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레스토랑 메뉴에 식물성 대체육을 추가하는 것이 소비자의 고기 선택을 줄일 수 있을까. 스탠퍼드 의과대학 연구팀이 최근 발표한 사전 공개 논문에 따르면, 메뉴에 대체육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고기 소비를 유의미하게 줄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기존 채소 메뉴 선택이 줄어드는 결과가 확인됐다. 연구는 지난 1월 미국 내 성인 4,4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통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인 칩톨레(Chipotle)의 실제 메뉴를 재현해 참가자들에게 무작위로 제시했다. 세 가지 조건이 마련됐다. 첫 번째는 채식 대체육이 없는 메뉴, 두 번째는 두부를 활용한 소프리타스가 포함된 메뉴, 세 번째는 소프리타스와 함께 가상의 치킨 모사 대체육 ‘치크니타스’가 추가된 메뉴였다.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대체육이 전혀 없는 메뉴에서는 89.1%가 고기를 선택했고, 소프리타스가 포함된 메뉴에서는 88.8%, 소프리타스와 치크니타스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87.6%가 고기를 선택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는 아니었다. 반면 채소·과카몰레 메뉴는 9.2%에서 6.6%, 다시 5.7%로 줄어들어 대체육이 오히려 기존 채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국 맨체스터 코옵 라이브(Co-op Live) 아레나가 빌리 아일리시의 공연 기간 동안 완전 식물성 메뉴를 도입해 식품 관련 탄소배출을 절반 가까이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레나 측은 지난 7월 열린 아일리시의 ‘Hit Me Hard And Soft’ 투어 공연 4일간 음식으로 인한 배출량을 47% 감축했다고 밝혔다. 또한 동물성 제품을 대체한 결과 약 350만 리터의 물을 절약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연의 메뉴에는 식물성 버거, 핫도그, 감자튀김과 함께 ‘빌리 부리토’가 포함됐다. ‘빌리 부리토’는 칩otle 향 비건 다짐육, 고수 라임 라이스, 구운 파프리카·양파, 감자, 리프라이드 빈, 살사를 또띠아에 담아 선보였다. 코옵 라이브의 제임스 하트 총괄 셰프 디렉터는 “식물성 메뉴가 매출이나 팬 경험을 해치지 않았으며, 관객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완전 식물성 매장을 포함한 확대 운영 가능성도 내다봤다. 사라 톰킨스 코옵 라이브 지속가능성·지역사회 디렉터는 “세계적인 아티스트와 팬을 맞이하면서도 지역사회와 지구에 기여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아일리시 공연은 지역 농산물과 식물성 메뉴의 긍정적 효과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달콤한 음료나 디저트를 먹고 난 뒤 혈당이 빠르게 오르는 것은 누구에게나 흔한 경험이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인슐린 분비가 과도하게 늘어나고, 장기적으로 당뇨병이나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민간에서 오랫동안 즐겨온 라즈베리 잎차가 설탕 섭취 후 나타나는 혈당과 인슐린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은 각각 설탕과 포도당을 잎차와 함께 섭취하거나 단독으로 섭취하는 방식으로 비교 실험에 참여했다. 그 결과, 설탕과 함께 라즈베리 잎차를 마신 경우 식후 초기 혈당과 인슐린 반응이 뚜렷하게 억제된 반면, 포도당과 함께 섭취했을 때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라즈베리 잎에 풍부한 폴리페놀이 설탕을 분해하는 효소의 작용을 늦춰 혈당 상승을 완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라즈베리 잎은 오래전부터 전통 의학에서 차나 약재로 활용돼 왔지만, 그동안 연구의 초점은 주로 열매에 맞춰져 있었다. 이번 결과는 잎 자체가 가진 생리활성 성분이 혈당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채식주의를 전면에 내세운 이색적인 청소년 소설이 출간됐다. 넥서스 출판사는 강이라 작가의 신작 ‘비건 소녀 진초록’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작품은 채식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동시에 청소년의 성장과 우정, 정체성 찾기를 섬세하게 그린다. 소설은 현대의 고등학교와 조선시대 궁궐을 배경으로 현재와 과거가 교차하는 구조를 취한다. 건강 문제로 비자발적으로 채식을 시작한 주인공 진초록과 채식주의자 동급생 오리진이 현대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며, 오리진이 집필하는 역사 판타지 웹소설 속에서는 궁녀 송시내와 왕자 휘가 등장해 흥미로운 궁궐 로맨스를 펼친다. 강이라 작가는 이번 작품에 자신의 철학과 경험을 녹여냈다. 요가 수련과 지도 과정에서 비폭력과 조화를 중시하는 태도를 배워 채식을 지향하게 된 그는 “청소년들이 일주일에 한 끼라도 채식을 경험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집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채식은 누군가에게는 지구를 위한 실천이고, 또 다른 이에게는 자기 몸을 돌보는 길이며, 어떤 이에게는 연민과 존중의 언어”라며 “이 소설을 통해 다르게 선택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작품에는 환경과 지속가능성의 메시지도 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영국에서 판매되는 햄 제품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질산염이 여전히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규제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소비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공육에 