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기후변화 속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 온실가스 농도가 최고치를 갱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내놓은 ‘2022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살펴보면 지난해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에서 관측한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425ppm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423.1ppm)과 비교했을 때 1.9ppm 늘어난 수치로 안면도 감시소에서 관측을 시작한 1999년 이래 최고치다. 고산(423.5ppm), 울릉도(422.8ppm) 감시소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역시 전년도 대비 2.0ppm 증가했다. 전 지구 평균(417.1ppm)도 지난해보다 2.2ppm 증가하며 최고 농도를 기록했다. 이산화탄소 이외의 다른 종류의 온실가스 농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안면도에서 관측한 메탄 농도 역시 전년보다 6ppb 증가한 2011ppb를 기록해 관측 이래 최고 농도였다. 아산화질소도 전년보다 1.8ppb 증가한 338.0ppb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안면도 육불화황 농도도 최초 관측(안면도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전년 대비 0.2ppt 증가한 11.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본격적인 휴가 시즌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착한 여행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발맞춰 항공업계에서는 바이오항공유를 통한 친환경 여행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바이오항공유는 항공기 운항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연료로 석유나 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식물성 기름, 해조류, 도시 폐기물 가스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지며, 기존 항공유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지난 4월 유럽연합은 2050년까지 전체 항공유의 70%를 바이오 항공유로 바꾸도록 규정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해당 조처를 통해 2050년까지 항공 분야의 탄소 배출량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을 때에 비해 3분의 2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최근 대한항공도 GS칼텍스와 업무협약을 맺고 친환경 바이오항공유 실증연구 운항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10월 정부가 발표한 ‘친환경 바이오 연료 보급 확대를 위한 대체연료 활성화 로드맵’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가 주관하는 사업에 대한항공·GS칼텍스 양사가 동참하기 위해 실증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위기 속 이상기후 탓에 전례없는 폭염이 닥친 가운데 기온이 상승하면 가정폭력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국제학술지 미국의학협회 저널 ‘정신의학(JAMA Psychiatry)’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이 1도가 상승하면 남아시아 3개국에서 신체적 및 성적 가정폭력 사건이 6.3%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상하이 푸단 대학(Fudan University)과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의 국제 연구진은 2010년에서 2018년 사이에 인도, 파키스탄, 네팔에서 온 15~49세의 소녀와 여성 19만 4871명을 추적해 그들이 보고한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의 경험을 수집했고 이러한 경험을 같은 기간 온도 변화와 비교했다. 먼저 신체적 폭력(23%)이 가장 많았고, 정서적(12.5%), 성폭력(9.5%) 순으로 피해가 일어났으며 연간 온도 범위는 대부분 20~30도 사이로 측정됐다. 높은 주변 온도와 여성에 대한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 사이에는 연간 평균 온도가 1°C 증가할 때마다 평균 4.49%가 증가했다. 세 나라 가운데서는 친밀한 파트너의 폭력 발생률이 이미 가장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버려진 플라스틱 폐기물이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며 생긴 미세플라스틱은 인류의 건강과 지구에 만연한 문제가 됐다.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장에 축적되는 작은 미세플라스틱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국제나노의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에 발표된 미국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 장을 모방한 소형 조직 배양인 인간 장 오가노이드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염증성 장 질환(IBD)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포함해 잠재적인 염증 효과를 드러냈다. 연구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과 그보다 더 작은 나노 플라스틱은 환경과 인간의 몸 구석구석에 쌓이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는 바다와 빙상에 이르기까지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찾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리는 매년 약 7만 40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의도치 않게 소비하게 된다. 이에 연구의 주저자인 잉 첸(Ying Chen) 터프츠 대학교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2030년까지 산림벌채를 종식하겠다는 COP26의 서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파괴된 열대우림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7일(현지시각) CNN, 유로뉴스 등 외신은 미국 메릴랜드 대학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세계자원연구소(WRI)과 글로벌 포레스트 워치(Global Forest Watch)의 보고서를 인용해 산림벌채가 전년 대비 10% 증가하면서 410만 헥타르 이상의 원시 열대림이 파괴됐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농업, 광업 및 기타 상업 활동을 위해 열대우림이 개간됨에 따라 1분에 축구장 11개의 숲을 잃었다고 설명했으며 삼림 벌채로 인해 2022년에 생성된 탄소 오염의 양은 인도의 연간 화석 연료 배출량과 맞먹는다고 밝혔다. 가장 큰 열대 우림 지역 중 하나인 브라질은 지난해 전 세계 숲의 43%에 달하는 가장 많은 열대 원시림을 벌채했으며 국가의 산림 손실률은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15% 증가했다. 이 밖에도 콩고민주공화국이 2022년에 주로 농업을 위한 개간으로 인해 50만 헥타르 이상을 잃었고, 가나는 2021년에 비해 열대우림 파괴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다가오는 휴가철을 맞아 하나투어가 최근 MZ세대에서 주요 소비 트렌드로 떠오른 '지속가능성'을 더한 여행을 마련하고자 핀에어와 손을 잡았다. 