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인도에서 폭염과 우기 지연 등 기후변화로 인해 토마토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토마토 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지난 10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인도의 국민 식재료인 ‘토마토’가 기후변화의 여파로 흉작을 맞아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해졌으며 이에 가격이 6개월 사이에 400% 가까이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인도는 일일 최고 기온 섭씨 40도를 웃도는 폭염에 시달렸으며 여기에 몬순 우기가 늦어지면서 토마토 작황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아울러 농업 연구를 전담하는 위원회인 인도 국립 생물 스트레스 관리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Biotic Stresses Management)는 안드라프라데시주, 마하라슈트라주 등 주요 토마토 생산 주에서의 홍수 역시 가격 급등의 원인이 된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인도 식량부의 발표를 인용해 전날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토마토 1㎏ 소매가는 120루피(약 1천 900원)였으며 이는 올해 초 같은 양이 22루피(약 347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해 6개월 사이 약 445% 오른 가격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뉴델리 내 1리터당 가격이 96루피(약 1천 500원)인 휘발유 보다 비싼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어제는 하늘이 뚫린 듯 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찜통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폭염과 폭우가 잇따르면서 기상학계에서는 ‘장마’가 아닌 ‘우기(雨期)’라는 표현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통상 장마는 한반도에서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의 여름에 걸쳐서 동아시아에서 습한 공기가 전선을 형성하며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여러 날 비가 내리는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최근 한반도에서는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진행되며 ‘장마’라고 부르기 애매한 날씨가 됐다. 실제로 지난 10일 기상청은 전국 곳곳이 강한 비가 내리는 가운데 중부지방과 내륙에는 시간당 30~60mm의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릴 것이라고 밝혔으며 11일인 오늘은 제주도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31도 이상으로 오르고 습도가 높아 최고 체감 온도가 31도 내외로 무더울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지자 학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장마 표현을 대체할 용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기후위기 시대, 장마 표현 적절한가?’라는 주제로 열린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에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자연에서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 경북대 수의학과 박진규 교수 연구팀은 환경으로 유입된 플라스틱이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실험실 수준에서 구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섭취 시 뇌 안에서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간 800만 톤이 버려지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과 파도 등에 의해 매우 작은 조각들로 부서져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뀐다. 이를 플랑크톤 등 하위 생명체들이 섭취하게 되고, 결국에는 먹이 사슬 최상위에 위치한 인간에게까지 위협을 준다. 연구팀은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자연 풍화로 인해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우선 분쇄한 미세플라스틱에 7일 동안 자외선 조사 및 물리적 충격을 가해 인위적으로 자연 풍화에 의한 것과 같은 2차 미세플라스틱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이 자외선, 파도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실험실 수준에서 모방한 생성 모델을 확립했다. 이후 2차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홍수와 가뭄, 전례없는 더위 등 다양한 이상 기후로 인해 지구촌 곳곳이 시름하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는 뮤지션들이 늘어나고 있다. 팝가수 숀 멘데스(Shawn Mendes)는 최근 캐나다 산불로 인해 미국 동부의 대기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을 보고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담은 신곡 ‘우리는 도대체 무엇 때문에 죽어가고 있습니까?(What the Hell Are We Dying For?)’를 발표했다. 