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세계 유일의 미쉐린 3스타 비건 레스토랑 ‘일레븐 매디슨 파크(Eleven Madison Park)’가 오는 10월 14일부터 일부 육류와 해산물 메뉴를 다시 선보인다. 일레븐 매디슨 파크는 2012년 미쉐린 3스타를 획득한 후, 2021년 환경적 이유로 전면 식물성 메뉴로 전환하며 주목을 받았다. 2022년에는 채식 메뉴만으로도 별을 유지하며 고급 채식 요리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오너 셰프 다니엘 흄(Daniel Humm)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비건 메뉴 고수가 오히려 일부 고객을 배제하게 만들었다”며 “보다 많은 사람이 식탁을 함께할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그는 “위선자라는 비난이 두렵지만, 식물성 요리를 지속적으로 옹호하기 위해서는 포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새 메뉴에는 기존 채식 요리와 함께 랍스터, 굴, 오리 등 일부 동물성 재료를 사용한 요리가 포함된다. 완전 비건 옵션도 계속 제공된다. 이번 결정에 대해 일부 비건 소비자들은 “실망스럽다. 더 이상 이곳을 찾지 않을 것”이라며 불매 의사를 밝혔다. 업계에서는 ‘비건 고급 레스토랑’이라는 차별성이 매출 한계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유럽의 식품 유통업계가 전통 식품과 대체식품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시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 최대 슈퍼마켓 체인 알버트 하인(Albert Heijn)은 최근 소시지, 델리미트, 다진 고기, 햄버거 등 육류 제품에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제품과, 우유 단백질에 귀리·콩 성분을 더한 하이브리드 밀크를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하이브리드 식품은 기존 100% 식물성 대체식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맛과 식감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과 포화지방 함량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아 환경과 건강에 관심 있는 소비자는 물론, 식물성 식품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접근성이 높다. 이러한 움직임은 알버트 하인만의 전략이 아니다. 유럽의 또 다른 대형 유통업체 리들(Lidl)은 벨기에 시장에 쇠고기 60%와 식물성 단백질 40%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다진 고기를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탄소 배출량을 최대 40%까지 줄인 것으로 평가되며, 가격과 맛, 영양을 모두 고려한 선택지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 식품이 ‘브리지 제품(bridge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식물성 음료 브랜드 아몬드브리즈가 지난 6월부터 진행한 ‘오 마이 브리즈’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 3점을 14일 공개했다. 이번 공모전은 아몬드브리즈의 브랜드 감성과 가치를 시각적으로 담아낼 창의적인 패키지 디자인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1495건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내부 심사와 소비자 온라인 투표를 거쳐 최종 수상작이 선정됐다. 1만여 명의 소비자가 투표에 참여해 브랜드의 새로운 얼굴을 함께 결정했다. 대상은 ‘아몬드브리즈의 작은 비밀’로, 아몬드 음료 제조 과정을 동화처럼 풀어내 순수한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한 작품이다. 최우수상 ‘아몬드★브리즈’는 여름의 청량함과 젊고 활기찬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했으며, 우수상 ‘ㅇㅁㄷㅂㄹㅈ’는 브랜드명을 초성으로 나타낸 감각적인 타이포그래피로 정체성을 재해석했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금 700만 원, 500만 원, 300만 원이 수여된다. 공모전과 수상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몬드브리즈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아몬드브리즈는 100% 캘리포니아산 프리미엄 아몬드로 만든 식물성 음료로, 세계 최대 아몬드 전문 기업 블루다이아몬드와 매일유업이 합작해 선보이고 있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채소는 조리 방식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채소는 열을 가하면 비타민과 항산화 물질이 파괴되지만, 생으로 먹을 경우 오히려 그 효능이 극대화된다. 생식은 식이섬유, 효소, 열에 약한 수용성 비타민 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건강에 유익하다. 다음은 생으로 먹을 때 더 좋은 대표적인 야채 5가지다. 첫째, 붉은 피망은 비타민 C의 보고다. 조리 과정에서 120~130도의 열을 받으면 비타민 C가 파괴되기 쉽지만, 생으로 섭취하면 하루 권장량을 훌쩍 넘는 양의 비타민 C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과 캡사이신이 함유돼 면역력 강화와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 둘째, 브로콜리는 설포라판이라는 강력한 항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브로콜리를 생으로 먹었을 때 설포라판 함량이 조리 후보다 최대 37% 높게 유지된다. 특히 찌거나 볶는 조리 방식은 영양소 손실을 크게 일으키므로, 가급적 생으로 잘게 썰어 샐러드나 스무디에 넣어 먹는 것이 좋다. 셋째, 시금치는 조리 시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와 일부 엽산이 물에 녹아 손실된다. 