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2030년까지 육류 소비를 1인당 일주일에 2개의 소고기 패티와 맞먹는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기후위기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0월 26일 발표된 '2022 기후행동 상태(State of Climate Action 2022)'보고서는 파리 협정을 달성하기 위해 향후 10년 동안 노력해야 하는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언급했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자원 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 기후 행동 추적기(Climate Action Tracker), 억만장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저스(Jeff Bezos)가 만든 비영리 단체인 베저스 지구 기금(Bezos Earth Fund)을 포함한 여러 기후 단체가 협업해 발표한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축산업, 전력, 건축, 운송, 산림벌채, 식량 등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핵심지표 40가지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목표 궤도를 벗어나고 5개는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재생 에너지로 전환해야 하는 시기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스 사용, 탄소 배출 감소 기술이 발전되지 않은 철강 제조업, 자동차 이용량 증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해리포터 시리즈의 인기 캐릭터 도비를 향한 팬심이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일 BBC 등 외신들은 영국 웨일스의 펨브로크셔주 프레시워터 웨스트 해변(Freshwater West Beach)에 위치한 ‘도비’의 무덤을 찾는 관광객들이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도비는 해리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루시우스 말포이 가문의 집요정으로 해리포터가 양말을 통해 도비를 해방시켜주자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에서 해리포터를 대신해 벨라트릭스 레스트랭의 단검에 맞아 사망한 캐릭터다. 이때 해리포터가 도비를 묻어준 곳이 바로 프레시워터 웨스트 해변으로 연간 75만 명의 관광객이 도비의 무덤을 찾아 그를 추모한다. 하지만 관광객들이 도비의 무덤에 두고 간 양말, 옷가지, 인형 등이 바다 생물들의 서식과 생존에 위협이 된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프레시워터 웨스트 해변은 세계 최대 바닷새 서식지이면서 대형 회색물개와 돌고래를 비롯해 많은 바다 생물이 사는 곳으로 법적으로 보호되는 특별 과학 관심 지역이다. 이에 해변을 관리하는 자연보호 단체인 내셔널 트러스트 웨일스는 지난 5월 방문자 수가 이미 허용치를 넘어섰고 이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구의 열대우림지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지구 산소의 20% 이상을 생성해 과거 ‘지구의 허파’로 불린다. 하지만 대두 산업으로 인해 아마존이 불타 없어지고 있다. 지난 2006년 그린피스는 이러한 대두 산업의 확산이 아마존 산림파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에 세계 최대 곡물유통업체인 번기, 카길, 루이드레퓌스 등이 아마존에서 2006년 이후 새롭게 생산되는 대두를 사들이지 않겠다는 대두 모라토리움(Soy Moratorium)규정을 만들었고 이후 이를 지지하는 기업들 사이에 삼림 벌채 제로(Zero-Deforestation) 서약을 맺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서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자아낸다. 환경연구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발표된 캠브리지 대학, 보스턴 대학, ETH 취리히, 뉴욕 대학의 연구원들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2021년까지 최소 94개 기업에서 삼림 벌채 제로(Zero-Deforestation) 서약이 이뤄졌지만 처음 대두 모라토리움이 만들어진 2006년부터 2015년 사이에 아마존의 삼림 벌채는 단 1.6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소득이 많을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상위 1% 부유층이 1년간 배출한 온실가스가 하위 10%가 26년 동안 사용한 양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1일 기후연구기관인 Autonomy가 발표한 ‘기후 행동을 위한 기후 기금: 극단적인 탄소 배출자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의 이점’(A Climate Fund for Climate Action: the benefits of taxing extreme carbon emitters)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소득 하위 10%가 상위 1% 소득자만큼 탄소 배출량을 배출하는 데에는 무려 26년이 걸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1% 소득자가 연간 소득이 2만 1500파운드 이하를 버는 사람들의 30%보다 훨씬 더 많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책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1998년부터 2018년까지 소득 및 온실가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Autonomy 측은 상위 1% 소득자들이 탄소 배출량이 높은 개인용 제트기를 포함한 비행기를 자주 이용하며, 많은 자동차를 운전하며, 많은 토지와 주택을 소유하고 있고 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인하대가 바다거북 등 해양생물이 좌초되는 이유로 폐어구를 지목했다. 