책을 시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12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지방자치단체가 유해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를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 의회는 비둘기 먹이주기를 금지하는 조례안을 발의한 상태다. 그러나 주최 측은 이러한 법안과 조례안이 비둘기를 굶주리게 해 생명경시를 부추길 뿐 아니라, 동물 증오와 혐오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둘기 개체수 조절을 위해 외국의 성공 사례처럼 불임 먹이 급여 정책을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대표 이원복)이 주최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대표 이원복)이 주최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대표 이원복)이 주최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2문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대표 이원복)이 주최한 기자회견이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