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강아지들과 함께 요가 수업을 듣는 ‘퍼피 요가(Puppy yoga)’가 영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퍼피요가가 실은 강아지들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며 귀여운 동물을 상품화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영국 언론 ITV는 지난 4일 ‘퍼피 요가’에 잠복 취재한 비디오와 왕립동물학대방지협회(이하 RSPCA)의 의견을 바탕으로 퍼피 요가가 작고 귀여운 강아지들을 마케팅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장에서는 강아지들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퍼피 요가는 생후 8주 가량 된 강아지들과 함께 요가를 하는 것으로 요가를 통해 몸도 건강해질 뿐만 아니라 강아지들과 함께 교감하며 정서적인 안정감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올해 초부터 영국에서 유명 셀럽과 인플루언서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퍼피 요가 업체에서는 생후 8주 가량 된 이 강아지들도 다양한 환경과 새로운 사람 등을 접하며 사회성을 길러야 하기 때문에 강아지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동물보호단체의 의견은 다르다. 어린 강아지일수록 자신이 알고 신뢰할 수 있는 애착 대상의 존재와 함께 안전함을 느낄 필요가 있어야 하지만 낯선 환경에서 낯선 사람들로 가득찬 방에 던져진 강아지들에게는 안정감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에즈므 윌러(Esme Wheeler) RSPCA 개 행동 전문가는 “어린 강아지가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 압도되고 겁에 질린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신이 소개받은 것을 무서운 것으로 보기 시작해 부정적인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ITV가 영국의 퍼피 요가 스튜디오 몇 곳을 잠복해 입수한 비디오에는 어린 강아지들이 땀을 빼기 위해 온도가 높여진 방에서 요가 레슨이 진행되는 동안 잠을 자지 못하고, 수강생들 사이를 계속해서 돌아다니고 있었다. 또한 목말라하는 강아지에게 물을 주려고 하자 강사는 ‘안돼요. 오줌싸게 될지도 몰라’라고 소리치는 장면도 담겨 배뇨 방지를 위해 적절한 물도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업체의 수업은 하루에 최대 9회가 있었고 한 마리당 최대 4시간씩 수업에 동원됐다. 윌러는 “적절한 수면과 물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고문의 한 형태이며 이것이 강아지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이유가 없다. 퍼피 요가 수업의 반복적이고 바쁘고 밝은 환경은 어린 강아지에게 스트레스다. 강아지의 사회화를 돕는다고 업체는 주장하지만 사회화의 정반대로 가고 있다. 내가 보기엔 이것은 사회화를 가장한 오락이며 강아지에게 전혀 이익이 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ITV의 조사로 인해 일부 지역 의회는 해당 지역의 퍼피 요가 비즈니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영국에서는 동물보호법에 의해 전시를 위해 동물을 상업적으로 기르거나 훈련시키는 사람은 2018년 동물 복지 규정에 따라 면허를 받아야 하지만 퍼피 요가의 소셜 미디어 확산 추세는 다소 모호한 영역이며 어떤 법률이 위반되고 있는지 확실하지 않아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대기 환경오염의 주범인 자동차로 인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가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네덜란드의 대학생들이 탄소를 포집하는 자동차를 개발해 눈길을 끈다.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교(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의 학생들은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에서 한발 더 나아가 주행 중 탄소를 포집하는 태양열 전기 자동차, ZEM(Zero Emission Mobility)을 개발했다. 전 세계에서 많은 탄소 배출량이 자동차 등 교통 수단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 의회의 연구에 따르면 오염의 60.6%가 승용차에 의해 발생하고 그 다음으로 트럭이 27.1%, 경상용차가 11%로 3위를 차지한다. 이에 아인트호벤 공과대학교의 학생들은 자동차 제조 단계에서 수명 종료 단계에 이르기까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동차 ZEM을 개발했다. 총 35명의 학생들이 설계하고 제작한 자동차는 3D 프린팅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구성됐으며 클린트론(Cleantron)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와틀랩(Watllab)의 태양열 패널을 통해 충전량의 최대 15%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차체의 하부에는 탄소 포집 장치가 부착돼 운행 중 공기 중 탄소 오염을 제거하는데 이산화탄소는 해당 필터에 달라붙는 반면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다. 아인트호벤 공과대학에 따르면 ZEM은 지속가능성을 가진 매혹적인 발명품이지만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현재 ZEM에 부착된 탄소 포집 필터는 30km 주행 시 최대 2kg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이는 평균 차량의 연간 탄소 배출량의 0.04%에 불과하며 평균 나무가 1년 동안 흡수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양이다. 