하나투어는 지난 26일 핀란드 반타 핀에어 본사에서 핀에어와 지속 가능한 여행 개발 공동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송미선 하나투어 대표와 올레 오버 핀에어 상용 부문 수석 부사장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사는 협약을 통해 ESG 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며, 탄소 배출 감축과 지속가능한 여행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이들은 SAF 항공유 구매를 통해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활동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하나투어는 핀란드 지역의 관광 및 지속 가능 여행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상품을 기획하고, 홍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송미선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 경영이 화두인 만큼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탄소 배출 저감에 앞장서는 핀에어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면서 “앞으로도 한국 여행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여행 도입과 발전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 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지구 온도를 높이는 화석 연료의 비중이 여전히 82%를 차지하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은 영국에 본부를 둔 글로벌 산업 단체 에너지 연구소(Energy Institute)가 컨설팅업체 KPMG, 커니(Kearney)와 함께 발간한 세계 에너지 통계 보고서를 인용해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이 1% 증가했으며 총 공급량의 82%는 석유 및 가스 발전에 의해 제공됐다고 보도했다. 줄리엣 데이븐포트(Juliet Davenport) 에너지 연구소 회장은 "발전 부문에서 풍력과 태양광 발전이 더욱 강력하게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글로벌 에너지 관련 온실 가스 배출량은 다시 증가했다"라면서 "우리는 여전히 파리 협정에서 요구하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석유 생산량은 하루 평균 290만 배럴 증가해 2022년 평균 9730만 배럴에 도달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7%나 증가한 양이다. 특히 오염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석탄은 중국과 인도 수요 지속 탓에 지난해에도 소비량이 전년 대비 0.6%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전 세계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구 밀도가 높은 뉴욕에서 탄소 배출 저감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나무 및 석탄 화덕을 사용하는 빵, 피자 가게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규칙을 마련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뉴욕시 환경 보호국(DEP)이 나무·석탄 오븐 및 화덕을 사용하는 빵집과 피자 가게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도시 규칙을 담은 초안을 작성하고 탄소 배출량을 최대 75%까지 줄이기 위해 수십 년 된 가게들의 베이킹 방식을 바꾸도록 요구한다고 보도했다. 테드 팀버스(Ted Timbers) 뉴욕시환경보호국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모든 뉴욕 주민들은 건강한 공기를 마실 자격이 있으며 장작 난로와 석탄 난로는 대기 질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유해한 오염 물질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라면서 “레스토랑 및 환경 정의 단체와 함께 개발한 이 상식적인 규칙은 배출 제어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전문적인 검토를 요구한다”라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석탄과 나무를 태우면 오존, 에어로졸,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벤젠 및 블랙 카본을 포함해 인간과 환경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팝가수 해리 스타일스(Harry Styles)가 월드투어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그의 시그니처 패션 아이템인 깃털 목도리를 착용하고 콘서트를 관람하는 팬들의 영향으로 콘서트를 연 도시 전체가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23일 가디언, BBC는 해리 스타일스가 최근 영국에서 월드 투어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으며 콘서트를 찾는 팬들로 인해 도심 전체가 깃털 잔해로 뒤덮여 마치 ‘깃털 목도리 학살(feather boa massacre)’ 현장과 같았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리 스타일스는 공연에서 자주 깃털 목도리를 두르는데 이에 그의 팬덤 ‘해리스(Harries)’는 비공식 투어 유니폼으로 깃털 목도리를 채택해 콘서트에는 반드시 여러 가지 색상의 깃털 목도리를 두르고 참석한다. 이에 상점에서는 깃털 목도리가 매진을 달성했지만 깃털이 쉽게 빠지는 아이템의 특성상 열띤 콘서트가 끝난 후에는 콘서트장에서 길거리, 대중교통에 이르기까지 도심 전체에 깃털이 날리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실제 런던의 웸블리 공원(Wembley Park)의 공식 틱톡에서는 해리 스타일스 콘서트 이후 얼마나 많은 깃털이 남아있는지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는 환경미화원으로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기후 변화는 다양한 부문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얼음과 눈이 필수인 동계 스포츠 산업이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최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는 샌디에이고의 스크립스해양연구소(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의 새로운 연구 결과를 인용해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대부분의 스키 리조트, 특히 5000~1만 피트 사이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는 2100년까지 스노우팩(snowpack)을 상당 부분을 잃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진은 태평양에서 발원해 더 따뜻하고 습한 폭풍 시스템을 일으키는 대기강(atmospheric rivers)들이 위협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래의 기상 시스템은 높은 고도에서는 눈을 생산하고 낮은 고도에서는 비를 내리지만 폭풍 시스템의 경우 기후 변화로 인해 계속해서 따뜻해지면서, 그들은 설원을 더 높이 밀어 더 낮은 고도에서 설원을 없애는 것이다. 