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채식연합 등 단체가 '동물 노예제'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채식연합 등 단체가 '동물 노예제'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매년 12월 2일은 유엔이 지정한 '국제 노예제 철폐의 날'이다. 이를 기념해 한국동물보호연합과 한국채식연합,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이 동물 노예제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를 통해 동물 착취의 문제를 알렸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노예제는 점차 철폐돼 가고 있지만, 동물을 노예로 만드는 '동물 노예제'는 여전히 공고하다. 이는 동물을 기계나 물건처럼 여기는 '종 차별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종 차별주의'는 인간 외의 동물종을 열등하게 보고 착취를 정당화하는 사고 방식으로, 인종차별이나 여성 차별과 다름없는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태도라고 주장했다. 동물도 인간처럼 감각과 지각을 지니고 있으며, 자유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철학자 제레미 벤덤은 "중요한 것은 동물이 인간처럼 이성을 가졌는가가 아니라, 고통을 느낀다는 점"이라고 말했고,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는 "동물도 지각,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어 보호받아야 할 도덕적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오늘날의 공장식 축산은 동물에게 있어 아우슈비츠와 다름없으며, 닭과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매년 12월 2일은 유엔이 정한 '국제 노예제 철폐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Abolition of Slavery)이다. 이를 기념해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채식연합 △한국비건(VEGAN)연대 △비건(VEGAN)세상을위한시민모임은 '동물 노예제'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개최한다. 30일 한국동물보호연합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기자회견은 오는 12월 2일 오후 1시에 시작되며,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등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주최 측은 인간 사회에서 노예제가 점차 철폐되고 있지만, 동물에 대한 노예제는 더욱 공고 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감각과 지각을 지닌 존재로서 자유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음을 강조한다. 영국의 철학자 제레미 벤덤은 "중요한 것은 동물이 인간처럼 이성을 가졌는가가 아닌, 동물도 인간처럼 고통을 느낀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는 그의 저서 '동물 해방'(Animal Liberation)에서 "동물도 지각,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보호받기 위한 도덕적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에르메스 매장 앞에서 가죽을 위한 악어 살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해골 가면을 쓰고 악어 모형을 들고 있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에르메스 매장 앞에서 가죽을 위한 악어 살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해골 가면을 쓰고 악어 모형을 들고 있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에르메스 매장 앞에서 가죽을 위한 악어 살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손팻말과 현수막을 들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에르메스 매장 앞에서 가죽을 위한 악어 살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손팻말과 현수막을 들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 회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에르메스 매장 앞에서 가죽을 위한 악어 살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원복 대표가 악어 모형을 들고 있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은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 루이비통(도산점) 앞에서 야생동물 학살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루이비통(Louis Vuitton)은 비단뱀, 도마뱀, 타조, 악어 등 수많은 야생동물을 학대하고 죽이며 고가의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세계 동물보호단체인 '페타 아시아'(Peta Asia)의 조사에 따르면, 루이비통의 가죽 제품 생산 과정에서 수많은 야생동물이 잔인하게 학대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뱀은 나무에 못 박혀 산 채로 사지가 잘리고, 도마뱀은 산 채로 목이 잘리는 등 끔찍한 방법으로 죽임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학대는 자연에서 자유롭게 살아가야 할 야생동물들에게 큰 고통을 주고 있다.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는 “루이비통을 비롯한 명품 브랜드들이 야생동물 착취와 학살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동물을 착취하거나 죽이지 않는 비건(VEGAN) 제품으로 전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다음은 기자회견 전문이다. ● 야생동물 '착취'를 중단하라! ● 야생동물 '학살'을 중단하라! ● 야생동물 '고문'을 중단하라! ● 야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동물보호연합(이원복 대표)은 △World Animal Protection △Defend the Wild △Collective Fashion Justice 3개 동물보호단체와 연대해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 에르메스 도산파크 매장 앞에서 'Drop Croc' 시위를 개최하며, 에르메스의 악어 학살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시위는 에르메스가 운영하는 악어 사육 농장의 잔혹성을 폭로한 호주 동물단체들의 새로운 조사 발표에 이어 진행됐다. PETA(동물을 윤리적으로 대우하는 사람들)와 함께 텍사스, 짐바브웨, 베트남의 악어 농장의 잔인성을 이미 폭로한 바 있는 이들은 에르메스의 동물 학대 산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시위 참가자들은 △성명서 낭독 △피켓팅 △구호 제창 △퍼포먼스를 통해 에르메스의 야만적이고 시대착오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에르메스가 새로운 악어 사육 농장을 대규모로 증설하려는 계획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악어 사육 농장의 잔혹한 실태는 감금과 폭력적인 죽음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이는 에르메스가 지속 가능한 명품을 만들기 위해 동물의 피부를 갈취하는 무감각의 극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에르메스는 악어 양식 산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가 28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열린 중국 고양이 고문 살해단 규탄 및 중국 동물보호법 재정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가 28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열린 중국 고양이 고문 살해단 규탄 및 중국 동물보호법 재정 촉구 기자회견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동물권단체 케어 활동가들이 28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중국 고양이 고문 살해단 규탄 및 중국 동물보호법 재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동물권단체 케어 활동가들이 28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중국 고양이 고문 살해단 규탄 및 중국 동물보호법 재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손팻말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