다만 학생들은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을 통해 필터의 용량을 늘릴 계획이다. 팀의 프로젝트 관리자인 조프 반 아켄(Jop Van Aken)은 최근 진행한 영국 자동차 전문지 저스트 오토(JUST AUTO)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3D 프린터를 사용해 탄소 친화적인 제품으로 만들었다. 재활용 재료를 사용해 3D 프린터로 자동차를 인쇄했기 때문에 차량의 탄소 순환이 매우 폐쇄된 루프임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재활용 가능성이다. 연초에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자동차 재활용 업체에 갔는데 재활용품에서 나오는 쓰레기가 많이 보였다. 그것이 우리가 자동차가 제조뿐만 아니라 설계와 관련해 수명이 다했을 때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 이유”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처음 공개된 ZEM의 프로토타입은 당시 탄소 포집 기술로 큰 화제를 모았다. 이들은 현재 계속해서 탄소 포집 필터의 용량을 높이기 위해 개발을 이어오고 있으며 공기 포획(DAC) 필터에 대한 특허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최근 전 세계 도로, 미술관, 박물관, 경기장을 비롯한 여러 공공장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 단체의 게릴라 시위가 정치인과 대중의 비난을 사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기후 운동가들의 시위가 효과적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7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싱크탱크 사회변화연구소(Social Change Lab)가 사회학, 정치학 및 관련 분야 전문가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전문가들 대부분이 기후 운동가들의 가장 중요한 무기가 ‘비폭력 파괴적 전술의 전략적 사용’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보도에 따르면 설문 조사에 참여한 학자 10명 중 7명은 이들의 시위 전술이 운동의 성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으며, 이는 언론을 통해 보도하거나 심지어 폭력적인 전술을 엄격히 피하는 것보다 더 중요..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일본의 대형 식품회사 닛신 푸즈(Nissin Foods)가 일본의 복날로 불리는 ‘소의 날(우시노히 丑の日)’를 맞아 식물성 장어를 출시한다. 지난 11일 닛신 푸즈는 일본인들이 전통적으로 진미를 즐기는 ‘소의 날’을 앞두고 구운 장어의 질감, 모양 및 맛을 재현한 식물성 장어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가오는 30일은 일본의 ‘소의 날’로 우리나라로 치면 복날 보양식을 챙겨 먹는 것과 같이 일본에서는 에도시대부터 장어를 먹는 풍습이 있다. 발음에 ‘우’가 들어가는 음식을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닛신에 따르면 일본인들이 즐겨 먹는 장어는 남획과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뱀장어의 개체수는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감소하고 있다. 아울러 뱀장어의 특성상 완전 양식이 어려워 실뱀장어..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청바지 브랜드 리바이스가 클래식 501 청바지 탄생 150주년을 맞아 지속가능한 식물 기반 버전을 출시해 눈길을 끈다. 미국 패션 전문지 WWD은 리바이스가 최근 지속가능한 청바지인 식물 기반 501 진(Plant-Based 501® Jea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1873년 미국에서 처음 소개된 501은 올해로 출시 150주년을 맞았다. 원래 육체 노동자를 위한 내구성 있는 의류로 의도된 청바지는 일상적인 필수품이 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유지하며 501 청바지는 리바이스의 시그니처 디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보도에 따르면 리바이스는 패션, 특히 데님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유해한 제조 관행을 바꾸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식물 기반 버전은 리바이스가 화석 연..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인도에서 폭염과 우기 지연 등 기후변화로 인해 토마토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토마토 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지난 10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인도의 국민 식재료인 ‘토마토’가 기후변화의 여파로 흉작을 맞아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해졌으며 이에 가격이 6개월 사이에 400% 가까이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인도는 일일 최고 기온 섭씨 40도를 웃도는 폭염에 시달렸으며 여기에 몬순 우기가 늦어지면서 토마토 작황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아울러 농업 연구를 전담하는 위원회인 인도 국립 생물 스트레스 관리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Biotic Stresses Management)는 안드라프라데시주, 마하라슈트라주 등 주요 토마토 생산 주에서의 홍수 역시 가격 급등의 원인이 된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인도 식량부의 발..