대한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비영리단체 ‘질산염 반대 연합(Coalition Against Nitrates)’의 의뢰로 푸드 사이언스 퓨전(Food Science Fusion)과 리주브텍(Rejuvetech)이 진행한 이번 분석은 테스코(Tesco), 모리슨스(Morrisons), M&S 등 주요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21종의 가공육 제품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모든 샘플에서 질산염이 확인됐으며, 특히 테스코의 ‘윌트셔 햄(Wiltshire ham)’은 알디(Aldi)의 조리 햄보다 약 15배 많은 질산염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퀸스대 교수이자 식품과학·미생물학 전문가인 크리스 엘리엇(Chris Elliott) OBE는 “이번 조사 결과는 일부 제품에서 여전히 불필요하게 높은 수준의 아질산염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과학적 증거가 축적되고 있는 만큼, 더 안전한 대체 방안을 모색하고 위험한 화학물질을 식단에서 제거해야 한다”고 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이 여성의 유방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이번 연구는 비타민 A, C, E와 마그네슘, 아연, 셀레늄 등 여섯 가지 주요 영양소가 유방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란 여성 310명을 대상으로 식이 섭취 조사를 진행했으며, 절반은 유방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였고 나머지는 암이 없는 집단이었다. 참가자 모두 18세에서 70세 사이였으며, 연구진은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활용해 각자의 ‘식이 항산화 지수’를 산출했다. 이후 연령, 체중, 신체 활동, 생식 이력, 가족력 등 다양한 요인을 보정해 항산화 영양소 섭취와 유방암 발생 간의 관계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항산화 점수가 높은 여성은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산화 섭취 수준이 중간 정도인 집단도 가장 낮은 섭취 집단에 비해 뚜렷하게 위험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경향은 폐경 후 여성에게서 두드러졌는데, 이는 이 집단이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으로부터 더 큰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연구에서는 항산화 섭취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야리바이오(Yali Bio)가 정밀 발효 기술을 통해 인간 모유에 포함된 특별한 지방 성분 ‘OPO(올레익-팔미틱-올레익)’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성과는 유아용 조제분유가 실제 모유와 더욱 가까워지는 길을 열었을 뿐 아니라, 동물성 원료 의존을 줄이는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OPO는 아기들의 지방 소화와 칼슘 흡수를 돕는 핵심 성분으로, 장 건강과 뼈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 분유 업계가 한계를 겪어왔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Betapol이나 Infat의 경우 OPO의 핵심 구조 비율이 55~70% 수준에 머물렀지만, 야리바이오가 발효로 구현한 OPO는 66~78%까지 달해 실제 모유와 더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아동건강·인간발달연구소(NICHD)의 약 37만 달러(한화 약 5억 원) 지원을 받아 2년간 진행됐다. 야리바이오는 이를 통해 대규모 상업 생산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북미와 유럽, 아시아의 주요 분유 제조사들로부터 협력 제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회사는 미국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네덜란드 연구진이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55세 이상 성인들이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성 식단을 받아들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과 ‘맛’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55세부터 74세 사이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해, 식물성 단백질 식단 채택을 가로막는 요인과 촉진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COM-B 모델’을 적용했다. 이는 개인의 능력(Capability), 사회적 기회(Opportunity), 그리고 동기(Motivation)라는 세 가지 요소가 합쳐져 행동이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분석 결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음식의 맛이 새로운 식단을 시도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이자 동시에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참여자들은 영양학적 지식 부족과 식물성 식단의 환경적 이점에 대한 이해 부족을 주요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연구진은 고령층이 올바른 영양 정보를 접하고 조리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식습관과 사회적 분위기 같은 환경적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인의 약 60%가 수면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매일 숙면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7%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수면연구학회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수면 부족을 호소했고, OECD 평균보다 짧은 수면 시간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피로 문제를 넘어, 국가 생산성과 사회 안전에도 직결되는 심각한 공중보건 과제로 지적된다. 