이에 연구원들은 70년 간의 눈 데이터를 연구한 후 캘리포니아에 있는 매머드(Mammoth), 커크우드(Kirkwood) 및 헤븐리(Heavenly) 등 3개 스키 리조트만이 1만 피트가 넘는 산 정상을 가지고 있으며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시력교정, 패션 등을 위해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콘택트렌즈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눈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 Xpress) 보도에 따르면 학술지 환경 과학 및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게재된 중국 난징대학교 환경 오염 제어 및 자원 재사용의 국가 핵심 연구소는 매일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에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눈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은 여러 브랜드의 다양한 수명을 가진 6가지 종류의 콘택트렌즈를 수집하고 렌즈를 물에 보관했다가 햇빛을 모방한 램프 아래에 보관하면서 정상적인 착용 및 관리를 재현했다. 이들은 10시간마다 콘택트렌즈를 물로 헹궜으며 30일 또는 90일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은 후 각 렌즈가 저장된 물을 분석했다. 샘플의 미세플라스틱 수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샘플의 현미경 이미지를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를 처리하고 존재하는 모든 미세플라스틱을 정량화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했다. 표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한 테스트에서 팀은 샘플을 수동으로 분석할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제주에서 가장 많이 수거되는 해양쓰레기가 플라스틱과 스티로폼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023 상반기 제주줍깅 캠페인 조사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27일까지 진행된 2023 제주줍깅 상반기 캠페인은 구좌읍 하도리 해안사구, 제주시 내노동 알작지, 한경면 고산리 해변에서 시민 86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 2701개, 총 197㎏의 해안쓰레기를 수거했다. 수거한 쓰레기 가운데 가장 많이 발견된 것은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파편(441개)이었다. 그 다음으로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밧줄, 끈류 등 어업쓰레기(320개)였으며 페트병 및 병뚜껑(278개), 스티로폼 부표(162개)가 그 뒤를 이었다. 다만 긍정적인 변화로는 매해 제주줍깅 캠페인에서 수거량 1,2위를 다투던 담배꽁초가 이번 상반기에는 271개만 수거돼 투기량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수욕장 및 비지정 해수욕장에 대한 연중금연구역 지정, 환경단체 캠페인을 통한 흡연자들의 인식 개선 등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육상에서 기인하는 쓰레기의 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극심한 해양 열파로 인해 바다 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디펜던트, 유로뉴스 등 외신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보고를 인용해 영국과 아일랜드 해안 주변에 해양열파가 나타나면서 해수 온도는 평년보다 섭씨 5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해양열파는 해양에서 일어나는 극한 기후 현상 중 하나로 짧게는 수일에서 길게는 수개월까지 수천km에 걸쳐 해면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아일랜드와 영국의 해양에 범주 4(Category 4)에 해당하는 열파가 발생했다고 전했으며 이는 열대 지방 밖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극심한 열을 의미한다. 토마스 리페스(Thomas Rippeth) 뱅거 대학교(Bangor University) 물리 해양학자는 “연중 이맘 때에 이토록 높은 기온은 본 적이 없다”라면서 “바다는 대기와 달리 빨리 가열되고 냉각되지 않는다. 따뜻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냉각되는 데 또 오랜 시간이 걸린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영국 전역의 해수 온도를 1년 내내 보는 경향이 있으며 한겨울과 한여름 사이에 약 10도에서 12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히말라야 고산지대의 빙하가 지구 온도 상승으로 인해 금세기 말이면 최대 80% 사라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ICIMOD) 연구팀의 보고를 인용해 최근 에베레스트와 K2 등 유명 산들이 자리잡은 히말라야의 빙하 소실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히말라야 산맥의 빙하를 분석했고 이전 10년보다 65% 더 빨리 녹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들은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 21세기 말에는 빙하의 80%가 녹아 없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리엄 잭슨(Miriam Jackson) ICIMOD 빙권 연구원은 “상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년 전부터 지난 10년까지 상당히 큰 변화가 있었고 녹는 속도가 너무 빨리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게 한다”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2도 높아지면 2100년까지 히말라야의 빙하가 30∼50%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으며 기온이 산업화 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스위스 국민이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새로운 기후법에 찬성표를 던졌다. 도이체벨레(DW), BBC 등 외신은 지난 18일 스위스 유권자의 약 60%가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기후법인 기후 및 혁신법(The Climate and Innovation Act)에 찬성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유권자의 59.1%가 스위스가 수입 석유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생적인 대안의 개발을 확대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법률을 지지했다. 스위스는 현재 모든 화석 가스를 포함해 에너지의 약 4분의 3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고 이에 정부는 화석연료를 무기한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환경 오염과 다른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기후법안을 마련했다. 법안에는 앞으로 10년 동안 탄소 제거 등 기후테크 투자에 20억 스위스 프랑(한화 2조 8760억 원)을 투자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정부가 석유와 가스를 청정 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을 재정적으로 장려하는 것이다.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난방 시스템을 교체하는 사람들은 물론 기후 친화적인 기술에 투자하는 법인에도 혜택을 준다. 앞서 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