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최근 한 반려동물 보호자가 올린 영상이 SNS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상 속 주인공은 서울 중랑구에 위치한 로얄동물메디컬센터의 마스코트인 강아지 ‘쎄미’로, 엘리베이터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모습이 담겨 있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 쎄미의 특별한 사연 쎄미는 처음부터 병원의 마스코트가 아니었다. 병원 측에 따르면, 쎄미는 몇 년 전 건강 문제로 안락사가 논의됐던 강아지였다. 당시 보호자가 쎄미를 병원에 데려왔으나, 정인성 대표원장의 설득으로 안락사는 취소됐다. 입양 당시 쎄미는 심각한 피부병과 건강 문제를 앓고 있었으나, 병원의 정성 어린 치료와 관리 덕분에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후 쎄미는 병원에서 지내게 됐고, 현재는 정 원장의 반려견이자 병원의 마스코트로 자리 잡았다. 정 원장은 “처음에는 병원에서 키우려 했지만, 쎄미가 저를 너무 따라다니고 혼자 있는 것을 어려워했다”며 “결국 출퇴근할 때 함께 다니게 됐다”고 전했다. ◇ 엘리베이터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쎄미 영상 속 쎄미는 혼자 엘리베이터에 올라타고 목적지로 향하는 모습이 담겼다. 보호자가 “어느 층으로 가는 강아지냐”고 묻자, 병원 직원은 웃으며 “걔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문어의 팔은 각각 독립적인 대규모 신경계를 갖추고 있어, 뛰어난 유연성과 정밀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경 구조는 문어가 환경을 탐색하고, 물체를 조작하며, 먹이를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카고 대학교의 신경생물학 교수 클리프턴 래그스데일(Dr. Clifton Ragsdale) 박사는 최근 문어 팔의 독특한 신경계가 분절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이처럼 역동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이 분절은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에 특화된 진화적 적응으로 보인다. 문어의 팔은 복잡한 신경계를 갖추고 있으며, 팔 8개에 있는 뉴런의 총합이 뇌의 뉴런보다 많다. 이 방대한 뉴런 네트워크는 각 팔의 길이를 따라 위치한 축 신경줄(ANC)에 집중돼 있다. ANC는 각 흡착기와 연결된 분절 구조를 가지고 있어, 팔의 움직임과 감각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팀의 대학원생 캐사디 올슨( Cassady Olson)과 그레이스 슐츠(Grace Schulz)는 캘리포니아 두 점 문어(California two-spot octopus)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중해에서 80종 이상의 상어와 가오리가 과도한 어획 및 불법 어획, 상어 고기에 대한 수요 증가로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상어와 가오리 같은 연골어류를 포함하는 생물군에 대한 보존 전략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스페인과 모로코부터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에 이르는 22개 지중해 연안 국가에서 연골어류에 대한 기존 보호 조치를 조사했다. 그들은 200개 이상의 조치를 확인했으며, 이는 국가 법률부터 NGO 주도의 보존 노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비(非)유럽연합(EU) 국가보다 이러한 조치를 더 많이 시행하고 있으며, 스페인이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구 결과, 정부가 이러한 조치의 63%를 책임지고 있으며, 주로 법적 요구 사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법률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모니터링되는지에 대한 차이가 있으며, 상어 보존에 대한 국가적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단일 출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 법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어는 점점 더 의도적으로 그리고 우발적으로 잡히고 있으며, 이는 종종 제품에 대한 증가하는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산천어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산천어 축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은 14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화천 산천어축제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한국동물보호연합은 "화천군이 지난 11일부터 오는 2월 2일까지 23일간 진행하는 산천어축제에 국내 양식 산천어의 90%인 52~64만 마리가 투입된다"며 "이는 명백한 동물학대"라고 주장했다. 단체는 "축제 참가자들이 산천어를 입에 물거나 아가미에 손을 넣어 피를 터뜨리는 등 동물을 장난감처럼 다루고 있다"며 "미끼를 잘 물도록 며칠간 굶기고, 운반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압사하거나 동사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생동물도 인간처럼 고통을 느낀다는 것이 과학계의 정설"이라며 "동물의 고통과 죽음을 오락거리로 삼는 산천어축제, 송어축제, 연어축제 등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기자회견 전문이다. ● '동물학대 축제'를 중단하라! ● '동물살생 축제'를 중단하라! ● '동물오락 축제'를 중단하라! ● '동물착취 축제'를 중단하라! ● '동물학대' 중단하라! ● 동물은 '장난감'이 아니다! ● 동물은 '오락용'이 아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이 화천 산천어축제를 동물학대로 규정하고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13일 한국동물보호연합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기자회견은 오는 14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진행되며,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가 이어질 예정이다. 단체는 "지난 11일부터 오는 2월 2일까지 23일간 진행되는 화천 산천어축제에 국내 양식 산천어의 90%인 52~64만 마리가 투입된다"며 "동물을 죽이며 즐기는 축제는 생명 감수성을 파괴하고 동물학대에 대한 경각심을 무디게 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축제 과정에서 산천어들이 낚시와 맨손으로 잡히며 고통받고, 며칠간 굶기거나 운반 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등 심각한 학대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수생동물도 인간처럼 고통을 느낀다는 것이 과학계의 정설"이라며 "산천어축제, 송어축제, 연어축제 등 동물을 오락 대상으로 삼는 행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