수면 부족은 다양한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 신체적 질환은 물론, 불안과 우울 같은 정신 건강 문제, 면역력 약화, 대사 불균형까지 폭넓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낮 동안 과도한 졸음으로 이어지는 주간 과다 졸림증(Excessive Daytime Sleepiness·EDS)은 일상생활의 집중력과 업무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와 같은 사회적 위험 요인을 높인다. 이와 관련해 미국과 핀란드 공동 연구진은 수면과 대사체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주목할 만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라틴계 커뮤니티 건강 연구(HCHS/SOL)를 비롯해 영국 바이오뱅크, 핀란드 Health2000 등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참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오는 10월 열리는 글로벌 러닝 이벤트 ‘디즈니런 서울 2025’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한다. 이와 함께 자사 온라인 직영몰 ‘칠성몰’에서는 식물성 음료 오트몬드와 연계한 소비자 행사를 오는 7일까지 진행한다. 롯데칠성음료는 오트몬드가 지닌 ‘건강함’의 가치와 세계적 러닝 축제 디즈니런의 콘셉트가 맞닿아 협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디즈니런 서울 2025는 국내 최초로 열리는 글로벌 러닝 행사로, 10월 11일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에서 개최된다. 참가 인원은 총 1만5000명으로, 3km와 10km 두 코스로 나뉘어 달린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미키와 친구들, 주토피아 캐릭터가 새겨진 티셔츠, 반다나, 마라톤 완주 메달 등 기념품이 제공된다. 칠성몰에서는 오트몬드 오리지널·언스위트·초코 3종 또는 오트몬드 프로틴 쿠키앤크림·초코·고소한 맛 3종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디즈니런 참가권 40장을 증정한다. 구매 후 행사 응모 양식을 작성하면 결제 금액 1만원당 응모 횟수가 1회씩 추가된다. 또한 행사 제품 구매 시 오트몬드 할인 쿠폰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오트몬드 오리지널·언스위트·초코 3종은 20% 할인, 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바다에서 나는 해조류가 인류의 미래 식탁을 책임질 새로운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풍부한 영양소와 친환경적 생산 방식 덕분에 기존의 육류·곡물 중심 식단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네덜란드 바게닝언 식품·바이오 기반 연구소(Wageningen Food & Biobased Research)가 주도하는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이름은 ‘Healthy Algae(건강한 해조류)’로, 학계와 산업계가 손잡은 민관 협력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여 기업에는 Seaweedland, BettaF!sh, SeaStock, Ani Biome 등이 있으며, 네덜란드 농식품 톱섹터(Topsector Agri & Food)도 함께한다. 이들은 해조류의 영양학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일상 식탁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해조류, 특히 다시마류는 식이섬유와 미량 영양소가 풍부하고 각종 생리활성 물질까지 포함해 건강식으로서의 잠재력이 높다. 그러나 소화 흡수 가능성이나 구체적인 건강 효익, 가공 기술 등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이 2일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케이지 사육 계란의 중단과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퍼포먼스와 구호를 통해 “동물학대를 멈추고 비건 채식이 답”이라고 강조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이 2일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케이지 사육 계란의 중단과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퍼포먼스와 구호를 통해 “동물학대를 멈추고 비건 채식이 답”이라고 강조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이 2일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케이지 사육 계란의 중단과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퍼포먼스와 구호를 통해 “동물학대를 멈추고 비건 채식이 답”이라고 강조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이 2일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케이지 사육 계란의 중단과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퍼포먼스와 구호를 통해 “동물학대를 멈추고 비건 채식이 답”이라고 강조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