그는 음악인 친구들과 함께 뉴욕의 심각한 대기질에 충격을 받았고 몇 시간만에 음악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그의 신곡은 ‘연기가 가득하고, 도시는 불타고 있어. 말하고 싶은데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우리를 구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 넌 내 것이 아니고 난 네 것이 아니라면 도대체 우리는 무엇을 위해 죽어가고 있는 걸까?’ 등의 가사를 통해 사랑하는 연인과의 이별을 말하는 듯하면서도 지구를 아끼지 않는다면, 지구 생명체 전부가 큰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일어난 산불 문제를 담은 노래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9년 팝스타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전 세계 곳곳이 종잡을 수 없는 기상 현상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주 역대 최고 고온 기록을 잇따라 갈아치우면서 더위가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여름 폭염으로 인해 유럽에서만 6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나왔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지난해 보다 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는 올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우려의 목소기가 제기되고 있다. 11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세계보건연구소(ISGLOBAL)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의과대학이 함께 한 국제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의학(Nature Medicine)에 지난해 5월 30일부터 9월 4일까지 유럽 내 사망자들의 사인을 분석한 결과, 6만 1672명이 폭염으로 인해 사망했다는 내용이 담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유럽 35개국에서 발생한 4518만 4044명의 사인 및 기온 데이터를 수집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폭염 때문에 사망했는지 예측했다. 기록에 따르면 지난 한해 유럽에서 6만 2862명이 고온으로 사망했고, 특히 폭염이 심각했던 7월 18일부터 24일까지 일주일 동안 1만 163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의 수석 저자이자 바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꿀벌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가 1주일 가량 앞당겨 지면서 사과와 배 같은 농작물의 수분(受粉)을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국제학술지 ‘생태 및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된 영국 레딩대학교(The University of Reading) 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섭씨 1도 상승할 때마다 꿀벌이 평균 6.5일 빨리 겨울잠에서 깬다. 크리스 와이버(Chris Wyver) 레딩대학 농업 정책 및 개발 연구원 박사팀은 지난 40년간 야생 꿀벌 88종을 조사한 35만 건 이상의 연구 결과를 분석했고 그 결과 기온 변화에 대한 반응은 벌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달랐지만 10년마다 평균적으로 4일씩 빨라진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기상청에 따르면 영국의 겨울 기온은 2070년까지 1~4.5℃ 상승하고 습도도 30%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앞으로 봄은 계속 더 일찍 시작되고 꿀벌의 활동 시기도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연구진은 이와 같은 변화가 꿀벌이 의존하는 식물과의 타이밍을 놓칠 수 있으며 이는 꿀벌이 소비할 음식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호주인들이 매년 소비하는 플라스틱이 570만 대의 자동차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미치며, 이는 호주 도로에 있는 자동차의 3분의 1 이상이라는 새로운 분석이 나왔다.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호주 해양 보존 협회(Australian Marine Conservation Society)와 WWF 호주(WWF Australia)가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2019~2020년 회계연도에 호주 전역에서 소비된 플라스틱이 1600만 톤의 온실가스를 생성했다고 보도했다. 셰인 쿠코우(Shane Cucow) 호주 해양 보존 협회(Australian Marine Conservation Society) 플라스틱 캠페인 관리자는 가디언에 “호주에서 소비되는 플라스틱의 87%가 수입되기 때문에 호주에서 플라스틱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호주에서 소비되는 플라스틱의 생산, 운송 및 폐기물 관리의 발자국을 정량화한 이번 보고서는 이러한 배출량이 2050년까지 연간 4250만 톤으로, 지금의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호주는 싱가포르 다음으로 1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량이 가장 많은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우리가 매일하는 음식의 선택은 기후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이 레스토랑의 음식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기후 발자국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없기에 라벨 등에 탄소 발자국를 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젊은 세대의 77%가 메뉴에 대한 정확한 기후 영향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회사 원폴(OnePoll)이 오가닉 매트리스 브랜드 아보카도 그린 매트리스(Avocado Green Mattress)의 의뢰를 받아 진행한 조사에서 대부분의 MZ세대는 레스토랑에서 다양한 음식 옵션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더욱 명확하고 알고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은 서로 다른 세대에 속하는 2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응답자의 42%가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였다. 