연구진은 사망한 바다거북을 부검할 시 구강부에서 낚싯줄이 발견된 것과 더불어 발견된 폐어구 중 레저 낚시와 같은 비상업적 어업으로 버려진 낚싯줄과 루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점에 비추어 연안에서의 무분별한 레저 낚시가 해양환경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연구진은 지난 2020년 8월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특별프로젝트로 제주 북서부 해안에 대한 수중 잠수조사를 시행했다. 제주도 북서부 연안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Red List)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된 바다거북의 좌초 빈도가 높은 지역이다. 연구내용을 담은 논문 ‘Possible link between derelict fishing gear and sea turtle strandings in coastal areas(해안 지역의 버려진 낚시 도구와 바다거북 좌초 사이의 가능성 있는 연관성)’은 JCR(Journal Citation Reports) 해양·담수 생물학(Marine and Freshwater Biology) 분야 상위 2% 내 저널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유엔 기후변화협약 27차 당사국 총회(COP27)이 한 달이 채 남지 않았다. COP27이란 매년 유엔 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197개국 정부 대표단을 비롯해 기후 및 환경과 관련된 전문가가 참석해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하는 장이다. 올해로 27차를 맞이한 총회는 11월 7일부터 11월 18일까지 2주간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열린다. 7일과 8일 세계 지도자 정상 회담으로 시작되는 COP27은 이후 재정, 탈탄소화, 농업을 포함해 기후를 둘러싼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차례로 다룰 예정이며 두 번째 주에는 젠더, 물,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주제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후협약 총회가 처음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열리는 만큼 이번 회의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게 될 의제는 ‘기후정의’로 예측된다. 기후정의란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이 초래하는 비윤리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점을 인식하고 그것을 줄이기 위한 사회 운동을 일컫는 말로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기금을 마련하거나,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과 선진국의 구체적인 보상을 의미한다. 특히 앞서 열린 COP26이 개도국에 대한 지원방안을 논의하지 않았던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최근 미세 조류를 양식 시스템에 도입해 키우면 2050년까지 100억 명을 충분히 먹여 살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해양과학저널 Oceanography에 발표된 ‘해양수산문화의 미래 변혁: 순환경제적 접근법’(Transforming the Future of Marine Aquaculture: A Circular Economy Approach) 연구는 연안에서 자라는 조류가 탄소 배출 집약적인 축산업에 대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이 될 방법을 설명한다. 보고서는 양식 시스템에서 영양가가 높고 단백질 밀도가 높은 미세조류를 키우면 식량 생산량이 50% 이상 증가하고 2050년까지 100억 명을 먹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찰스 그린(Charles Greene) 코넬대 지구 및 대기 과학 명예 교수는 “연안의 해수 양식 시스템에서 영양가 높고 빠르게 성장하는 식품을 재배할 수 있으며 이는 비교적 밀폐되고 통제된 시설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계속해서 지구 인구가 증가하는 데 반해 기후 변화, 제한된 경작지, 담수 부족, 환경 악화 등과 같은 요인으로…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반세기 만에 전 세계 야생동물 개체군의 규모가 69%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자아낸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구생명보고서 2022(Living Planet Report 2022)’를 13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세계자연기금과 런던동물학회(Zoological Society of London, ZSL)가 공동 연구를 통해 발간한 보고서로 지구생명지수(Living Planet Index, LPI)를 담고 있다. 세계자연기금은 LPI를 통해 생물다양성 상태와 생태계의 건강을 가늠하고 실제 생물 종 변화를 수치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PI에 따르면, 전 세계 5230종의 생물종을 대표하는 3만 1821개의 개체군을 조사한 결과 1970년부터 2018년까지 야생동물 개체군의 규모가 평균 69% 감소했다. 특히 아마존강 유역이 있는 남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연안은 94% 감소해, 가장 큰 생물다양성 위협을 겪고 있었다. 보고서는 야생동물 개체군이 감소하는 주된 이유로 서식지 황폐화 및 감소, 과도한 자원 이용, 침입종 침입, 환경오염, 기후변화 및 질병을 꼽았다. 