생으로 먹으면 이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내 1만 7천 명 이상의 의사로 구성된 ‘의료책임위원회’(PCRM)가 육류와 유제품을 미국인의 주요 건강 위협으로 지목하며, 식물성 식품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입장은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HA·Make America Healthy Again)’ 위원회가 오는 8월 12일 발표할 후속 보고서를 앞두고 발표됐다. PCRM은 이번 보고서에서 육류와 유제품에 함유된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비만,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일부 암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경고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가공육을 ‘인간 발암물질(Group 1)’, 붉은 육류를 ‘발암 가능성 물질(Group 2A)’로 각각 분류하고 있다. 위원회는 또 모든 초가공식품이 동일하게 해로운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물성 가공육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44% 높이는 반면 곡물 기반 초가공식품은 위험을 22%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의 조사에서는 가공 여부와 관계없이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으로 대체하면 체중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PCRM은 “정책 결정자와 대중은 단순히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북미에서 진행된 대규모 장기 추적 연구에서 채식주의 식단이 전체 암 발병 위험을 낮추고, 특히 대장암과 위암 등 일부 암에서 뚜렷한 예방 효과를 보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임상영양학회지(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25년 8월호에 실린 이번 연구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Seventh-day Adventist) 신자 9만5863명을 대상으로 약 10년간 진행된 코호트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채식주의자들은 비채식주의자에 비해 전체 암 발병 위험이 12% 낮았으며, 부위별로는 대장암 21%, 위암 45%, 림프형성암 25% 각각 감소했다. 연구진은 2002~2007년 사이 모집된 참가자 중 연구 시작 시 암 진단 이력이 없는 7만 9468명을 대상으로 평균 10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채식주의 식단을 유지한 그룹은 암 발병 위험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발병 빈도가 중간 수준인 암군에서도 위험이 18%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방암, 전립선암, 림프종 등에서도 채식주의가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통계적 근거가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로마린다대학의 게리 프레이저 박사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채식주의자라도 감자튀김 섭취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T.H. 챈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약 40년간 미국 성인 20만 5천여 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주 3회 감자튀김을 먹는 사람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20% 높았다. 반면 구운 감자, 삶은 감자, 으깬 감자를 섭취한 경우에는 발병률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연구진은 감자 자체보다 조리 방식이 위험을 좌우한다고 분석했다. 감자를 삶거나 구우면 전분 구조가 유지돼 소화 속도가 느려지고 혈당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튀기면 전분 입자가 파괴되고 지방이 더해져 혈당지수가 상승한다. 이는 인슐린 수요를 높이고 대사 부담을 가중시킨다. 하버드대 역학·영양학 교수 월터 윌렛은 “작은 식단 변화도 제2형 당뇨병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감자튀김 대신 샐러드나 통곡물 빵을 곁들이는 것을 권장했다. 감자튀김은 종종 소금과 튀김옷이 더해지고, 반복 가열된 기름에 조리돼 췌장 세포에 해로운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식 시 1인분이 2컵을 넘는 경우가 많아 섭취량도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에 따르면 감자 요리 대신 주 3회 통곡물을 섭취하면 당뇨병 위험이 최대 8%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환경과 윤리를 이유로 육류와 동물성 제품을 거부하는 전통적 비건 운동이 이제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영국 일간지 더 가디언(The Guardian)과 학술 기반 매체 더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은 ‘AI 비건(AI Vegan)’이라 불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조명했다. AI 비건은 인공지능(AI) 기술의 사용을 자발적으로 제한하거나 거부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데이터센터의 막대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 전자폐기물 증가 등 AI 기술이 초래하는 환경적 부담을 이유로 들고 있다. AI 비건의 기본 인식은 “디지털 소비에도 탄소발자국이 있다”는 점이다. 대규모 AI 모델의 학습 과정은 방대한 전력을 소모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최신 AI 모델을 한 번 학습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평균 가정 500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에 해당하며, 데이터센터 냉각 과정에서도 상당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또한 서버와 반도체 제조에는 리튬·희토류 등 환경 부담이 큰 광물 채굴이 필수적이며, 장비 교체 주기가 짧아지면서 전자폐기물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이 운동은 ‘불편함’을 실천의 전제로 한다. AI 비건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대학 캠퍼스 식당에서 주 1회 ‘고기 없는 날(Meat-Free Day, MFD)’을 도입하면 온실가스 배출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단백질 섭취 감소, 당류 섭취 증가, 매출 하락 등 부작용도 확인돼,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위스 로잔의 명문 공과대학인 EPFL(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과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18개월 동안 대형 대학 캠퍼스 내 12개 구내식당에서 주 1회 MFD를 시행하고, 총 40만 건이 넘는 식사 구매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MFD가 환경, 영양,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했다.