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영국 웨일즈가 동물에 끔찍한 고통을 안기는 접착 트랩과 올가미 사용을 금지한다. 웨일즈 현지 언론 ‘웨일즈 온라인(Wales Online)’은 지난 달 27일 웨일즈 시의회 건물에서 새로운 규정에 대한 투표가 진행됐으며 동물을 잔인하게 죽이는 올가미(snares)와 접착 트랩(glue traps)을 금지하는 최초의 영국 국가가 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접착성이 매우 강한 접착 트랩은 설치류, 곤충 및 뱀을 걸러내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접착제에 몸이 붙은 동물을 이를 떼려고 애쓰며 종종 강한 접착제가 털이나 깃털을 떼어내 길고 느린 고통스러운 죽음을 초래하기도 한다. 올가미도 마찬가지다. 이는 일반적으로 말뚝이나 나무와 같은 무거운 물체에 묶는 철사 올가미를 의미하는데 덫의 주된 목적은 여우나 토끼를 사냥하는..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국에서 판매 중인 비건 제품 가운데 우유와 계란 등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제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 라벨 규칙 마련에 대한 시급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7일(현지 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영국 거래표준협회(Chartered Trading Standards Institute, 이하 CTSI)의 보고를 인용해 영국에서 완전 채식으로 분류된 식품의 3분의 1 이상에 동물성 성분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식품 검사관은 유제품 대체품 13개와 육류 대체품 48개로 구성된 완전 채식으로 표시된 61개의 제품을 검사했고 그 결과 39%(24개 제품)에 유제품, 계란 등 동물 유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건 제품의 무려 90%가 실제 식물성 원료만으로 만들어진 제품인지에 대한 결과가 부정확하면서 ‘불만족(u..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홍수와 가뭄, 전례없는 더위 등 다양한 이상 기후로 인해 지구촌 곳곳이 시름하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는 뮤지션들이 늘어나고 있다. 팝가수 숀 멘데스(Shawn Mendes)는 최근 캐나다 산불로 인해 미국 동부의 대기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을 보고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담은 신곡 ‘우리는 도대체 무엇 때문에 죽어가고 있습니까?(What the Hell Are We Dying For?)’를 발표했다. 그는 음악인 친구들과 함께 뉴욕의 심각한 대기질에 충격을 받았고 몇 시간만에 음악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그의 신곡은 ‘연기가 가득하고, 도시는 불타고 있어. 말하고 싶은데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우리를 구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 넌 내 것이 아니고 난 네 것이 아니라면 도대체 우리는 무엇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가수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가 지난달 열린 기후 콘서트 백스테이지 인터뷰에서 축산업에 대해 대단히 끔찍한(horrendous) 산업이라고 밝혔다. 빌리 아일리시는 지난달 22일 파리 에펠탑에서 열린 기후 콘서트 ‘파워 아워 플래닛(Power our Planet)’의 헤드라이너로 참석했다. 콘서트는 부유한 나라들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후 관련 자금 지원에 대한 약속을 지키고 심각한 지구오염을 야기하는 거대 기업들로부터 탄소 배출 제로 약속을 받기 위해 마련됐으며 빌리 아일리시 이외에도, 레니 크라비츠(Lenny Kravitz), 존 바티스트(Jon Batiste), 허(H.E.R)가 참여해 뜻을 함께 했다. 콘서트 중간 백스테이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방송인 벨라 문디(Berla Mundi)는 빌리 아일리시에게 “누구나 기..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가 지속되면서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를 위해서라면 가능한 한 적은 양의 동물성 제품을 먹어야 한다는 과학자들의 의견이 나왔다. 지난달 28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과학적 조언 메커니즘(Scientific Advice Mechanism,SAPEA)은 ‘지속 가능한 식품 소비를 향해(Towards Sustainable Food Consumption)’라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유럽 그린딜의 농업전략 ‘농장에서 포크까지(From Farm to Fork)’를 지원하기 위해 위원회에서 요청한 것으로 과학적 조언 메커니즘의 과학자문 의장인 에릭 마티스(Erik Mathijs) 교수가 주도했다. 보고서는 유럽이 건강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본격적인 여름에 돌입하면서 무더위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7월 11일, 오늘은 초복이다. 