생물종별로 살펴보면 민물에서 사는 담수 생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경기도가 '2022년도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도사업' 참여공동체를 모집한다.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도사업'은 공동체 주도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에 적합한 탄소중립 생활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해 공동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사업이다. 경기도에서는 올해 처음 도입됐다. 올해는 활동가 40여 명과 참여공동체 18곳을 선발한다. 31개 시·군에서 선발한 활동가는 참여공동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실천 프로그램 컨설팅 등 참여공동체 활동을 지원한다. 선정된 참여공동체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공동체 특성에 맞는 인식개선, 생활실천, 효율개선 프로그램을 탄소중립 유형(에너지, 수송, 자원순환 등)별로 운영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한다. 대중교통 이용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증 이벤트, 컴퓨터 절전기능 사용하기, 저탄소제품 구매하기, 배달음식 주문시 다회용기 사용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는 오는 24일까지 모집을 완료한 후 10월 말 사업계획과 사업수행 능력 등을 평가한 후에 참여공동체 18곳을 선발할 예정이다. 선정된 참여공동체는 공동체 규모에 따라 운영비가 300만 원부터 1700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기후위기로 인해 수많은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있는 가운데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미국이 특사를 임명해 눈길을 끈다. 지난달 30일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모니카 메디나(Monica Medina) 미국 국무부 차관보(Assistant Secretary)를 생물다양성 및 수자원 특사로 지명했다. 이는 전 세계의 생물다양성과 물 위기를 해결하려는 바이든 정부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임무에 추가로 특사 지정을 맡게 된 것이다. 생물다양성이 무엇이길래 미국은 특사까지 임명해 보전하기 위해 힘쓰는 것일까?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생물다양성은 ‘어떤 지역의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 해석된다. 좀 더 자세한 정의로는 1989년 세계자연보호재단이 규정한 ‘수백만여 종의 동식물, 미생물, 그들이 가진 유전자, 그리고 그들의 환경을 만드는 생태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이 지구상에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의 풍요로움’을 들 수 있다. 생물다양성은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보전돼야 하는데 세계 야생 동물 기금(WWF)에 따르면 생물 각각은 생태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거미줄처럼 함께 작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최근 코카콜라가 올해 기후변화협약 27차 당사국 총회(이하 COP27)의 후원사로 선정되면서 그린워싱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 4일(현지시각) BBC 등 주요 외신들은 COP27의 후원사 목록에 코카콜라가 이름을 올린 것에 대해 환경운동가들이 그린워싱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11월 6일부터 18일까지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에서 개최되는 COP27는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서명한 197개국 정부 대표단을 비롯해 각국의 시민단체, 연구 기관 등이 참여해 기후 위기에 대한 국제적 대응에 대한 해법을 논의하는 자리다. 앞서 지난 달 28일 코카콜라는 COP27의 개최국인 이집트 정부와 협약을 맺고 후원사로 참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코카콜라 대변인은 “COP27 후원사 참여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5%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제로를 달성하려는 목표의 일환”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비즈니스, 공급망 및 커뮤니티 전반에 걸쳐 기후 복원력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탐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코카콜라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환경운동단체는 세계 1위 플라스틱 배출 기업이 기후 변화 협약을 위한 자리의 후원사로 결정된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인류의 삶의 터전인 지구에 적색 신호가 켜졌다.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기후위기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몇백 년이 흘러도 썩지 않는 쓰레기 발생량은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다행인 것은 MZ세대를 중심으로 지구환경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가치소비로 이어져 산업 전반에 친환경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가치소비 열풍으로 인해 기업들은 너도나도 친환경제품을 선보이는 가운데 누군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이 거짓말을 우리는 ‘그린워싱’이라고 한다. 