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박민수 기자] 우리 사회는 왜 김새론을 안아주지 못했나.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최근 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는 반려인들 사이에서 카랑코 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카랑코(칼랑코) 꽃은 아름다운 꽃과 다양한 색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지만, 고양이가 이 식물을 섭취할 경우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카랑코 꽃은 다육식물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졌지만, 고양이에게는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카랑코 꽃이 포함된 독성 성분은 고양이의 소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구토, 설사,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주도에 사는 집사 A씨는 "키우는 고양이(스코티쉬폴드)가 갑자기 구토해서 동물병원에 데려가 입원시켰다"고 밝혔다. 이어 "처음에는 장염인 줄 알았는데 장 마비까지 왔었다"며 "고양이가 최근에 핀 카랑코 꽃을 먹는 모습을 아버지가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키우는 식물이 있다면 수의사에게 이야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경혜 제주 나아라동물병원 원장은 "식물 선택 시 독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특히 고양이는 호기심이 많아 물어보거나 씹는 경우가 많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제주에서 아라초등학교 6학년 박소현, 이다은 학생과 아라중학교 1학년 고다연 학생, 3학년 강은서 학생이 길 잃은 개 '도꼬'(골든 리트리버)를 발견하고 주인을 찾아준 훈훈한 사연이 전해졌다. 이들 학생은 7일 제주시 아라일동에 위치한 해동검도 아라도장 앞에서 길 잃은 개를 발견하고, 즉시 검도복 끈으로 개의 목줄을 만들어 안전하게 데리고 인근에 있는 나아라동물병원으로 향했다. 이날 오후 8시가 넘은 시각에도 불구하고 이경혜 수의사(나아라동물병원 원장)는 개에게 사료와 물을 제공하며 따뜻한 마음을 나눴다. 병원에서 애완견 유기 방지를 위해 개 몸 안에 심어놓은 마이크로칩(무선식별장치)을 스캔한 결과, 개의 정보가 확인됐고, 해당 개의 주인은 곧바로 연락을 받고 찾아왔다. 도꼬 견주는 "우리 개를 찾아줘서 정말 감사하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학생들의 작은 행동이 길 잃은 개와 주인을 다시 이어준 이번 사건은 지역 사회에 따뜻한 감동을 주며, 동물에 대한 사랑과 책임감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젖소가 우유 생산을 위해서 임신과 출산을 반복해야 한다는 사실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국제 여성의 날’을 앞두고 영국의 동물 권리 단체인 동물 정의 프로젝트(Animal Justice Project, 이하 AJP)가 YouGov에 의뢰해 진행한 유제품 생산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관련한 설문 조사에서 영국인들의 절반 이상이 소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매년 임신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JP는 이 결과가 "임신과 우유 생산 간의 근본적인 연관성에 대한 사회적 무지를 강조한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2%가 ‘소는 우유 생산을 위해 매년 임신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자선 단체 Viva!가 2021년 실시한 별도의 설문조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당시 조사에서는 59%의 영국인이 소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출산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고 응답했다. AJP 설립자인 클레어 팔머(Claire Palmer)는 "2025년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간과 마찬가지로 소가 젖을 분비하려면 임신해야 한다는 사실을 여전히 모른다는 것은 터무니없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Z세대의 환경 및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단체 파우널리틱스(Faunalytics)의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이 Z세대(1997년에서 2012년 사이에 태어난 개인)의 환경 및 동물 보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Z세대가 윤리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미국,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의 교육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31%와 34%는 각각 사회가 동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주로 반려동물과 야생동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농장 동물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응답자들은 농장 동물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고, 동물 보호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 논의할 때 반려동물과 야생동물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특정한 자극이 없으면 동물 보호가 주로 야생동물과 반려동물에 관한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대부분의 Z세대는 동물이나 기후를 보호하는 데 이념적 장벽이 없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동물과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로 미래 세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다양한 동물실험의 희생양이 되는 쥐가 사회적 행동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쥐가 의식을 잃은 동료를 돕기 위해 특별한 행동을 보인다는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된 것이다.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신경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쥐들이 의식이 없는 동료를 돕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마취로 인해 의식을 잃은 쥐를 다른 쥐들이 있는 우리에 넣었고, 그 결과 의식이 없는 쥐를 다시 깨우기 위한 행동을 시작했다. 다른 쥐들은 의식이 없는 쥐의 냄새를 맡고 털을 다듬는 등 다양한 행동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반응이 없을 경우, 쥐들은 머리를 핥고 혀를 잡아당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행동에 대해 연구진은 뚜렷하고 일관된 응급 처치 행동이라고 설명했으며 의식이 없는 쥐가 깨어나면 즉시 중단됐다. 특히 혀를 잡아당기는 행동은 기도를 열어주는 효과가 있어 의식이 없는 쥐의 회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쥐들이 잠시 동안 죽어 있던 쥐에게도 이러한 응급 행동을 보였으나, 단순히 잠들어 있는 쥐에게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세계 야생동식물의 날을 맞아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세계 야생동식물의 날을 맞아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세계 야생동식물의 날을 맞아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야생동물 매매 금지 기자회견에서 도롱뇽과 거북이 모형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