이들은 처음 방문한 레스토랑에서 메뉴를 시킬 때 메뉴 불안에 대한 설문을 진행했지만 음식 선택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탐구를 추가했다. 먼저 응답자의 71%가 주문할 때 맛을 고려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아울러 57%가 경제성을, 22%가 음식준비에 필요한 시간, 16%가 식사가 지저분할 가능성, 그리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재생 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이 시급한 가운데 국가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때 경제 회복이 빠르다는 새로운 연구가 발표됐다. 과학전문 사이트 피스닷오르그(phys.org)에 따르면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Trinity College Dublin)의 연구원들은 40년 동안(1970년부터 2011년까지) 98개국에 영향을 미친 133개의 체계적인 경제 위기 데이터에서 찾은 패턴을 통해 국가가 재생 에너지에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경제 회복을 시간이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에는 다양한 사회와 경제가 포함됐지만 재생 가능 에너지가 경제 회복 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게 유지됐다. 예컨대 2008년 경제 붕괴를 경험한 아일랜드의 경우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노력으로 복구율이 향상됐다. 아일랜드는 재생 에너지 활용 범위를 높여 2030년까지 전력의 80%를 재생 가능 에너지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의 주 저자이자 트리니티 자연과학대학원장인 이안 도노휴(Ian Donohue) 교수는 “생태계가 제공하는 자원과 이에 의존하는 경제의 안정성 사이에 중요한 연결 고리를 찾았다. 환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국에서 진행 중인 윔블던 테니스 경기가 환경단체의 기습 시위로 중단되는 사고 일어났다. 지난 5일(현지시간) 가디언 등 외신은 환경단체 ‘저스트 스톱 오일(Just Stop Oil)' 회원들이 윔블던 대회 중 18번 코트에서 오렌지색 반짝이 테이프와 직소 퍼즐을 뿌리며 경기를 방해해 두차례 경기가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처음엔 남녀 두 명이 직소 퍼즐 조각을 뿌렸고 이에 불가리아와 일본 선수 선수의 경기가 중단됐다. 이들은 이내 경기장에서 퇴출당했고 곧 경기가 재개된 이후 같은 코트에서 또 다른 활동가가 오렌지색 색종이 조각을 뿌리며 다시금 영국과 호주 선수의 경기를 중단시켰다. 윔블던 주최 측과 메트로폴리탄 경찰은 사건 이후 세 명의 환경 운동가가 무단침입 및 기물 파손 혐의로 체포됐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영국에 기반을 둔 운동가 그룹 ‘저스트 스톱 오일’의 멤버로 단체는 스스로를 ‘영국 정부가 모든 새로운 석유, 가스 및 석탄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를 요구하는 비폭력 시민 저항 단체’라고 소개한다. 지난 2022년 2월 이들은 영국 정부에 최후 통첩을 전달하며 반(反)화석 연료 캠페인을 시작했다. 유명하고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켈프라고 불리는 대형 해조류 군락이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연간 5000억 달러(한화 약 640조)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래 식량, 환경 및 지구 지속가능성에 대한 중요성 등이 대두되면서 세계 해안선을 따라 발견되는 광대한 수중 생태계인 켈프 숲의 가치가 연간 5000억 달러에 달한다. 켈프 숲이란 연안에서 발달하는 갈조류에 속하는 대형 해조류 목인 다시마로 이뤄진 숲을 의미하는데 이는 수천 종의 해양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뿐더러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지난 2016년 덴마크 연구진에 따르면 전 세계 다시마 군락이 탄소를 매년 2억톤 씩 빨아들인다고 밝혔다. 이는 한 산업 국가가 1년 동안 내뿜는 탄소 배출량에 맞먹는 수준이다. 다만 다시마는 아시아 국가에서는 건강에 좋은 식재료로 불리며 활용도가 높지만, 서양 국가에서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활용되지 못한 채 버려졌다. 이에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해양 켈프 숲의 경제적 가치를 확인해 켈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폭염특보가 내렸던 지난 3일이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날로 기록됐다. 지난 4일(현지 시간) 가디언과 BBC 등 주요 외신은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 산하 국립환경예측센터(NCEP) 보고를 인용해 지난 3일의 지구 평균 기온이 17.01도를 기록해 2016년 8월의 종전 최고기록 16.92도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1979년 위성 관측 기록이 시작된 이래 가장 더운 날이자 기온을 측정하기 시작한 19세기 말부터 비교해도 가장 기온이 높았다. 