일 년 중 가장 더운 시기로 불리는 ‘삼복’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세시풍속 중 하나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나뉘며 복날에는 몸보신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찾아먹는다. 이는 과거 선조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풍습으로 무더위에 지친 심신을 보양식을 통해 활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현대인들은 주로 삼계탕, 장어, 한우 등 육류 위주의 보양식을 챙겨먹기 마련이다. 하지만 육류 위주의 보양식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영양 섭취가 부족했던 과거에나 유효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며, 평소 고열량, 고지방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현대인일수록 육류보다, 버섯, 채소, 과일 등을 활용한 채식 보양식으로 영양 균형을 맞추고 더운 여름철에 필요한 체력과 면역력을 보충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사찰음식으로 잘 알려진 보양식인 ‘채개장’을 추천한다. 채개장은 고사리, 우거지, 버섯, 등을 채수에 넣고 푹 끓여낸 국물음식으로 고기가 들어있지 않아 담백하고 개운한 맛을 낸다. 다양한 채소가 한꺼번에 들어가 있어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매콤한 맛으로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로는 ‘두부콩국수’가 있다. 두부와 두유 견과류, 소금을 믹서기에 넣고 잘 갈아준 뒤 소면을 삶아 부어 먹는 간단한 건강식이다. 고명으로는 비타민C가 풍부한 방울토마토, 오이 등을 추천한다. 두부와 견과류의 고소함을 느낄 수 있으며 얼음을 동동 띄어 먹으면 무더위를 물리칠 수 있다. 조리과정은 간단하지만 두부콩국수는 두유가 가진 단백질 및 이소플라본의 효능을 가지며 견과류의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효과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들깨를 활용한 음식도 추천한다. 들깨는 혈관을 깨끗하게 해줘 고혈압 및 심장질환 예방을 도와주고 뇌 기능까지 향상시키는 오메가3가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단하게 수제비를 떠 만드는 ‘들깨수제비’, 체내 노폐물을 배출해주는 미역을 넣어 끓이는 ‘들깨미역국’ 등 뜨끈한 국물 요리를 통해 이열치열(以熱治熱)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꿀벌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가 1주일 가량 앞당겨 지면서 사과와 배 같은 농작물의 수분(受粉)을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국제학술지 ‘생태 및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된 영국 레딩대학교(The University of Reading) 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섭씨 1도 상승할 때마다 꿀벌이 평균 6.5일 빨리 겨울잠에서 깬다. 크리스 와이버(Chris Wyver) 레딩대학 농업 정책 및 개발 연구원 박사팀은 지난 40년간 야생 꿀벌 88종을 조사한 35만 건 이상의 연구 결과를 분석했고 그 결과 기온 변화에 대한 반응은 벌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달랐지만 10년마다 평균적으로 4일씩 빨라진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기상청에 따르면 영국의 겨울 기온은 2070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코코아가 함유되지 않은 초코 아이스크림이 푸드테크 혁신 챌린지서 쟁쟁한 경쟁품을 제치고 수상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윈윈(WNWN)’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유럽 혁신기술연구소(EIT Food)가 주관하는 '하겐다즈 스타트업 혁신 챌린지(Häagen-Dazs Start-Up Innovation Challenge)'에서 ‘베스트 데모(BEST DEMO)’ 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6월 13일 전 세계 160개가 넘는 지원자 가운데 모든 범주에 걸쳐 총 10명의 결선 진출자가 선택됐고 프랑스 아라스 R&D 센터에서 열린 탄소 발자국이 가장 낮은 아이스크림 부문의 결승전에서 세계 최초의 코코아 무함유 초콜릿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박아룸 윈윈 CEO는 “초콜릿 자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우리가 매일하는 음식의 선택은 기후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이 레스토랑의 음식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기후 발자국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없기에 라벨 등에 탄소 발자국를 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젊은 세대의 77%가 메뉴에 대한 정확한 기후 영향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회사 원폴(OnePoll)이 오가닉 매트리스 브랜드 아보카도 그린 매트리스(Avocado Green Mattress)의 의뢰를 받아 진행한 조사에서 대부분의 MZ세대는 레스토랑에서 다양한 음식 옵션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더욱 명확하고 알고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은 서로 다른 세대에 속하는 2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응답자의 42%가 X세대와 베이..