분석 결과, MFD를 시행한 날의 식단은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52.9% 감소했다. 곡물과 채소 위주의 메뉴로 인해 식이섬유 섭취는 26.9% 늘었고, 콜레스테롤 섭취는 4.5% 줄었다. 이는 단 하루의 식단 변화만으로도 환경과 건강 지표가 동시에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단백질 섭취는 27.6% 줄었고, 당류 섭취는 34.2% 늘었다. 이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최근 국제학술지 '국제 분자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발표된 최신 리뷰 논문이 7가지 글로벌 슈퍼푸드의 항산화·면역 조절 효능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표고버섯, 인삼, 강황, 블랙시드(흑종자), 베리류, 모링가, 홀리바질(투시) 등 세계 각지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돼 온 식물들이 체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면역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만성 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ROS)의 과도한 생성과 체내 항산화 방어체계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이로 인해 세포와 조직이 손상되고 산화·환원 균형(redox balance)이 무너지면서 전신 염증과 다양한 질환이 유발된다. 연구진은 이번 분석에서 각 식물이 어떻게 산화·환원 균형을 회복하고, 세포 보호 경로인 Keap1/Nrf2를 활성화하는지, 그리고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Th1·Th2 균형을 조절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Th1 반응은 감염과 암세포를 억제하고, Th2 반응은 알레르기와 염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에는 ‘렌티난’이라는 다당류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대표 우미령)가 러쉬(LUSH) 30주년을 맞아 익스클루시브 보디 스프레이 5종을 선보이며,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 사전 예약을 진행한다. 익스클루시브 보디 스프레이는 출시 이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러쉬 향을 여름철 사용하기 좋은 보디 스프레이 형태로 새롭게 재해석한 제품이다. 창립과 함께 탄생한 시그니처 향부터 오늘날 글로벌 베스트셀러 향까지 다채롭게 구성해, 브랜드 프래그런스의 30년 여정을 풀어냈다. 러쉬의 창립 해인 1995년, 퍼퓸으로 처음 선보인 ‘카마(KARMA)’는 스파이시하면서도 시트러스한 무드로 전 세계 팬들에게 오랜 사랑을 받아온 브랜드 시그니처 향이다. 퍼퓸, 샤워 젤, 보디 스크럽에 이어 보디 스프레이로 새롭게 출시된다. 또한, 글로벌 베스트셀러 ‘수퍼 밀크(SUPER MILK)’ 컨디셔닝 헤어 프라이머의 향도 보디 스프레이로 재탄생했다. 크리미한 바닐라와 상큼한 레몬이 어우러진 향으로, 구어망드 계열 향의 인기를 반영해 프래그런스 제품군으로 확장됐다. 이외에도 우디한 흙내음이 매력적인 ‘블루 스카이스 앤드 플러피 화이트 클라우즈(BLUE SKIES AND FLUFF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유럽에서 배양육과 대체 단백질 제품의 확산을 위해서는 소비자 인식과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럽연합(EU) 산하 식품혁신기구인 EIT 푸드 소비자 관측소(EIT Food Consumer Observatory)는 최근 두 건의 연구 보고서를 통해,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산업계의 접근 방식에 대해 제언했다. 해당 보고서는 각각 '단백질의 재구상: 소비자의 배양육 인식(Reimagining Protein: Consumer Perceptions of Cultivated Meat)'과 '고기 이상의 의미: 유럽에서의 고기 및 지속가능한 대안에 대한 문화적 인식(More than Meat: Unpacking Cultural Perceptions of Meat and Sustainable Alternatives in Europe)'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전통적인 고기를 자연스럽고 익숙한 식품으로 인식하는 반면, 배양육이나 식물성 대체육은 인공적이고 낯선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에 따라 대체 단백질 제품이 유럽 시장에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단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8월 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비건연대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고기 대신 채식이 건강을 지킨다”, “비건 채식으로 더위를 극복하자”는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8월 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비건연대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고기 대신 채식이 건강을 지킨다”, “비건 채식으로 더위를 극복하자”는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8월 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비건연대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고기 대신 채식이 건강을 지킨다”, “비건 채식으로 더위를 극복하자”는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