우리나라도 지난 3일 전국이 폭염으로 매우 더웠다. 당시 기상청은 "전국 대부분 지역 낮 기온이 33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무덥겠다"면서 "습도가 높아 최고 제감온도가 33~35도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전국에 폭염특보가 내려졌다"라고 전했다. 폭염특보는 체감온도가 33도나 35도 이상이 이틀 이상 지속이 예상되거나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발표된다. 과학자들은 최근의 더위가 엘니뇨와 인간에 의한 지속적인 온실 가스 배출의 조합 때문으로 보고 기후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더 자주, 더 오래 지속되고 더 뜨거운 열파에 기여하고 있음을 미루어보아 조만간 가장 더운 날의 기록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작은 소비에도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슈머의 등장으로 친환경을 앞세워 홍보를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기후소송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그린워싱’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기후소송을 분석한 보고서를 매년 작성하는 런던정경대(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그래덤 기후변화·환경연구소(Grantham Research Institute)는 최근 ‘기후소송 글로벌 트렌드 2023’ 보고서를 내놓고 이같이 밝혔다. 그린워싱은 기업이나 단체에서 실제로는 환경보호 효과가 없거나 심지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허위 과장 광고를 이용해 친환경적인 모습으로 포장하는 '위장환경주의' 또는 '친환경 위장술'을 가리킨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소송은 2021년에 266건, 2022년에는 222건의 신규 소송이 제기됐다. 지난 1년간(2022년 6월∼2023년 5월) 제기된 소송은 190건으로 기후소송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2020년 이후 미국에서 소송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 온도가 높아지면서 일어나는 심각한 기후 재해가 청소년들에게 여러 가지 방향으로 장기적인 피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저널 인구조사와 정책검토(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에 발표된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농업 과학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 재해 및 펜데믹으로 인한 가족 소득 손실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은 청소년들에게 학문적 진보와 미래 식량 안보에 장기적인 피해를 준다. 연구원들은 페루 어린이 1713명을 대상으로 15년 동안 수집한 어린이 종적 연구(Young Lives Longitudinal Survey)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직이나 농작물 실패와 같은 경제적 또는 농업적 충격, 홍수나 지진과 같은 환경적 충격, 이혼이나 가족의 죽음과 같은 가족 충격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의 충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어떤 형태로든 어린 시절에 더 많은 충격에 노출된 청소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읽기 및 어휘 테스트 점수가 낮아진 것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아울러 그 영향은 식량 안보 수준의 감소로 확대됐다. 연구는 기후변화 시대에 청소년들이 겪을 다양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여름 축제에 빠질 수 없는 행사가 바로 불꽃놀이다. 까만 밤하늘을 수놓는 불꽃은 장대한 광경을 통해 인간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하는데 이러한 폭죽이 실제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아름답지만은 않다. 불꽃놀이는 매우 짧은 시간에 심각한 대기오염을 일으킨다. 지난 2019년 포브스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불꽃이 터지면서 만들어지는 알록달록한 색상은 모두 다른 화합물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예컨대 리튬염은 분홍색, 나트륨염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 구리 및 바륨염은 녹색 또는 파란색, 칼슘 또는 스트론튬은 빨간색을 나타낸다. 공중에서 폭죽이 폭발하는 동안 이러한 금속염은 타거나 없어지지 않고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질소가 포함하는 에어로졸이 되는데 이를 직접적으로 흡입하거나 섭취하게 되면 심장 질환 및 다양한 암에 이르기까지 장,단기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놀랍게도 폭죽의 파편이 땅에 떨어지면서 주변 호수나 강을 오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화학 물질이 떨어져 물을 오염시켜 수중 생물과 지역 식수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과거 미국 화학 회지(American Chemical Society)에 발표된 오클라호마 대학교의 연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