그린워싱은 'green'과 'white washing(세탁)'의 합성어로, 기업들이 실질적인 친환경 경영과는 거리가 있지만 녹색 경영을 표방하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친환경이 주효한 소비 트렌드로 주목받으면 받을수록 그린워싱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지난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영진 의원실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당 환경성 표시·광고로 올해 적발된 건수는 8월까지만 하더라도 1383건으로 작년 한 해 적발 건수(272건)의 5배에 이르렀다. 그린워싱의 종류도 다양하다. 한국소비자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종잡을 수 없는 기후변화로 인한 우울함과 불안감은 기후우울증(Climate Depression)이라는 새로운 병을 만들어냈다. 기후변화를 통해 두려움과 절망을 넘어서 무력함까지 느끼게 되는 기후우울증은 출산율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최근 한 글로벌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4명이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아이를 갖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지난 16일(현지시각) 여론조사 및 컨설팅 기관 글로브스캔(Globe Scan)은 미국, 영국, 한국, 이집트, 터키, 홍콩, 인도, 태국을 포함한 31개국의 국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해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의 사람들이 기후변화가 ‘매우 심각한’(very serious) 문제라고 생각했으며 이는 2002년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또한 37%의 사람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개인의 삶이 ‘큰 영향을 받는다’라고 답했다. 이 역시도 2020년 31%에서 6% 증가한 수치다. 조사 대상자의 40%는 기후변화가 자녀를 갖지 않는 이유로 작용했다고 답했다. 이는 나이별로 살펴봤을 때 상이하게 드러났는데 특히 30세 미만의 경우 그 수치는 44%로 증가하게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기후위기로 인해 다양한 종들이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는 가운데 꿀벌의 멸종위기는 생물 다양성 보존에 큰 위기를 의미한다.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에서 70% 이상이 꿀벌과 같은 화분 매개 동물의 수분 활동 도움을 받아 생산되기 때문이다. 해외 뉴스에서나 보던 꿀벌 실종 사건이 국내에 대대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지난 1월부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겨울에만 국내에서 월동 중인 사육 꿀벌 약 78억 마리가 사라졌다고 보고했다. 양봉업자와 전문가들은 이를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의 시작으로 보고 대책 마련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집붕괴현상이란 일을 하러 나간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해 여왕벌과 새끼 벌까지 집단적으로 죽는 현상을 의미하며 원인으로는 응애, 농약, 환경오염 등이 거론될 뿐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정부과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꿀벌 지키기에 매진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꿀벌의 먹이인 밀원(蜜源) 식물을 식재해 건강한 서식지를 만드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벌꿀의 70% 이상이 국내 주요 밀원수종인…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패션업계와 환경오염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패스트패션’의 경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혀왔을 정도로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패스트패션은 저렴하면서도 유행을 선도하는 의류를 빠른 속도로 생산하는 패션 산업을 일컫는다.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업계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만큼 대량 생산과 대량 폐기로 이어지는데 이는 환경오염에 심각한 위협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버려진 옷들이 연간 약 330억 벌에 달한다. 버려진 옷의 상당수는 개발도상국으로 넘겨지게 되는데 칠레 사막에는 이렇게 전 세계의 버려진 옷으로 산이 만들어졌을 정도다. ‘환경 빌런’으로 지목되는 패스트패션조차도 최근 비거니즘이 유행하기 시작하자 착한 가면을 쓰기 시작했다. 패스트패션을 대표하는 SPA브랜드들은 ‘지속 가능성’을 내세워 오가닉, 그린, 친환경, 비건 등의 문구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일례로 스웨덴의 글로벌 SPA브랜드 H&M은 ‘컨셔스 컬렉션(Conscious Collection)’을 론칭해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들은 해당 제품들이 ‘지속 가능하다’고 소개하며 일반 제품보다 비싼 값을 책정해 판매했다. 하지만 최근 이들은 그린워싱 마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